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관 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다음 4가지 열전달(Heat Transfer) 현상을 설명하시오. ① 전 도(Conduction) ② 대 류(Convection) ③ 복 사(Radiation) ④ 공력가열(Aerodynamic heating)
항공기용 가솔린 왕복엔진의 완전분해검사(Overhaul) 시 실린더 배럴(Cylinder Barrel)과 크랭크축(Crank Shaft)의 치수검사(Dimensional Inspectio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항공기 가스터빈엔진 고온 부품의 제조(진공 정밀 주조)에 사용되는 다음 기술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① 다결정(Equiaxed) 터빈 블레이드 제조 ② 일방향 응고(Directionally Solidified) 터빈 블레이드 제조 ③ 단결정(Single Crystal) 터빈 블레이드 제조
정속 프로펠러에서 조속기의 기능과 4가지 구성요소를 나열하고, 저속조건(Under Speed Condition)일 때 조속기와 프로펠러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하시오.
충격파(Shock Wave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① 충격파의 정의, 생성 원리, 종류 ② 수직충격파(Normal Shock Waves) 전, 후의 상태량(Properties) 변화 (상태량: 마하수, 유동속도, 압력, 밀도, 온도, 엔트로피, 전압력, 전엔트로피) ③ 충격파의 가시화(Visualization) 수단(방법)
다음 그림은 액체로켓에서 액체산소-액체수소의 혼합비에 따른 이론적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림에서 최대의 비추력을 얻을 수 있는 이론적인 혼합비와 실제 혼합비에 대하여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3 – 3
항공기용 가스터빈엔진의 온 컨디션(On Condition) 정비방식을 가능하게 하는 엔진 상태감시(Condition Monitoring) 방법 5가지를 설명하시오.
다음 그림은 터빈엔진의 비행속도에 따른 추진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림에서 고바이패스팬 엔진이 500mph에서 75%의 추진효율을 얻기 위한 혼합배기속도를 계산 하고, 추진효율, 열효율 및 전체 효율과 비행속도와의 관계를 그래프로 도시하고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