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2016)에 제시된 부모멘트 구간의 최소 바닥판 철근 설치 규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프리텐션(pre-tension)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서 전달길이와 정착 길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콘크리트의 연화효과(softening effec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철근콘크리트의 인장강화현상(tension stiffening effec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강교량의 단면계획시 조밀단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저형고 장지간 합성형 라멘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7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2016)의 표준트럭하중(KL-510)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8 |
구조물의 최적설계(optimum structural design)를 수행하기 위한 개념, 설계변수 및 제약 조건식 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9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사용성(serviceability)을 확보하여야만 하는 사유와 사용하중에 의한 휨응력이 콘크리트와 철근의 허용응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현상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10 |
아래 그림과 같이 폭이 120mm, 높이가 24wmm, 탄성계수 E =9,000MPa인 목재보에 폭이 100mm, 두께가 24mm, 탄a계수 E =72,000MPa인 알루미늄판을 합성하였다. 이 보의 수평축(Y축)에 대하여 25kN·m인 휨모멘트가 작용하고 있다면, 이 합성부재를 이루는 두 부재의 최대응력과 최소응력을 구하시오.
댓글 0
|
| 11 |
강구조물의 설계에서 강종을 선정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12 |
기존 교량의 정밀안전진단을 위한 기본과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13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2016)에 제시된 교량의 위치선정에서 하천을 통과 하는 경우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2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교량설계 시 부반력이 발생하는 원인과 부반력이 발생하는 원인별 대책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댓글 0
|
| 2 |
강구조부재설계기준(KDS 14 31 10)에 제시된 압축력과 휨을 동시에 받는 강구조물의 설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하천이나 하부도로를 사각으로 횡단하는 교량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러한 사각 교량 설계에 따른 상하행선 교폭 구성방법, 구조적 특성, 철근배근 방법, 신축이음장치 설계 방법 등을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아래 그림과 같이 지중에 공동구를 건설하고자 흙막이공을 계획하였다. 흙막이공의 코너 버팀대를 45°, 3m 간격으로 배치하였다. 띠장에 100kN/m의 하중이 작용하고, 버팀대에 5kN/m(자중 포함) 작업하중이 작용할 때 온도하중에 의한 축력(120kN)을 고려하여 버팀대에 발생하는 응력과 안전 여부를 검토하시오. (단, 버팀대의 H형강은 H300×300×10×15의 고재를 사용하며, 강재의 허용응력은 아래 표를 참조하고, 단기하중에 의한 응력 할증은 1.3으로 한다.)
댓글 0
|
| 5 |
단면이 500×1,200mm인 직사각형 합성기둥(SRC)에 8개의 D25철근(4,053.6mm )과 H500×250×10×20인 H형강이 그림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 이 직사각형 합성기둥 (SRC)에 대한 균형 파괴시의 N , b 를b구하시오. (단, b ,bM 계산 시 H형강의 복부 두께는 무시하되, 직사각형 콘크리트 단면에서 철근과 H형강의 단면적은 공제하지 않는다.) <조건> · 콘크리트 설계기준 압축강도 f =30MPa ck · 철근과 H형강의 항복강도 f =400MPa y · 재료계수는 =0.65, =0.90 · 콘크리트의 극한변형률 =0.33 · 콘크리트 응력분포 계수 · 철근과 H형강 탄성계수 E =20s,000MPa
댓글 0
|
| 6 |
아래 그림과 같은 단계별로 긴장력을 도입하는 FCM 구조물을 계획하고자 한다. seg.1에는 최초에 8m의 텐던 2개를 긴장하고, seg.2를 가설한 후 16m의 텐던 2개를 긴장한다. 각 텐던의 모든 위치는 도심으로부터 400mm로 동일하며 직선으로 배치 할 때, 지점 A에서 초기손실 발생 직후 텐던의 긴장응력을 구하시오. (단, 1개의 텐던은 6개의 강연선으로 구성된다.) 0 2 0 0 4 ep=400 1 0 seg.2 seg.1 seg.2 6 A 800 4m 8m 4m < A지점의 단면 >
댓글 0
|
3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아래 그림과 같이 봉의 축방향과 단순보 지간 중앙에 연직 방향 낙하물(질량 M, 낙하 높이 h)이 각각 자유 낙하될 때, 봉의 최대처짐(max_1단순보 지간 중앙에서의 최대 처짐(δmax_2각각 유도하고, 동일한 중량(W)이 정적으로 재하되었을 때의 봉의 처짐 (δ ) 및 단순보의 처짐(δ )과 각각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st_1 st_2 (단, 봉의 축강성 EA와 단순보의 휨강성 EI는 일정하다.)
