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강교량의 복부(web)에 발생하는 인장장(tension field)을 설명하시오. γ
댓글 0
|
| 2 |
유효전단변형률( eff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항복고원(yielding plateau)에 대해 정의하고 저탄소강 및 고탄소강 철근의 응력-변형률 특성 및 연관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불완전 합성보의 유효단면 성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PSC 용 강재로 사용되는 PS 강선, PS 강봉, PSC 강연선에 요구되는 성질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강재의 피로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7 |
PSC 보의 압력선과 핵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8 |
PSC 사장교의 특징을 강사장교와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9 |
지하구조물에서 양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과 대책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10 |
다음 그림과 같은 구조물의 강성계수 및 고유진동수를 구하시오. (단, W 는 판의 중량이다.)
댓글 0
|
| 11 |
다음 그림과 같은 푸팅(footing)의 파일캡(pile cap)에 대한 스트럿-타이(strut-tie) 모델을 작성하고, 타이(tie)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구하시오.
댓글 0
|
| 12 |
작용하중 P 를 지지하기 위해 연약지반에 길이 L=10m 인 강관말뚝을 설치하였고, 이 강관말뚝은 단위길이당 일정한 분포를 나타내는 마찰력(f)에 의해 지지되고 2 있다. 강관말뚝의 작용하중 P=1000kN, 강관말뚝의 단면적 A=0.01rmm 탄성계수 E=200GPa 일 때 다음을 구하시오. (단, 강관말뚝의 자중은 무시하고, 작용하중은 P 만 고려한다.) (1) 작용하중 P 에 의해 줄어든 강관말뚝의 길이를 구하시오. (2) 강관말뚝의 허용응력이 200MPa 일 때, 강관말뚝의 안전성을 검토하고, 강관말뚝에 발생되는 응력분포를 구하시오.
댓글 0
|
| 13 |
다음 그림과 같이 고리추가 달린 길이가 인 봉에 높이 위치에서 질량 M인 추를 자유낙하 시킬 때, 봉이 늘어난 최대 길이 δmax구하시오. (단, 봉이 늘어난 최대 길이는 정적처짐( )st항으로 표현하고, 봉의 단면적은 A, 탄성계수는 E 이다.)
댓글 0
|
2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개정 도로교설계기준(2010 년)의 연성도를 고려한 내진 설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하중저항계수설계법(LRFD)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다음 그림과 같이 외부케이블을 퀸포스트(queen post)형식으로 보강한 단순거더의 지간 중앙에 집중하중 2P 를 작용시켰을 때 외부케이블에 발생하는 장력 T 를 구하시오. (단, 자중은 무시하고, 거더의 탄성계수 및 단면 2 차 모멘트, 단면적은 각각 Es, Is, L As 이고, 케이블의 탄성계수 및 단면적은 각각 Ep, Ap 이다.2여기서, a≤ 이다.)
댓글 0
|
| 4 |
다음 그림과 같은 3 경간 강합성교량의 화재피해 때문에 블럭 1, 2, 3, 4 를 해체하고 동일한 블럭으로 재가설하려고 한다. 화재로 인한 전 구간의 구조계 변화를 고려하여 해체 및 재가설시 다음을 설명하시오. (단, 바닥판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는다.) 1) 해체 및 재가설을 위한 최소 벤트(bent) 설치 계획 2) 블럭의 재가설 순서 및 방향 3) 재가설시 변위 관리 ¿KAPPA≤¿
댓글 0
|
| 5 |
다음 그림과 같은 2 경간 연속교에서 중간교각(BD 부재)의 축방향강성(0 ∞)이 P일 때 다음 3 가지 경우에 지점(B)의 수직반력(RB)에 대한 영향선을 작성하시오. (단, 상부거더의 EI 는 일정하고 D 점의 수평반력과 모멘트반력은 무시한다.) 1)P=∞일 때 2)P=0 일 때 3) 임의의 값 일 때
댓글 0
|
| 6 |
다음 그림과 같은 내민보 구조물의 정모멘트 최대부를 복철근 직사각형 단면으로 ϕ M 설계하였다. 단면의 설계 단면력( n을 계산하고 단면의 안전성을 검토하시오. (단, 자중을 포함한 고정하중(D)은 wD= 14kN/m, 활하중(L)은 wL= 35kN/m 이고, 계수하중은 W = 1.2D + 1.6L 을 적용한다.) 여기서, b=300mm, d=560mm, d'=70mm, ck27MPa, As=2383rmmm(3-D32), 2 As=573rmmm(2-D19),y=400MPa, Es200GPa
댓글 0
|
3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강교량의 피로손상 원인에 대하여 쓰고, 피로균열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사례를 2 가지만 들고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장대 해상교량에 사용되는 기초공법 중 케이슨(caisson) 공법의 종류를 쓰고, 각 공법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사장교에서 비선형해석을 해야 하는 주요 요인 3 가지를 쓰고, 각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다음 그림과 같이 양단이 고정된 봉 AC 에서 B 점에 축하중 P 가 작용할 때, 응력-변형률선도를 고려하여 B 점의 연직처짐을 구하시오. (단, 부재 AB 의 단면적은 a=1000mm , 부재 BC 의 단면적은 2a=2000mm 이며, 축하중 P=80kN 이다.)
