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기존교량에 대한 내진보강공법의 종류를 열거하고 각각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수화열에 의한 균열제어대책을 열거하고 각각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우측 그림과 같은 저수지내에 있는 취수탑 구조물을 설계하고자 한다. 상기 구조물 설계 시에 고려할 하중의 종류와 하중 개념을 설명하시오. (단, 저수지는 1.0 km 이상 폭과 길이의 규모이고, 해발 500m 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
댓글 0
|
| 4 |
도로교 설계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구조용강재의 허용압축응력의 종류와 각 허용압축응력에서 정하고 있는 좌굴기준과 유효기둥 길이를 설명하시오. (국부좌굴에 대한 서술은 생략)
댓글 0
|
| 5 |
한계상태설계법에 대한 정의와 안전성 척도를 나타내는 한계상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철도교에서 바닥판을 설계할 경우, 궤도위에 실린 윤하중의 분포 관계 및 분포식을 자갈도상궤도(침목, 자갈도상, 방수공, 슬래브로 구성)와 슬래브궤도(슬래브궤도, 모르타르, 슬래브로 구성)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7 |
도로교 설계에서 하중의 정의와 종류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 8 |
교량용 방호울타리의 설치 개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9 |
강교 부재의 연결 설계에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10 |
곡선구간에서 Precast Beam 의 배치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11 |
설계지진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탄성받침을 사용할 경우 탄성받침의 강성과 배치는 어떻게 결정해야 하는가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 12 |
그림 1 과 같이 집중질량을 갖는 봉 A, B, C 의 고유주기가 TA, B ,C일 때, 각 봉의 기둥에 그림 2 의 가속도 응답 스펙트럼을 갖는 입력 지진이 작용할 때, 각 봉의 기둥에 발생하는 응답 전단력 VA, B , C 구하시오. (단, TA, B ,C는 그림 2 의 T1 T 2 사이의 값이고, 응답은 수평방향이고 탄성범위 이내에 존재) 그림 2 그림 1
댓글 0
|
| 13 |
무근콘크리트 부재가 그림 1 과 같이 5 년에 걸쳐 압축응력을 반복해서 받고 있다. 이 부재의 누적피로손상도를 구하시오. (단,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30MPa, 그림 2 는 압축강도 피로시험결과(S-N 곡선)이다.) 그림 1. 반복 압축응력 그림 2. 콘크리트 S-N 곡선
댓글 0
|
2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교량 받침(Shoe)의 파손 원인과 형식 선정 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연약지반에서 개착 박스구조물의 시공을 위해 중간 말뚝을 남겨둔 채 하부 슬래브 콘크리트를 시공한 경우와 중간 말뚝을 제거한 후 하부슬래브 콘크리트를 시공한 경우에 대해 측벽 및 중간벽체 타설시 두 경우의 차이점을 하부 슬래브에 작용하는 개략 휨 모멘트도를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아래 그림과 같은 3 경간 연속 강-콘크리트 합성형교에서 발생하는 2 차모멘트 (SecondaMoment)를지점별로 구하여 그림으로 나타내고, 2 차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요인별로 강 부재와 콘크리트 부재를 구분하여 응력식으로 나타내시오. (단, 상기식에서 사용되는 변수 즉, 단면상수, 유효계수, 부재력들은 상호 구별되어야 함.)
댓글 0
|
| 4 |
그림과 같은 2 경간 연속보에서 소성붕괴 하중을 구하시오. (단, 강종은 SM400 사용)------A-A 단면(H-00 × 300× 16 ×38 ¿
댓글 0
|
| 5 |
아래 그림과 같은 스틸프레임 구조 상부 거더상에 수평력 F(t)=12sin6.0t (kN)을 일으키는 회전기계(rotating machine)가 작용하고 있다. 이 회전기계에 의하여 발생하는 steady 상태의 진폭, 고유주기, 수학적 모델 및 기둥상에 작용하는 최대 동역학 응력을 구하시오. (단, 감쇠비는 5%로 가정하고 거더는 회전에 대해 강결 상태이며, 기둥 질량은 무시한다. 강재는 SM400 이고, 피로는 상시 허용 응력의 80%로 하며, 좌굴 효과는 무시하고 거더 상면의 중량은 15 kN/m 가 작용) 기둥 단면상수 E = 200,000 ㎫ I = 4 × 10 mm 5 3 Z = 3.25 × 10 mm 2 g = 9.8 m/sec
댓글 0
|
| 6 |
편심축하중을 받는 기둥의 처짐곡선방정식을 유도하고, 하중-처짐도 및 기둥중앙에서 발생하는 최대 처짐을 구하시오. (단, 기둥의 양단은 단순지지되어 있고, 단면도심과 축하중 작용선의 편심거리는 e 이다.)
