건축구조기술사 제114회 기출문제

시험일: 2018-02-05

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

PDF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정리된 문제
1

1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건축구조기준(KBC2016)의 돌발하중에 대한 하중조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주동토압, 수동토압, 정지토압을 각각 설명하고 각 토압이 작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댓글 0
3

콘크리트구조에서 연속보 또는 1방향슬래브의 해석에 근사해법을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을 나열하시오.

댓글 0
4

콘크리트구조의 중간모멘트골조에서 기둥 양단부 횡보강철근의 배근상세를 설명하시오.

댓글 0
5

「건축물의 구조기준등에 관한 규칙」에 의하면, 내진능력표기가 의무화되어 있는 바, 응답스펙트럼 방식에 의한 최대지반가속도(g)에 대한 산정근거식을 적고 산정근거식에 포함된 용어 및 계수를 설명하시오.

댓글 0
6

아래 용어의 정의를 설명하시오. 1) 지반의 극한지지력 2) 지반의 허용지지력 3) 지반의 허용지내력 4) 말뚝의 극한지지력 5) 말뚝의 허용지지력 6) 말뚝의 허용지내력

댓글 0
7

건축구조기준(KBC2016)의 하중조합식에서 지진하중이 포함된 강도설계법의 소요강도 하중조합식과 허용응력법의 하중조합식을 설명하시오. (단, F, Lr, S, R은 하중조합식에서 제외한다.) 2 – 1

댓글 0
8

건축구조기준(KBC2016) 지진하중에서 정의하고 있는 반응수정계수(R))를위증폭계수( 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9

프리스트레스트 보에서 비부착(Debonding)의 의미와 비부착(Debonding)하는 강연선의 개수제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10

굴복좌굴(Flattening or Limit-point Buckling)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11

바닥판의 공진현상, 맥놀이 현상 및 바닥진동 제한값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12

샤르피 충격시험(Charpy Impact Test)방법, 파면율, 천이곡선 및 천이온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13

콘크리트 현장공시체 강도미달시 조치사항 및 재하시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 2 청렴은 건전한 국가 재정의 첫걸음

댓글 0
2

2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다음 단순보에서 A, B 지점의 지점반력을 구하고 단면력도(전단력도, 휨모멘트도, 축방향력도)를 도시하시오. 4 – 1

댓글 0
2

다음과 같이 지지점을 지나 연장되는 휨철근(5-D25)이 정착요구조건을 만족하는지 검토하시오. 검토조건 - 휨철근은 지지점의 중심을 지나 200 mm 연장되었음 - 스터럽은 표기되지 않았으며 스터럽의 간격은 충분히 안전한 것으로 가정함 MPa MPa - 보통중량콘크리트이고,  , - 정착철근 순간격  이, 피복두께  이상,휨철근량은 적정하게 배근되고 도막되지 않음  -     4 – 2

댓글 0
3

F10T 고장력볼트 M20(공칭단면적 314mm ), M22(공칭단면적 380mm )의 설계미끄럼강도를 구하시오. 검토조건 - 구멍은 표준구멍과 대형구멍의 두 가지를 고려하고 마찰면은 블라스트 후 페인트하지 않음 - 전단 및 지압강도는 충분히 안전함 - 설계볼트장력은 직접 구하기 바람 - 필러계수는 1.0 적용 - 전단면의 수는 1 적용

댓글 0
4

다음 트러스에서 A점의 수직변위 v를 구하시오. (단, 모든 부재의 단면적은 200 mm , 탄성계수는 2×10 MPa이다.) 4 – 3

댓글 0
5

강재기둥에서 메탈터치(metal touch)이음의 장ㆍ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6

그림과 같은 강봉에서 탄소성 처짐을 고려한 B점의 처짐을 구하시오. (단, 자중과 하중을 모두 고려하고 단면적 A = 1000 mm , 단위중량 = 25 kN/m , 항복응력 σ y 104 MPa,1E = 800002MPa, E = 15000 MPa이다.) 4 – 4 청렴은 건전한 국가 재정의 첫걸음

