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깊은보에 대한 전단설계 시 최소 철근량 산정 및 배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2 |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제시되어 있는 현장타설콘크리트 말뚝의 구조세칙에 대하여 4가지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풍동실험을 실시해야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강재의 응력-변형도 곡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구조물의 성능수준은 지진에 의한 구조체의 손상정도에 따라 거주가능(Immediate Occupancy, IO), 인명안전(Life Safety, LS), 붕괴방지(Collapse Prevention, CP)의 3가지 수준으로 구분한다. 각각의 피해 정도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르면 ‘건축, 기계 및 전기 비구조요소’의 지진하중 산정 시 비구조요소의 중요도계수 I P1.0을 적용한다. 이와 다르게 중요도계수 P =1.5를 적용 하는 특정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7 |
강구조의 병용접합에서 ‘고장력볼트와 일반볼트’, ‘고장력볼트와 용접접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8 |
강성과 강도에 대하여 정의하고, 강성비정형과 강도의 불연속-약층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댓글 0
|
9 |
구조물의 내진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층간변위, 허용층간변위, 설계층간변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10 |
지진하중을 받는 건축물의 내진해석 시 응답스펙트럼해석법으로 수행하는 경우, 모드 밑면전단력 산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댓글 0
|
11 |
기초구조에서 지반침하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12 |
건축구조기준(KBC2016)의 기초구조에서 지반의 액상화, 액상화 평가 및 액상화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13 |
활하중의 저감계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2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다음 그림과 같은 원형 나선철근 기둥이 아래 조건을 만족하고, 철근이 균형변형률 상태일 때, 설계축하중( )과 설계모멘트( )를 각각 구하시오. ․ 압축부 단면적과 중심거리는 다음 표를 이용 ․ ck=24MPy, f =40sMPa, E =200,000MPa ․ D25의 철근 단면적(As=506.7mm ) ․ 변형률 은 소숫점 5째 자리에서 반올림
댓글 0
|
2 |
그림과 같이 예상균열과 직각방향으로 경사스터럽을 배근할 때, 경사스터럽에 의한 ×sicoco 식을 유도하시오. ․ 간격 내의 전단철근의 단면적 ․횡방향 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 ․ 유효깊이 ․ 경사스터럽간격 일정
댓글 0
|
3 |
브라켓에 고정하중DP =50kN,L활하중 P =40kN 이 작용할 때, 필릿 용접부의 안전성을 검토하시오. (단, 기둥 및 브라켓 단면은 충분히 안전한 것으로 가정하며, 용접재의 인장강도 uw=420MPa이다.) (단위 : mm)
댓글 0
|
4 |
내진성능평가 방법 중 2단계 상세평가 수행 시 성능점 산정의 방법에는 ‘역량스펙트럼법’과 ‘변위계수법’이 있다. 이 중 ‘변위계수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1층 공장구조물에 대한 동적 계수를 구하고자 한다. 아래조건에 따라 a) 장변 방향의 횡강성을 구하시오. b) 단변 방향의 횡강성을 구하시오. ․구조물의 전체중량은 80kN이고, 지붕트러스는 강한 보의 역할을 한다. 4 4 ․4개의 기둥은 모두 동일한 단면(I xx180cmyy I =337cm )으로 되어 있다. ․단변방향의 횡하중은 핀(pin)접합 트러스로 구성된 가새시스템에 의해서 저항한다. ․수직 가새의 단면적은 A b6cm ) ․강재의 탄성계수는 200GPa
댓글 0
|
6 |
그림과 같은 3힌지 골조의 G점에서의 단면력을 구하고, 전체구조물의 단면력도(축력 도, 전단력도, 휨모멘트도)를 그리시오.
댓글 0
|
3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다음 그림과 같은 고력볼트 접합부에서 고력볼트에 발생하는 최대 전단력 크기를 구하시오. (단위 : mm)
댓글 0
|
2 |
다음 그림과 같이 인장과 전단의 조합력을 받는 접합부에 대하여 검토하시오. (단, 사용된 M16볼트의 설계전단강도는 60.3kN/ea, 설계인장강도는 113kN/ea, 접합면의 미끄럼강도는 검토를 제외한다.)
