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철도차량의 내용연수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고속철도차량(KTX)의 제동명령스톱퍼(Brake command stopper)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다음 금속 열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담금질(Quenching) (2) 뜨임(Tempering) (3) 풀림(Annealing) (4) 불림(Normalizing)
댓글 0
|
| 4 |
선형유도전동기(LIM: Linear Induction Motor)와 선형동기전동기(LSM: Linear Synchronous Motor)의 특징에 대하여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철도선로 종곡선의 정의와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광역철도”의 정의, 지정요건, 재원분담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7 |
철도차량 차륜 제작 시 국내·외 규격에 따라 확인해야 하는 기계적 특성 중 인장강도와 항복강도의 정의 및 응력변형률 선도를 그리고 설명하시오. 2 – 1
댓글 0
|
| 8 |
고속철도 철도차량기술기준(KRTS-VE-Part31) 별표 6 고속철도차량 충돌안전도 평가방법에서 정하고 있는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1) 생존공간(Survival space) (2) 크럼플존(Crumple zone) (3) 에너지흡수장치(Energy absorbing device) (4) 순 접촉하중(Net contact force) (5)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
댓글 0
|
| 9 |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시스템엔지니어는 시스템 계층구조를 명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명확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시스템 요소와 계층구조를 정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활동을 위해 시스템요소와 계층구조를 나열하고 간단히 설명하시오.
댓글 0
|
| 10 |
열차운행 시 평균속도와 표정속도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11 |
철도차량 안전운행을 위한 건축한계 및 차량한계를 정의하고, 차량치수(길이, 높이, 폭)와 차량 및 건축한계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12 |
철도차량의 차륜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재료로서의 요구조건 (2) 주행안전 측면에서의 요구조건 (3) 차륜 단면을 그리고 각 부 명칭을 표시
댓글 0
|
| 13 |
철도차량의 비파괴검사 시 사용하는 자분탐상 시험 방법(Magnetic particle tes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 2
댓글 0
|
2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CBTC(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 개념과 특징, 요구조건, 통신방식 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DDM(Direct Drive Motor) 전동기의 구조 및 특징을 기술하고, 유도전동기와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도시형 전기철도차량(전동차)의 차축과 차륜이 정상적인 동작 상태를 유지하도록 주기적인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이때 차축, 차륜 및 윤축조립체의 상태점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철도차량의 차륜과 레일에 작용하는 힘을 그림을 그려 도시하고, 횡압(Q)과 윤중(P)을 이용하여 나달의 공식을 유도하시오. (단, 플랜지 접촉각(α), 플랜지와 레일의 점착계수(μ), 플랜지 직각방향의 힘(N)으로 표현한다.)
댓글 0
|
| 5 |
철도차량용 출입문의 형식별 종류와 구동방식을 각각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차축베어링 선정과 설계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 1
댓글 0
|
3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철도차량을 경량화하는 수단과 경량화 효과, 그리고 경량화의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댓글 0
|
| 2 |
「철도안전법」에 따른 철도차량 형식승인, 제작자승인, 완성검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철도차량 무선급전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철도차량 수명주기비용(LCC: Life Cycle Cost)의 정의, 평가목적 및 평가방법과 LCC 업무를 발주자(운영사)와 공급자(제작사)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고속철도차량(KTX)의 고압회로를 접지시키는 목적과 접지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고장률곡선(Bathtub curve)의 3단계 변화를 설명하시오. 1 – 1
댓글 0
|
4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철도차량 실내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냉·난방·환기장치 등 공기조화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철도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직선운동과 회전운동 시 발생하는 진동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철도차량의 진동을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의 종류별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진동의 발생요인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축중의 정의, 축중을 제한하는 이유, 철도차량기술기준에서 차종에 따라 제한하는 축중의 기준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고속주행 시 전기차량 팬터그래프에서 나타나는 문제 및 원인, 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철도차량 자율주행시스템에 대하여 간략히 기술하고, 자동운전 수준(GoA1∼GoA4) 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철도차량의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를 정의하고 차량측면에서 보완대책을 설명하시오. 1 – 1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