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교통수요예측 모형의 검증에 사용되는 평균제곱근오차(RMSE: Root Mean Square Error)
댓글 0
|
2 |
운영속도(Operating Speed, 85백분위속도)
댓글 0
|
3 |
TaaS(Transportation as a Service, 서비스형 운송)
댓글 0
|
4 |
SP(Stated Preference)조사, RP(Revealed Preference)조사 비교
댓글 0
|
5 |
TBC(Time Based Coordination) 제어
댓글 0
|
6 |
Parklet의 개념과 적용방안
댓글 0
|
7 |
대중교통중심개발(TOD)의 계획 요소
댓글 0
|
8 |
공사 중 Hazard Profile
댓글 0
|
9 |
Micro-Transit
댓글 0
|
10 |
민간투자사업의 BTO 방식과 BTL 방식 비교
댓글 0
|
11 |
규제 샌드박스
댓글 0
|
12 |
보정조사(Control Count)
댓글 0
|
13 |
가변속도제한(VSL: Variable Speed Limits)시스템 1 – 1
댓글 0
|
2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2030년까지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24.3% 감축(’17년 대비)을 위한 ‘제2차 지속가능 국가교통물류발전 기본계획(안)’에서 제시한 주요 추진전략, 추진과제를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댓글 0
|
2 |
통행배정모형에 사용되는 통행비용함수(VDF: Volume Delay Function)의 개념과 속성, 종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평면교차로 설계의 기본목표와 기본원칙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예비타당성조사에서 도로 및 철도부문 사업의 비용 항목을 구성도로 제시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교통시설투자평가지침상의 교통수단선택 모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미래교통의 혁신으로 떠오르고 있는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의 특징, 추진방향, 기대효과에 대하여 한국형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을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1 – 1
댓글 0
|
3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교통수단선택을 위한 로짓(Logit) 모형이 다음과 같이 추정되었다. 다음 <표1>의 효용함수 식, <표2>의 효용함수 계수값, <표3>의 통행시간 및 통행비용을 이용하여, 도시철도역이 2개 있는 교통존 간의 교통수단별 분담률(%)과 모형의 시간가치를 계산하시오. (단,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표1> 효용함수 식 승용차 효용 × A_time × A_ 버스 효용 × B_time × _ 도시철도 효용 × S_time × _ × <표2> 효용함수 계수값 계수(변수) 계수값 설명 (T_time) -0.020061 수단별 총 통행시간 C (A_, B_, S_-0.000119 수단별 총 통행비용 B -0.96016 버스 더미 상수 S -1.01491 도시철도 더미 상수 () 0.15033 도시철도 역의 갯수 <표3> 통행시간 및 통행비용 존1 → 존2 time(분)(원) 승용차(A) 30 6,000 버스(B) 45 1,500 도시철도(S) 35 1,500 2 – 1
댓글 0
|
2 |
차량검지기(Vehicle Detection System)의 종류와 장․단점 및 지점검지체계와 구간 검지 체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최근(2021년 3월) 국토교통부에서 제정․발령한 “사람중심도로 설계지침”의 주요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스마트주차(Smart parking) 제어시스템의 기본개념, 미국 샌프란시스코(SFpark)의 성공사례를 비롯한 시행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자율주행차 발전단계 및 단계별 시나리오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교통체계개선사업(TSM)의 특징과 국내에서 시행한 유형(또는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 2
댓글 0
|
4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민간투자사업의 위험분담형(BTO-rs)와 손익공유형(BTO-a)을 설명하고, BTO-a의 경우, 실제 운영수입에 따른 정부․민간 부담액이 얼마인지 아래 그림의 사례별 빈칸 (㉮, ㉯, ㉰, ㉱)을 기입하시오. < 실제 운영수입에 따른 정부․민간 부담액 사례(BTO-a) > 실시협약 사례 1 사례 2 실제운영수입이 실제 운영수입이 '최소사업운영비‘에 미달시(최소사업운영비+미보장 투자원금)에 초과시 정부 이익 ( ㉰ ) 민간 이익 ( ㉱ ) 미보장 투자원금 민간 손실 ( ㉮ ) 30 (민간부담) 정부 손실 ( ㉯ ) 실제 수입 120 최소사업 최소사업운영비 실제 수입 60 운영비 70 (정부보전)
댓글 0
|
2 |
도심 교통안전을 위한 5030의 개념 및 문제점과 시행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 1
댓글 0
|
3 |
급증하는 고령운전자 교통사고를 감소시키고 다가오는 초고령사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제도 및 교통인프라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교통안전시설 등 설치․관리에 관한 규칙 「별표1」인 공사구간 교통관리 및 안전시설 설치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공사장 교통통제 절차와 교통통제에 필요한 안전표지 및 안전유도 장비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제1차 자율주행 교통물류 기본계획(‘21∼‘25)의 목표, 추진과제, 기대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고급간선급행버스체계(S-BRT: Super Bus Rapid Transit)의 정의, 기능, 역할, 구성 요소, 추진전략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 2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