댓글 0
|
3 |
다음 그림과 같은 단순지지 철근콘크리트 직사각형 보에서 고정하중만 지속하중으로 작용한다고 가정할 때, 5년 경과후의 전체 처짐을 건축구조기준(KBC 2016)에 따라 산정하시오. (단,ck =2yMPa, f =400MPa이고, 철근 D22(As=387mm ), 보통 중량콘크리트를 사용하였다.) (단위 : mm)
댓글 0
|
4 |
다음 보의 최대 하중을 산정하고, 최대하중 도달 시 B점의 처짐을 산정하시오. (단, 모든 부재의 휨강성은 소성모멘트는이다.)
댓글 0
|
5 |
전체기초가 외부에 노출된 전면(온통)기초의 경우, 기초하부의 동결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대책 방안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다음 그림과 같은 연속보에서 B지점이 δ 만큼 수직침하 하였을 때 B지점의 반력을 에너지법을 이용하여 구하시오.
댓글 0
|
4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다음 충전형 원형강관기둥(CFT)에서 조건이 다음과 같을 때 설계압축강도( P )를 산 n 정하시오. ․원형강관 : F =355MPa, A =25770mm , I =1.11x10 mm y s s ․콘크리트 : f =30MPa(보통골재 사용) ck ․부재의 유효좌굴길이 : KL=7,000mm ․조밀 및 비조밀단면의 한계 ․탄성계수 : E=210,000MPa
댓글 0
|
2 |
직경 20mm인 단일 갈고리볼트가 그림과 같이 기초판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볼트의 인장강도는 uta400MPa,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ckf =30MPa이다. 갈고리볼트는 기초판 가장자리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하중계수가 고려된 20kN의 계수인장하중이 작용하고 있다. 사용 시 앵커가 설치된 기초판에 균열이 발생하고, 콘크리트 파괴를 구속하기 위한 별도의 보조철근은 배근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갈고리볼트의 안정성을 검토하시오. (단, 볼트의 인장 강도감소계수 =0.75, 앵커의 뽑힘강도에 대한 강도감소계수 =0.7 적용한다.)
댓글 0
|
3 |
변형에너지와 관련된 용어에 대해 설명하시오. (1) 변형에너지 밀도 (2) 레질리언스계수 (3) 인성계수
댓글 0
|
4 |
경사지에 위치한 1층 철근콘크리트 골조가 지형 때문에 높이 차이가 있는 기둥으로 설계되어 있다. 지진이 발생하여 상층 수평변위가 1.5cm로 측정되었다. 골조의 고유 진동수와 각 기둥에 나타나는 전단력을 구하시오. (단, 구조물의 전체중량은 50kN이고, 기둥과 보는 동일한 단면으로, 한 변이 30cm인 정사각형 단면이다.)
댓글 0
|
5 |
그림과 같이 2가지 전단벽 배열을 하고 있는 구조시스템에 횡하중 F가 작용한다. 각 시스템에 대하여 강한 격막(rigid diaphragm)일 때와 유연한 격막(flexible diaphragm) 일 때의 각각의 전단벽에 분담되는 작용력을 구하시오. (단, 횡하중 F는 diaphragm의 중심에 작용한다.)
댓글 0
|
6 |
길이 6.0m 강재 보의 좌측 단부는 상하 방향의 수직이동만 가능하고, 우측은 이동단 (Roller) 지점조건으로 되어 있다. 항복강도가 250MPa인 동일한 강재를 이용해서 2가지 단면형상(상자형, H-형)의 소성거동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다음 사항을 구하시오. (1) 부재력도(축력도, 전단력도, 휨모멘트도) (2) 각 단면형상계수 ․상자형 단면 : ․H-형 단면 : (3) 각 단면형상이 감당할 수 있는 최대 등분포하중의 크기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