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구조기술사 제112회 기출문제

시험일: 2017-05-15

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

PDF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정리된 문제
1

1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신뢰도 지수(Reliability Index)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질량참여계수(Mass Participation Factor)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최근 건설재료로 사용되기 시작한 초고성능 콘크리트(UHPC(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명기된 유사활하중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5

강구조 설계에서 인장력에 기초하여 설계되는 부재의 세장비(l/r)는 가급적 300을 넘지 않도록 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6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풍하중 산정 시 고려할 '지표면 조도구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7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설계(구조설계)의 최종 결과물로서 구조체의 구성, 부재의 형상, 접합상세 등을 표현하는 도면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8

내진설계에서 고려하는 건물형상의 수직비정형형성 중 다음 유형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① 강성 비정형 연속 ② 기하학적 비정형

댓글 0
9

지진력을 받는 말뚝기초 설계 시 단면적시켜야 되는 요구 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10

지하외벽(basement wall)과 옹벽(retaining wall)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설계할 때 토압을 다르게 적용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댓글 0
11

비선형 해석 시 부재의 모델링, 변수결정을 위한 부재력 결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12

응답스펙트럼의 개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13

점탄성댐퍼, 마찰댐퍼의 이력곡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2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다음과 같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압축강도 : 27 MPa 콘크리트 중량 : 25 kN/m³

댓글 0
2

그림과 같은 트러스 구조물에서 AB부재는 5mm, DE 부재는 10mm 짧게 제작되었다. G점의 수평변위를 구하시오. (단, 모든 부재의 EA는 동일하며, E=200GPa, A=400mm²)

댓글 0
3

푸쉬오버(pushover) 해석의 특성 및 해석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결손부(0.1m×0.2m)가 있는 철근콘크리트 단면 T형보가 있다. 보에 배근할 수 있는 최대 인장철근량(A, )과 그때의 모멘트 강도(M,)를 구하시오. (단, 사용재료의 강도는 fc = 30MPa, f, =500MPa, Es = 2 × 10 MPa이다.)

댓글 0
5

아래 철골보의 전단력은 전면과 후면의 압축력만으로 콘크리트 벽체로 전달되고, 지압력은 브라켓에서 하중전달과 같은 방식으로 전달되므로 그에 대한 트러스 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Ⅱ형강 보가 벽 또는 기둥에 매입되는 경우에 대한 트러스 모델을 구성하시오.

댓글 0
6

매입형 합성부재 또는 충전형 합성부재에 외력이 측방향으로 가해질 때, 강재와 콘크리트간에 전달되어야 할 힘의 크기 산정을 위한 외력의 분배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3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그림과 같이 구조물을 3-hinge 골조로 구조계획을 하고자 한다. 골조에 작용하는 하중은 좌우측에 집중하중으로 표현하였다. 골조에 휨모멘트가 발생하지 않고 축력만 발생하도록 골조의 형상을 그림으로 표현하시오.

댓글 0
2

우측 그림과 같은 길이 L=3000mm인 연결보(Coupling Beam) (300mm×540mm)의 모멘트 및 전단력은 다음과 같다. M=185 kN-m, V=143kN 변형 지배 적용, 하중 지배 적용을 구분하고 아래 표를 참조하여 보의 부재 비선형 모델의 변수(parameter) 값을 구하시오. (IO, LS, CP로 구분) K= EI/L, E = 8500 √f, f = 24 MPa, f, = 400 MPa 연결보 유효 장성 : 0.2EI 작용전단력비율 Vil(√fck bw d), (단 d는 490mm로 검토한다.)

댓글 0
3

직경 40mm 원형 결손부를 갖는 L형강 L-90×90×10으로 그림과 같은 접합 설계를 하였다. 인장재의 설계인장강도 구하고, 설계인장강도에 대한 필렛용접부의 안전성 검토를 하시오. (단, L형강의 재질은 SS400(F = 235 MPa)이며, 단면적은 A = 1700mm², C₁ = C = 25.4mm, Gusset Plate는 충분히 안전한 것으로 가정한다.)

댓글 0
4

그림에서와 같이 10kN의 장비가 매달린 레일 구조물에서 이동한다. B지점에서 발생하게 될 최대 휨모멘트를 구하시오.

댓글 0
5

건축, 기계 및 전기 비구조요소는 등가정적하중과 변위에 견디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이때, 등가정적하중 산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6

강관 트러스 접합부의 한계상태에 대하여 그림을 그리고 설명하시오.

댓글 0
4

4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다음과 같은 연속보를 모멘트분배법을 이용하여 반력을 구하고 SPD, BMD를 그리시오.

댓글 0
2

그림과 같은 조건의 기초판에서 전단 보강재를 배치하지 않는 상태로 작용 전단력을 지지할 수 있는 기초판의 두께를 결정하시오. • 기둥 크기 : 400mm × 700mm • 사용 고정하중 : 1,600 kN • 사용 활하중 : 1,300 kN • far = 24 Mpa • A=1(일반 콘크리트) • 내부기둥 • p = 0.005

댓글 0
3

길이 L=7.5m의 용접 H형강 H-600×300×9×12(SM490)가 아래 그림과 같이 단순 지지보 L/3간격으로 횡비틀림면이 횡비틀림면이 구속되어 있다. 횡재의 국부좌굴과 전체좌굴을 고려해서 허용할 수 있는 최대집중하중 크기를 단계적으로 구하시오.

댓글 0
4

그림과 같은 비균일단면 보가 있다. 등분포하중이 작용하고 있을 때 최대 휨응력이 발생하는 위치를 구하시오, 허용휨응력이 f = 20MPa일 때 작용할 수 있는 최대등분포 하중의 크기를 구하시오. (단, 지점 A, B에서의 단면 크기는 300mm×300mm, 중앙부 C에서의 단면 크기는 300mm×750mm이며, 보 자중은 무시한다.)

댓글 0
5

건축구조기준(KBC2016)에 따른 강구조에서 기둥과 보의 안정성 가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6

에서 원형강봉으로 매달았을 때, B점의 처짐량이 10mm이하로 되기 위해 필요한 원형강봉(SS400)의 최소직경을 구하시오.

댓글 0

댓글 (0)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