댓글 0
3

3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갖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콘크리트에 경과시간 일)에 따라  주어지는 건조수축이 발생한다. 이 건조수축으로 인한 인장응력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를 초과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시점을 예측하시오. (단, 건조수축은 콘크리트 단면 내에서 부재 길이 방향으로 동일하게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크리프와 같은 다른 장기거동 효과는 무시한다.) 4 – 1

댓글 0
2

그림과 같은 조건의 H형강 H-400×400×13×21(SHN355기둥에   N,   N 의 압축력이 작용하고 복곡률을 유발하는 강축방향의 재단모멘트가 양쪽 단부에   kN· m 및   N · m이 작용할 경우, 이 기둥의 소요휨강도를 산정하시오. (단, 기둥의 면외방향 유효좌굴길이계수 K =K =1.x이다y) H-400×400×13×21 단면성능 A = 21870 mm ,Ix= 6.66×10 mm E = 210000 MPa,yI = 2.24×10 mm x = 175 mm y = 101 mm r = 22 mm(필릿부 반경)

댓글 0
3

말뚝에서 부마찰력의 발생원인 및 저감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 2

댓글 0
4

그림과 같이 2개의 보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 과  의 2자유도 시스템으로 동적해석     하려고 한다. 지반에 수평지반가속도 가 작용할 때 주어진 구조물의 운동방정식을 유도하시오. (단, 감쇠와 보의 축변형은 무시한다.)

댓글 0
5

콘크리트의 초기동해에 영향을 주는 인자 5가지를 설명하시오. 4 – 3

댓글 0
6

H형강기둥 주각에 소요응력 (   N ·,  kN)이 작용할 때 아래 조건을   이용하여 앵커볼트 개수(6개) 및 베이스플레이트 두께(50mm)의 안전에 대하여 검토하시오. (단, 별도의 소요응력 계산, 리브플레이트 설계, 주각용접부 설계 및 앵커볼트 상세 설계는 생략한다.) 앵커볼트  Pa,  Pa   (베이스플레이트 설계 시 단순화 하기 위한 안전을 고려한 계수)       MPa 기둥 : H 400 400 13 21 (SM 490,  Pa ,  MPa) 4 – 4 청렴은 건전한 국가 재정의 첫걸음

댓글 0
4

4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초고층 건축의 CFT(Concrete Filled Steel Tube) 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 형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다음 구조물의 정정, 부정정을 판정한 후 지점반력을 구하고 단면력도(휨모멘트도, 전단력도, 축방향력도)를 그리시오.

댓글 0
3

다음 구조물에서 A, B, C점의 수평반력을 구하시오. 3 – 1

댓글 0
4

다음 조건을 이용하여 정사각형단면 기둥(C1)에 지지되는 C1기둥 부위의 플랫슬래브 전단에 대하여 검토하고, 만약 설계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면 전단철근을 사용하여 보강설계를 하시오.  = 6 kN/m  2  = 4 kN/m 주철근비  = 0.005 C1기둥 크기 500 mm × 500 mm    플랫슬래브 크기      슬래브 두께 h = 200 mm (d = 160 mm) ck= 27MPa (보통콘크리트) 스터럽은 D10 2 (= 71.3 mm y f = 400 MPa) 3 – 2

댓글 0
5

다음 그림과 같은 보에서 탄성상태에서의 휨모멘트도를 작성하고, A점과 C점에서 모두 소성힌지가 형성될 때의 하중은 탄성한도 일때의 하중의 몇 배인지 구하시오.  (단,   로 한다.) 

댓글 0
6

다음과 같이 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균형변형률 상태의 설계축강도  설계휨강도  를  구하시오. (단, MPa,MPa, 콘크리트 외면에서 철근 중심까지의 거리는 65mm이다.) 3 – 3 청렴은 건전한 국가 재정의 첫걸음

댓글 0

댓글 (0)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