댓글 0
|
3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아래 그림과 같이 배치된 거푸집, 동바리에 대하여 설계하시오. 단, ⦁콘크리트 단위중량 25 kN/m , 허용처짐 : 3.0 mm ⦁충격하중은 고정하중의 50%를 적용하고, 작업하중은 1.5 kN/m 로 적용하며 거푸집 중량은 무시한다. ⦁합판과 목재 탄성계수 E=9000 MPa, 허용응력은 12 MPa ⦁강재 탄성계수 E=200,000 MPa 강재는 SM400 으로, ℓ/b ≤ 30 이면 fbca = 140-2.4(ℓ/b-4.5), 2 ℓ/r > 93 fca = 1,200,000/(6700+(ℓ/r) ) ⦁각 부재별 구조해석 모델링을 정하고, 구하고자 하는 부재력 식은 구조계에 맞추어 적절히 가정하여 산정하고, 서포트에 작용하는 횡력은 무시하며, 응력 할증은 고려하지 않는다.
댓글 0
|
| 2 |
강교량의 합리화 측면에서 현장용접의 도입 필요성과 강교 현장용접의 장ㆍ단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1) 교량의 가설공법을 강교와 콘크리트교(현장타설 및 프리캐스트)로 구분하여 열거하고 설명하시오. 2) 복합트러스교의 종류를 열거하고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폭 b=500 mm, 유효깊이 d= 540 mm, 인장철근 As = 5-D25= 2533 mm 인 단철근 직사각형 단면의 단순보가 사용 고정하중모멘트 90 kN·m, 충격을 포함한 사용 활하중모멘트 150 kN·m 를 받고 있다. 피로에 대하여 검토하시오. (단, fck = 24 MPa, fy = 400 MPa, n = Es/Ec = 7 이다.)
댓글 0
|
| 5 |
그림과 같은 구조물의 끝단에 하중 P 가 작용할 경우에 C 점의 변형에너지 및 연직변위(rδ)를 구하시오. (단, EI 는 일정하다.)
댓글 0
|
| 6 |
다음 그림과 같은 텐던 정착구의 정착구 배면 콘크리트 지압응력에 대해 최대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및 설계하중 작용시의 경우에 대해 구조안전성을 확인하시오. 단, fck = 40MPa, fci = 32MPa 사용텐던 = 12EA/12.7mm 강연선 1 가닥의 단면적 : 98.71mm 2 정착판 크기 : 250mm × 250mm 정착판 홀 직경 : 100mm 텐던 항복강도 fpy = 1600MPa Ab' 프리스트레스 도입직후 허용지압응력 : ba=0.7 ci√ Ab−0.2 ≤ 1.10ci A ' fba0.5 ck b ≤ 0.9 ck 설계하중 작용시 허용지압응력 : √ Ab
댓글 0
|
4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사장교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진동현상과 제진대책에 대해서 설명하고, 아래 교량 케이블의 풍우진동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시오. (단, 그림에서 치수 단위는 m 이다.) (단, 케이블의 구조감쇠비 ζ = 0.24−6× 1L (% ,L은 케이블 길이(m), 3 공기밀도 ρ =1.225 kg/m 케이블 제원 단위길이당 질량 케이블 직경 구 분 m ( kg /m ) D ( m m ) C1 90 160 C2 80 150 C3 60 140
댓글 0
|
| 2 |
우측 그림과 같은 철골철근콘크리트(SRC)보 부재 설계 방법과 각 방법별 정의, 가정 및 개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대심도 도로 터널 라이닝 섬유보강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화 특성과 화재 시간-온도 이력곡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우측 그림과 같은 반경이 a 인 원호 AB 의 C 점상에 집중하중 P 가 작용시 휨모멘트, 전단력도, 축력도를 그리시오. (단, A, B 점은 힌지이며, C 점은 게르버힌지로 가정한다.)
댓글 0
|
| 5 |
우측 그림과 같은 트러스에서 지점 a 에서 5mm 아래로, 지점 b 에서 10mm 위로, 지점 c 에서 15mm 아래로 지점변위가 일어났을 때의 각각의 부재력을 구하시오. (단, E = 200,000 MPa, 외부하중은 없음, 괄호안의 숫자는 부재의 단면적(cm ) 임)
댓글 0
|
| 6 |
치수가 동일한 두 개의 판(한변의 길이 = a)을 그림과 같이 겹쳐진 상태(상,하의 판은 부착 상태가 아님)로 점 0 의 바깥쪽으로 밀어내려고 한다. 이 때 판이 추락하지 않고 점 0 으로부터 밀어낼 수 있는 최대 y 를 구하시오.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