댓글 0
|
| 2 |
단일현장타설말뚝의 장·단점과 설계 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2016)에 제시된 내진설계기준의 기본개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그림과 같이 전단연결재로 연결된 합성거더의 단면이 부모멘트를 받고 있다. 이 때 소성중립축 위치를 검토하고 소성모멘트를 구하시오. (단,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 f =30MPack강재의 항복강도 f =340MPa 이y. 2 2 상부철근 단면적은 1800mm , 하부철근 단면적은 1000mm 이며 철근의 최소항복강도 f =400MPa이다.) yr < 부모멘트 단면에 대한 소성중립축()과 소성모멘트( ) > 소성 경우 조건 와 중립축 Ⅰ 복부판 ≥ 상부 Ⅱ ≥ 플랜지
댓글 0
|
| 5 |
아래 그림과 같은 2경간 PSC 연속보에 대하여 프리스트레스트힘에 의한 1차모멘트와 2차모멘트를 구하고, 최종 전단력도와 휨모멘트도를 그리시오. (단,eP =4000kN, 강선p 편심거리 e =400mm이며, 보 자중의 영향은 무시한다.) 4 – 3
댓글 0
|
| 6 |
아래 그림과 같이 연약지반과 지반지지력 확보 지반을 횡단하는 암거구조물을 설치 하고, 그 암거구조물 상부에 성토를 하고자 할 때 다음 사항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예상되는 문제점과 계획 설계 시 고려하여야 할 대책 2) 작용하중 3) 구조해석 시 헌치 영향 여부를 검토하고, 헌치 영향을 무시하는 경우에 상부 슬래브의 단부 구간에 대한 슬래브와 벽체 단면 산정에 사용되는 휨모멘트 4 – 4
댓글 0
|
4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아래 그림과 같은 역T형 옹벽을 설계할 때 아래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단, 토압은 Rankine식 적용) <설계 조건> · 뒷채움흙 내부마찰각 =30° · 흙의 단위중량 18kN/m 3 · 콘크리트의 단위중량 25kN/m · 콘크리트와 지반과 마찰계수 =0.4 · 재료강도 - 콘크리트 f ck4MPa - 철근 y =300MPa · 지반허용지지력 q =200kN/m a 1) 안정성을 검토하고, 안정성 검토항목 중 안정성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 대책을 설명하시오. (단, 전면 수동토압 영향은 무시한다.) 2) 뒷굽판에 대하여 휨강도 및 전단강도를 검토하시오. (단, 강도 설계법 적용, 모든 하중에 대한 하중계수는 1.5로 하며, 주철근 도심에서 2 콘크리트 최외측까지의 거리는 100mm, 주철근 D22 A =380sm ) 3) 구성 부재별 주철근 배치도를 그리시오.
댓글 0
|
| 2 |
콘크리트용 앵커의 종류, 작용하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파괴모드 및 작용하중(강도)별 설계원칙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아래 그림과 같은 단면의 지간길이 L=25m인 단지간 플레이트 거더에 등분포하중 (w=60kN/m)이 작용한다. 플랜지와 복부판을 필렛용접으로 연결할 때 용접치수를 설계 하시오. (단, 필렛의 허용전단응력은 80MPa)
댓글 0
|
| 4 |
PSC 박스 거더교를 FCM공법으로 설계하는 경우, 경간 구성 및 형고를 계획 하고 설계시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단, 교량전체연장은 L=260m로 가정)
댓글 0
|
| 5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2016)에 제시된 콘크리트교에서의 한계상태를 정의 하고, 각각의 한계상태에서 검토해야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아래 그림과 같은 보에서 지점 A에서의 수직반력에 대한 영향선의 식 y(x)를 유도 하고, B점과 C점의 종거를 구하시오.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