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콘크리트 휨부재 해석에서 등가직사각형 압축응력분포 모델을 사용할 때, β1 정의하고 강도에 따라 다르게 규정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축방향 하중을 받는 PSC 부재의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좌굴의 영향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구조재료로서의 강재의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곡률 반경 R 인 원호를 따라 배치된 PS 강재의 곡률마찰로 인한 긴장력 손실을 계산하시오. (단, 긴장력0, 각변화α인곳에서 감소된 긴장력 Px, PS 강재와 쉬스 사이의 마찰계수 )
댓글 0
|
| 5 |
교량의 상부구조에서 2 차 부재(secondary member)의 종류를 열거하고, 그 기능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인장력을 받는 강판을 볼트로 연결하였을 때, 볼트 및 이음판의 파괴형태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 7 |
직사각형(b,a≧)단면을가진축에비틀림모멘트가작용할때,발생하는뒤틀림현상(warping)과 최대 전단응력의 발생위치 및크기에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8 |
경간 100m 이상의 연속 PSC Box Girder 교량에서 온도하중에 의해 교각에 과도한 응력이 발생하여 교각의 구조를 TYPE1 에서 TYPE2 로 변경하였더니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단, TYPE1 의 기둥 단면적과 TYPE2 의 기둥 총단면적은 동일하다.) TYPE1 TYPE2
댓글 0
|
| 9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사용한 교량의 특징 및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10 |
지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2 층 라멘 구조물의 파괴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11 |
전단 지간비(shear-span ratio, a/d)의 변화에 의한 전단 거동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12 |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균열 발생 메카니즘과 영향 인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13 |
초음파법에 의한 콘크리트 균열깊이 검사 원리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2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고강도 강을 교량 구조물에 사용할 경우, 설계와 제작상의 유의 사항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구조적인 균열에 대하여 발생원인,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및 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사장교의 특징 및 장·단점을 거더교와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강구조물의 용접부에 발생하는 잔류응력의 발생원인, 구조적 영향, 경감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그림과 같이 3 개의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중량 20kN 인 균질한 강체 AB 에 P=40kN 의 강체 구슬을 올려놓으려 한다. 강체구슬이 굴러 떨어지지 않고 봉 AB 가 수평하게 될 수 있는 위치(x)를 결정하시오. 단, 스프링 상수 k1= 2.5kN/mm, k2= 1.5kN/mm,k3= 1.0kN/mm 이다. P x 20kN A B k k k 1 2 3 500m m 500m m
댓글 0
|
| 6 |
그림과 같은 복철근 직사각형보에 M u 550 k가 작용하고 있을 때 철근량을 구하시오. (단,ck=28 MPay, f = 이고,ϕ = 0이다)
댓글 0
|
3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강교량의 피로손상의 원인을 설계 - 제작 및 시공 - 유지관리의 단계별로 설명하고, 피로설계 방법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그림과 같은 교량에 플레이트 거더와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3 개월 후 15℃ 에서 교좌장치를 점검하였더니 A1 측으로 25mm, A2 측으로 15mm 수평이동 발생을 확인하였다. (1) 거더 설치시 온도를 -10℃로 가정하여 온도변화에 의한 이동량을 계산하시오. (2) 수평이동 발생 원인을 열거하고, 각각의 원인에 대한 교량의 안전 및 보완대책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그림과 같이 이상화된 기둥의 C 점에 축방향 하중 P 가 작용하고 있다. A, B, C 는 모두 핀 (pin)으로 연결되어 있고, A 점에 회전 강성 를 갖는 스프링을 설치하였다. (단, 스프링은 선형탄성거동을 하며, 변위와 회전각은 작다고 가정한다) (1) 이때의 좌굴하중을 구하시오. (2) B 점과 C 점에 A 점과 동일한 스프링 강성 를 갖는 스프링을 설치하였을 때 좌굴하중을 구하시오.
댓글 0
|
| 4 |
그림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최소두께, 리브 플레이트의 응력 및 앵커볼트 규격을 구하시오. f =24 MPa f =9.6 MPa (단, ck , 콘크리트 허용지압응력 ba , 플레이트 허용응력 ca=190 M이다)
댓글 0
|
| 5 |
그림과 같은 T 형 단면의 설계 휨강도( ϕ n)를 계산하고, 인장철근의 항복 여부를 확인하시오. (단, tf=120mm, bw=320mm, h=600mm, d=500mm, As=4,765mm ck =21 MPa,fy=400MPa, 보의 경간 L=3.2 m, 철근의 최소 허용인장 변형율 ϵt min =0.004 이다)
댓글 0
|
| 6 |
그림과 같은 라멘에서 A 는 강절점이고, B, C, D 는 고정지점이다. A 점에 시계방향의 모멘트 M 이 작용할 때, A 점의 회전각과 지점반력을 구하시오. (단, 부재의 길이는 수평부재 , 및 수직부재 이며, 모든 부재의 탄성계수 E 와 관성모멘트 I 는 일정하다)
댓글 0
|
4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합성 거더교를 시공방법에 따라 구분하고, 합성 작용에 의한 단계별 응력상태를 도시하시오.
댓글 0
|
| 2 |
강교량의 가설공법중 가설조건, 가설방법 및 특징에 대하여 아래 열거한 공법 중 4 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자주식 Crane Bent 공법, Floating Crane 공법, 대선공법, Cable Crane Bent 공법, Traveler Crane 편지식 공법, 송출공법)
댓글 0
|
| 3 |
강재 교량의 수직, 수평 보강재에 대하여 설치 목적 및 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그림과 같은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변형율도를 이용하여 연성파괴 여부를 검토하고, 설계휨강도 ϕMn 을 구하시오. (단,ck=30 MPay, f =4이다)MPa
댓글 0
|
| 5 |
그림과 같은 뼈대 구조물 E 점에 20kN 의 수평력이 작용하고, C 점에 10kN 의 연직력이 작용하고 있다. (단, A 와 F 는 힌지지점, B 와 D 는 강절점이다) (1) 소성힌지가 발생할 수 있는 곳을 명시하고 소성붕괴 기구를 그리시오. (2) 붕괴기구 별로 소성모멘트를 구하시오.
댓글 0
|
| 6 |
복공판 시공과정에서 중앙지점 B 의 위치가 A 점과 C 점에 비해 낮게 위치하여( TA =10mm) 단순지지 형태로 설치되었다. 복공판의 총 길이(2L)는 2m 이고, 휨강성 EI=1.2× 10 2이다. 등분포하중 q 의 크기가 0 에서 500kN/m 까지 변화할 때, B N·m 점의 모멘트 MB q 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시오.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