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각 공사 단계별 건축물 안전강화를 위하여 시행하는 법 제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건축심의 전 2) 건축허가 후 3) 공사착공 후 4) 공사준공 후
댓글 0
|
2 |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표피철근의 배근 목적과 배치방법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댓글 0
|
3 |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막구조 재료(막재)의 특성과 품질기준상 필요한 강성 및 강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건축구조기준(KBC2016)은 내하력이 의심스러운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 평가를 규정하고 있는데, 여기서 평가를 위한 강도감소계수와 하중 및 하중계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지면 굴착 후 기초공사 전에 타설하는 버림콘크리트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강구조 내진설계에서는 볼트와 용접이 한 조인트에서 응력을 분담하거나 또는 한 접합부에서 같은 응력성분을 분담하여 설계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그 이유를 설명하고 H형강 가새 접합부를 예로 들어 바람직한 접합상세를 도시하시오.
댓글 0
|
7 |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라 중간모멘트골조에 적용되는 휨부재의 스터럽 형태 및 간격, 설치구간을 도시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8 |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의한 강도설계법에서 슬래브 설계 시 직접설계법의 제한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9 |
철근콘크리트 보에는 개구부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 기본 원칙이나, 현장상황에 따라 설비배관 등의 관통구를 설치해야 할 경우 개구부에 대한 일반적인 제한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10 |
진동문제 에서 각 항의 의미와 공진(Resonance)현상 및 계수 c의 역할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11 |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라 유효지반가속도 S = 0.2g, 단주기 지반증폭계수 Fa= 1.5, 1초주기 지반증폭계수 v= 2.0 인 경우에 설계응답가속도스펙트럼을 도시하시오.
댓글 0
|
12 |
철근콘크리트 보 주철근의 구부림각도에 따른 표준갈고리 길이 및 표준갈고리를 갖는 인장 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13 |
강재의 재료적 성질 중 충격강도와 피로강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2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그림과 같은 접합부에 작용할 때 다음을 검토하시오. 1) 필릿용접 사이즈(s=6)가 최소 사이즈와 최대 사이즈 사이에 있는가를 검토하고 필릿용접부의 용접길이를 구하시오. 2) 마찰접합인 고장력볼트 접합부의 설계미끄럼강도를 구하고 안전성을 검토하시오. ∙ 강재 : SM490 ∙ 고장력볼트 : M22 (F10T, 표준구멍) ∙ 미끄럼계수 ∙ 필러계수 ∙ 설계볼트장력 ∙ 필릿용접은 양측면 대칭으로 설계 ∙ 필릿용접부의 설계강도는 용접재의 강도로 결정함 ∙ 용접재의 인장강도 :
댓글 0
|
2 |
그림과 같은 보부재의 B점에서의 처짐과 처짐각, 반력 및 부재력을 강성매트릭스법 으로 구하고 전단력도와 휨모멘트도를 그리시오. ∙보부재의 단면적 : A ∙보부재의 자중은 무시함 ∙B지점에서 수직하중 P와 휨모멘트 P L이 작용함
댓글 0
|
3 |
그림과 같은 구조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슬래브(S1)를 상대 처짐을 고려할 경우와 고려하지 않을 경우에 대하여 설계하고, 주어진 도표를 이용하여 배근도를 그려서 비교하시오. ∙ck=24 MPy, f =400 MPa ∙슬래브 두께 150 mm, 보 B1/G1/G2는 400 mm × 700 mm, 기둥은 600 mm × 600 mm 2 2 ∙고정하중 5 kN/m (슬래브 자중 + 마감하중 포함), 활하중 3 kN/m ∙상대 처짐을 고려할 경우 G1과 B1의 상대 처짐량 10 mm ∙슬래브 유효강성(I e은 0.3gI 로 가정한다.
댓글 0
|
4 |
그림과 같이 신축건물과 기존건물 사이에 연결통로를 설치하고자 한다. 신축건물과는 핀(Pin)접합으로 하고 기존건물과는 신축이음(Expansion Joint)을 두어 분리할 계획 이다. 주어진 조건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AB부재: 9 m, BC부재: 3 m, BD부재: 8 m, ∙AB부재, BC부재: H-500×200×106 × , 부재 자중은 무시함) ∙BD부재: H-300×300×10×15(부재의 축변형은 무시함) ∙AB부재, BC부재에 작용하는 등분포하중 ∙고력볼트 4-M20(F10T), 설계볼트장력(T o=165kN, 표준구멍, 1면전단
댓글 0
|
5 |
다음과 같은 조건하에서 경간이 12m인 철골보의 설계휨강도 및 설계전단강도를 검토하시오. (KBC2016 적용, 철골보 자중은 설계 시 무시한다.) ◎ 검토조건 ∙작용하중 : P (고정하중(P )= 55kN, 활하중(P ) = 60kN) D L ∙경계조건 : 양단고정, 4등분점 횡지지 ∙철골보 : H-600×200×11×17 (SS400강재, F =y235MPa) ◎ 단면성능 ∙ x × mm Sx × mm Zx × mm y × mm ho mm r y mm r mm ∙강재의 탄성계수: E × MPa ◎ 횡좌굴강도 산정시 L 은 다음과 r다. E ∙ Lr rt y
댓글 0
|
6 |
각형 강관 기둥의 기둥-보 접합부의 다이어프램 형식을 그림으로 그리고, 특성을 설명하시오. 7 – 7 청렴은 건전한 국가 재정의 첫걸음
댓글 0
|
3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그림과 같은 3힌지 라멘에서 주어진 조건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L=10m, h1=5m, h2=9m, h2의 약축에 대한 좌굴길이 4.5m ∙유효좌굴길이계수 , Wu=30kN/m, Pu=1300kN, Hu=20kN ∙단면치수 H-250×250×9×14(SM490) : 2 2 2 Fy=315N/mm , E=205,000Ngmm , A =x,218mm y r =108mm, r =62.9mm ∙부재의 자중은 무시함 1) 각 부재의 단면력을 구하고 단면력도를 그리시오. 2) CD부재의 안전성을 검토하시오.
