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898개의 문제가 검색되었습니다
정렬:
자격증 회차 교시 문제 내용 댓글
항공기관기술사
1교시
11

항공기관 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다음 4가지 열전달(Heat Transfer) 현상을 설명하시오. ① 전 도(Conduction) ② 대 류(Convection) ③ 복 사(Radiation) ④ 공력가열(Aerodynamic heating)

0
항공기관기술사
1교시
12

항공기 엔진의 신뢰성 관리지표 2가지를 설명하시오.

0
항공기관기술사
1교시
13

터보프롭엔진(Turboprop Engine)에서 프리터빈(Free Turbine)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항공기관기술사
2교시
1

항공기용 가솔린 왕복엔진의 완전분해검사(Overhaul) 시 실린더 배럴(Cylinder Barrel)과 크랭크축(Crank Shaft)의 치수검사(Dimensional Inspectio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항공기관기술사
2교시
2

가스터빈엔진의 기본 사이클은 브레이튼 사이클(Brayton Cycle)이다. 이상적인(Ideal) 열역학적 사이클을 가정하여, 다음 4가지 경우에 대하여 T-s 선도를 도시하고 각 사이클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T : 온도, s : 엔트로피) ① 기본 사이클(Basic Cycle) : 브레이튼 사이클 ② 재생 사이클(Regenerative Cycle) : 열교환기 추가, 배기(Exhaust)열 회수 및 압축된 공기 예가열(Pre-heat) ③ 재열 사이클(Re-heat Cycle) : 후기연소기 추가 ④ 중간냉각 사이클(Inter-cooled Cycle) : 열교환기 추가, 압축과정 중 열의 일부를 제거

0
항공기관기술사
2교시
3

항공기 가스터빈엔진 고온 부품의 제조(진공 정밀 주조)에 사용되는 다음 기술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① 다결정(Equiaxed) 터빈 블레이드 제조 ② 일방향 응고(Directionally Solidified) 터빈 블레이드 제조 ③ 단결정(Single Crystal) 터빈 블레이드 제조

0
항공기관기술사
2교시
4

가스터빈엔진에 사용되는 화재/과열 탐지장치인 2선 서멀 스위치(Two Wire Thermal S/W)에 대한 회로도를 보고 다음을 설명하시오. ① 단선 서멀 스위치(Single Wire Thermal S/W)와 비교하여 2선 서멀 스위치가 가지는 장점 ② 루프(Loop) A에 단락(Short)이 있을 때의 작동 ③ 루프(Loop) A에 단선(Open)이 있을 때의 작동

0
항공기관기술사
2교시
5

항공기 형상설계 과정에서 가스터빈엔진을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하는 설계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항공기관기술사
2교시
6

항공기용 왕복엔진의 회전 및 왕복운동 부위에 주로 발생하는 피로 파괴와 그 예방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항공기관기술사
3교시
1

아래 그림은 프로펠러 주위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을 참조하여 프로펠러와 관련한 `운동량 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연속방정식(Continuity Equation)을 활용하여 다음 괄호 안의 5가지 표현 요소들로 구성된 `추력 관계식'을 유도하시오. (F : 추력, Va : 비행속도, Ve : 프로펠러 하류 공기속도, A : 프로펠러 회전 단면적, ρ : 공기밀도) ※ 단, 프로펠러를 지나는 공기의 평균속도(Vp)는 프로펠러 상류와 하류에서의 공 기속도 평균값으로 가정한다. 즉 Vp = 0.5(Va + Ve), ṁ : 프로펠러 유입 공기 a 질량유량, ṁe: 프로펠러 유출 공기 질량유량

0
항공기관기술사
3교시
2

항공기 기술기준 Part 35(프로펠러)에 따른 피로한계 평가의 대상 부품, 고려 사항, 입증 내용을 설명하시오.

0
항공기관기술사
3교시
3

비파괴검사 방법 중 음향방출(Acoustic Emission) 검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항공기관기술사
3교시
4

정속 프로펠러에서 조속기의 기능과 4가지 구성요소를 나열하고, 저속조건(Under Speed Condition)일 때 조속기와 프로펠러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설명하시오.

0
항공기관기술사
3교시
5

충격파(Shock Wave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① 충격파의 정의, 생성 원리, 종류 ② 수직충격파(Normal Shock Waves) 전, 후의 상태량(Properties) 변화 (상태량: 마하수, 유동속도, 압력, 밀도, 온도, 엔트로피, 전압력, 전엔트로피) ③ 충격파의 가시화(Visualization) 수단(방법)

0
항공기관기술사
3교시
6

다음 그림은 액체로켓에서 액체산소-액체수소의 혼합비에 따른 이론적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림에서 최대의 비추력을 얻을 수 있는 이론적인 혼합비와 실제 혼합비에 대하여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3 – 3

0
항공기관기술사
4교시
1

항공기용 가스터빈엔진의 온 컨디션(On Condition) 정비방식을 가능하게 하는 엔진 상태감시(Condition Monitoring) 방법 5가지를 설명하시오.

0
항공기관기술사
4교시
2

다음 그림은 터빈엔진의 비행속도에 따른 추진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림에서 고바이패스팬 엔진이 500mph에서 75%의 추진효율을 얻기 위한 혼합배기속도를 계산 하고, 추진효율, 열효율 및 전체 효율과 비행속도와의 관계를 그래프로 도시하고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항공기관기술사
4교시
3

가스터빈엔진의 추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터빈입구온도(TIT, Turbine Inlet Temperature)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브레이튼 사이클 (Brayton Cycle)의 T-s 선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실제 가스터빈엔진 설계 시에는 TIT를 높임에 있어 제한이(한계가) 있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T : 온도, s : 엔트로피)

0
항공기관기술사
4교시
4

항공기 가스터빈엔진의 설계, 해석 단계에서 수행되는 다음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① 부품 결합(Component Matching) ② 설계점 해석(On-design Analysis) ③ 탈설계점 해석(Off-design Analysis) ④ 설계점 대비 탈설계점 해석이 필요한 조건(혹은 경우) : 5가지

0
항공기관기술사
4교시
5

로켓의 유도 방식 3가지와 로켓 추력의 방향 제어 방법 6가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