댓글 0
|
| 5 |
다음 그림과 같은 연속보의 지점 B 에 지점침하(△)가 발생하였다. 이 연속보를 해석하여 전단력도와 휨모멘트도를 작성하시오. (단, 부재의 휨강성 EI 는 일정하다.)
댓글 0
|
| 6 |
다음 그림과 같은 3 경간 강합성교의 교축방향 내진해석을 수행하여 교축방향의 수평 변위를 구하시오. 해석조건은 다음과 같이 상부거더 전체에서 동일하고 하부교각에서 동일하다. 교량은 내진 1 등급이며 지진등급은 I 구역, 가속도계수(A)는 0.14, 지반계수(S)는 1.2 이다. (단, A, B, D 점의 지지조건은 롤러(roller)이고, C 점의 지지조건은 힌지(hinge)이다.) 단면적(As) = 0.05 m단면2 차모멘트(Is) = 1.0 m 상부구조(강재) 5 3 탄성계수(Es) = 2.0 x 10 MPa, 단위중량(W) = 180 kN/m 4 4 교각(콘크리트) 단면 2차모멘트(Ic) = 0.5탄성계수(Ec) = 2.0 x 10 MPa
댓글 0
|
4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이종 부재의 접합으로 구성되는 혼합거더교(복합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공진(resonance)을 설명하고 설계 시 공진효과를 고려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교량의 내풍설계에 대해 다음을 답하시오. 1) 정적설계풍하중 산정 시 거스트계수(gust factor, G)를 설명하시오. 2) 지진응답스펙트럼(Earthquake Response Spectrum)과 풍속파워스펙트럼(Wind Power Spectrum)의 차이를 설명하고, 풍속파워스펙트럼을 이용한 거스트계수(G) 산정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다음 그림과 같은 구조물에서 A 는 강절점, B 는 롤러지점, D 는 힌지지점이며, E 는 고정지점이다. A 점에 시계방향의 모멘트하중 M 이 작용할 때, 각 부재의 분배모멘트 MAB, MAC, MAD, MAE 를 구하시오. (단, 부재의 길이는 수평부재 LAB=2L, LAD=L 및 수직부재 LAC=L, LAE=L 이며, 부재 AC 의 휨강성 EI 는 무한대(∞)이고, 나머지 부재의 휨강성 EI 는 일정하다.)
댓글 0
|
| 5 |
등분포하중을 받는 단순보의 최대모멘트를 감소시키기 위해 그림과 같이 보의 중앙부에 케이블을 설치하였다. 이 때 설치된 케이블은 한쪽이 고정된 캔틸레버에 연결되어 있고, 설치된 케이블은 하중이 작용하기 전에 설치를 하였다. 등분포하중 6kN/m 가 작용할 때 다음을 구하시오. (1) 케이블에 작용하는 힘(F) (2) 켄틸레버에 작용하는 최대모멘트(M) (3) 단순보에 발생하는 최대모멘트의 발생위치와 최대모멘트를 계산하고, 단순보의 전단력도(SFD)와 모멘트도(BMD)를 작성하시오. 캔틸레버빔(AB) 케이블(AC) 단순보(DE) 단면 2 차모멘트 1519×10rmmm - - 단면형상 - ϕ=6mm =100×300mm 탄성계수 200GPa 200GPa 10GPa 적용길이(Li) 1.8m 3.0m 6.0m
댓글 0
|
| 6 |
다음 그림과 같은 단경간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PSC) 거더에서 지간중앙, 1/4 지간, 지점에서의 긴장재의 배치 범위를 정하시오. 거더 자중은 6.75kN/m 이며 등분포 활하중(w)은 21.0kN/m 이다. PS 도입직후의 허용휨압축응력 ci 16.8MPa, 허용휨인장응력 fti 1.3MPa 이며, PS 손실 발생 후의 허용휨압축응력 fcs 16.0MPa, 허용휨인장응력 fts 3.2MPa 이다. 초기 프리스트레스힘 Pi = 2,100kN 이며, 유효율은 85%로 본다. 단면 상연에 대한 3 3 단면계수 Z₁= 48,597cm 이고, 하연에 대한 단면계수 Z₂= 57,074cm 이며, 2 단면적 Ac = 2,700cm 이다. (단, 모멘트는 정수로 산정하며, 배치범위는 소수점 1 자리, cm 단위로 정리한다.)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