댓글 0
|
2 |
등분포하중을 받는 단순보의 단부에서 발생되는 사인장균열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 하시오. 1) 사인장균열의 발생원인과 대책방안을 설명하시오. 2) A, B, C 위치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표현하고, 그에 따른 주응력의 방향과 균열 발생방향을 그림으로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그림과 같은 2자유도 구조물의 고유진동주기와 진동모드형상을 구하시오. ∙ 는 각 층의 질량을 의미하며, 는 각 층의 층강성을 의미한다. 여기서 ton, 이다. ∙진동모드형상은 의 형상이 1이 되도록 정규화한다.
댓글 0
|
4 |
ㄷ형강의 전단중심(shear center) 위치에 대해 다음을 검토하시오. 1) 전단중심의 개념을 설명하시오. 2) 그림과 같은 ㄷ형강의 전단중심위치 e를 계산하시오. ∙ 형강 두께 ∙
댓글 0
|
5 |
그림과 같은 줄기초에서 단변(횡) 방향으로 D19철근이 200㎜ 간격으로 배근되어있을 때 다음을 검토하시오. 1) 단변방향으로 배근된 인장철근의 정착길이 를 계산하시오. 2) 기초판폭(B)이 1300㎜일 경우 정착길이의 확보여부를 검토하고 정착길이가 부족할 경우 보완방안을 설명하시오. ∙ 보정계수 산정을 위한 추가조건으로 - 도막되지 않은 철근이며, 보통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 콘크리트 압축강도 ∙ 철근의 항복강도
댓글 0
|
6 |
기성콘크리트말뚝 시공 시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합리적인 말뚝 두부 정리 요령 2) 말뚝 두부 균열의 종류, 원인 및 대책 3) 시공 오차에 대한 말뚝 보강방법 4) 말뚝 두부가 다음의 경우와 같은 하자가 있을 때 보강방법을 구체적으로 스케치(도시화)하시오. ① 말뚝 두부가 기초 저면보다 낮은 경우 ② 파일 강선이 부족한 경우 ③ 말뚝 두부가 손상된 경우 6 – 6 청렴은 건전한 국가 재정의 첫걸음
댓글 0
|
4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그림과 같이 100kN/m의 등분포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 구조의 A, B, C 위치에서 케이블의 인장력을 구하시오. ∙ B점은 케이블에서 가장 하단이며, 접선의 기울기가 0인 점이다. ∙ 케이블에 작용하는 등분포하중( ), 평력( ), 수평방향거리 , 수직방향거리 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6 – 1
댓글 0
|
2 |
다음 그림과 같은 주각이 중심축하중을 받을 때 베이스플레이트(SM490)를 설계 하시오. ◎ 설계조건 - 기둥 H-350×350×12×19(SM490), 기초 크기 2,000×2,000mm - 콘크리트 압축강도 ck=21MPa - 베이스플레이트(SM490y F =315MPa - 중심축하중 u =4,000kN 6 – 2
댓글 0
|
3 |
그림과 같이 스프링(spring)으로 지지된 캔틸레버보에 대하여 답하시오. (부재의 EI는 전구간 동일함) 1) A= RB일 때 스프링상수 Ks 값을 EI, L로 표시하시오. 2) A= RB일 때 A점과 B점의 수직 반력값 R A,B를 P로 표시하시오. 3) A= RB일 때 A점의 수직처짐 δ A와 B점의 수직처짐 δ 를BEI, L, P로 표시하시오. 6 – 3
댓글 0
|
4 |
각형강관 □-400×400×12(SM490)에 철근콘크리트로 채워진 8m 높이의 충전합성기둥 의 중심에 고정하중 1800kN, 활하중 2500kN의 압축력이 작용할 때 충전합성기둥의 구조안전성을 검토하시오. (KBC2016 적용) ◎ 검토조건 - 각형강관 : □-400×400×12 (SM490강재) Fy= 315MPa , u = 490MPa , Es × MP, A s18,624mm² - 콘크리트 : f ck= 27MPa, Ec × MPa, Ac=138,280mm² - 철 근 : fyr= 400MPa, Esr × MP, HD22 (A 1387mm²) A =387×8=3,096mm² sr - 하중조건 : P kN P kN DL LL - 기둥의 양단부 경계조건은 핀으로 가정한다. 6 – 4
댓글 0
|
5 |
나선철근과 띠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설계축강도와 관련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설계축강도(øn(max) 제시하시오. 2) 편심을 고려한 계수가 서로 다른 이유를 설명하시오. 3) 강도감소계수가 서로 다른 이유를 설명하시오. 4) 콘크리트 압축강도 f 에 추가로 계수를 적용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ck 5) 철근의 최대 설계기준항복강도를 제한하고 있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매스콘크리트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1) 정의 및 적용범위 2) 온도균열 3) 온도균열지수 4) 수화열 저감대책 (6가지 이상) 6 – 6 청렴은 건전한 국가 재정의 첫걸음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