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구조기술사 제82회 기출문제

시험일: 2009-07-14

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

PDF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정리된 문제
1

1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강축에 휨을 받는 압연 H 형강보의 휨휨강도를 결정하는 재료적 특성들, 단면 특성들 및 구조적 특성들로 구분하여 나열하시오.

댓글 0
2

철근콘크리트조에서 다발철근을 사용하는 경우 현행 기준(KBC 2005)에서 정한 규정을 서술하시오.

댓글 0
3

완전합성보와 비교하여 불완전합성보를 적용하는 목적들을 나열하시오.

댓글 0
4

구조물 강재보 주위을 나선철근으로 보강한 합성부재에 대하여 기준(KBC 2005)에서 정한 다음 사항에 대하여 답하시오.
1)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하한값
2) 강재 설계기준항복감도의 상한값
3) 축방향 철근(휨량 기준, 중심각 기준)
4) 나선철근(철근비, 나선 철근의 항복강도 상한값)

댓글 0
5

데크플레이트의 리브(rib) 방향이 강재보와 직각인 합성보에서 스터드커넥터의 공칭강도를 결정하는 모든 요소들을 나열하시오.(한계상태 설계법)

댓글 0
6

철근콘크리트조 구조설계 시 워크보(WALL GIRDER)의 설치 이유를 설명하시오.

댓글 0
7

아래의 각 재료에 대하여 구조설계를 위한 고정하중(kN/㎡)을 산정하시오.
1) 화강석(T=40mm)
2) 경량기포 CONC(T=100mm)
3) 판유리(T=10mm)
4) 석고보드(T=9mm)
5) 소나무목재판(T=10mm)

댓글 0
8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상의 “감리업무수행지침서”에 준거하여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1) 확인 2) 검토 3) 지시 4) 승인

댓글 0
9

지반조사보고서의 봉토지반의 특성과 구조설계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10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 의거하여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영문표기 포함할 것)
1)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2) 일반콘크리트 배합강도

댓글 0
11

건축구조설계기준 및 해설 (2005년)에서 제안하는 적재하중 산정시 교량설계 3등교에 해당하는 트럭을 기준으로 옥외주차장의 등분포 하중을 산정하시오.

댓글 0
12

다음 그림에서 용접기호, 치수 등 실제 어떤 상태인지 그림을 그리고 설명하시오.

댓글 0
13

사질토 지반과 점성토 지반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2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다음 구조물에서 C점의 수직처짐을 구하시오.
부재의 단면은 원형이며 EI는 일정하다.(단, 전단탄성계수 G=0.4E)

댓글 0
2

아래의 조건을 갖는 H형강 부재의 안전성을 허용응력설계법(2003년도 기준)으로 평가하고 필요시 보강방안을 제시하시오. (비틀림전단 및 처짐 검토는 제외함)
양단 구속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연직 하중에 대해 양단 단순지지 (2) 수평 하중에 대해 양단 단순지지
(3) 비틀림에 대해 양단 구속

댓글 0
3

아래의 보복도에서 B1, B2, B3 보를 모멘트 분배법에 따라 해석하고 BMD를 그리시오.

댓글 0
4

콘크리트 구조설계 기준(KBC 2005)에 규정되어 있는 “구조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요구조건”에 대하여 ① 현장치기 콘크리트 구조와 ②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인 경우를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5

그림과 같은 주각이 중심 축하중 Pu = 4,500kN을 받을때, BASE PLATE(SM490)를 설계하시오. 단, 기둥 H-414×405×18×28(SM490), 기초크기=2,500×2,500mm, fck = 24N/㎟ 이다.

댓글 0
6

PD = 90kN, PL= 55kN 이 중심 축하중으로 브라켓에 작용할 때 접합부의 안전성을 검토하시오. 이음면은 양면 모살용접이며, 사용 강재는 SM400, Fy=235N/㎟, 용접부의 공칭강도는 0.6Fy)

댓글 0
3

3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다음과 같은 부정정 앤드빔 구조체에서 강성계수를 스프링으로 변환하여 지점의 수평반력분담율을 단계별로 도시화하여 구하고 B점의 수평변위를 산출하시오.
E = 2.06 × 10⁵ MPa, I = 66,600 × 10⁴ ㎟, H = 6m

댓글 0
2

압연형강 강재보 H-294×302×12×12(SM490)의 공칭휨강도를 산정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플렌지 국부좌굴강도 Mn을 산정하시오.
강재보의 AS = 10,800㎟, Ix = 169 × 10⁴ ㎟, Sx = 1.15 × 10⁶ ㎣,
Zx = 1.28 × 10⁶ ㎣, 필렛반경 r = 18mm,
플렌지 압축휨 잔류응력 Fr = 69 N/㎟

댓글 0
3

FLAT SLAB가 정사각형 기둥(400×400mm) 위에 의해 지지되는 2방향 슬래브에 대해 전단설계시 아래 항목을 검토하시오.
슬래브크기 L1=L2=6,500mm 이고, 슬래브두께 h = 200mm(d=150mm)이다.
고정하중 WD = 5.0kN/㎡, 활하중 WL = 6.0kN/㎡
콘크리트 fck = 27MPa, 철근 fy = 400MPa
주열대 휨모멘트 Mu = 240kN.m
전단 보강시 H형강 H - 125 × 125 × 6.5 × 9(SS400)

검토항목
1) SLAB 전단 및 뚫림전단 검토
2) 전단머리 보강에 의한 최대 전단강도 검토
3) 전단머리길이(lv) 산정
4) 전단머리 소성 휨 강도(Mp) 산정
5) 전단머리 휨모멘트(Mu) 검토

댓글 0
4

휨과 축하중을 받는 보에 대한 수직 U 형 스터럽의 소요간격을 결정하시오.
fck = 18MPa(모래-경량콘크리트, fsp는 멸시하지 않음)
fy = 300MPa
MD = 60kN.m
ML = 45kN.m
VD = 55kN
VL = 40kN
ND = -9kN(축인장)
NL = -70kN

댓글 0
5

그림과 같은 합성단면에서 휨모멘트 120kN.m를 받을 때 각 재료의 최대 및 최소응력을 구하시오.
단, E1 = 1.4 × 10⁴ MPa, E2 = 2.1 × 10⁴ MPa

댓글 0
6

아래 그림과 같은 라멘(Rahmen)의 단면력을 강성 Matrix 법으로 구하시오.

댓글 0
4

4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아래와 같은 구조평면도의 작은보(Beam) B1 을 완전합성보로 설계할 때, 강재보 H-390×300×10×16(SM490)을 사용하여 다음 순서대로 설계휨강도를 산정하시오.
(다만, 데크플레이트 깊이는 75mm, 토핑콘크리트 두께는 100mm 이며, 스터드커넥터는 완전합성보가 되도록 설계된 것으로 간주하여 별도 계산은 생략한다.)
강재보의 As = 13,500㎟, Ix = 387 × 10⁴ ㎟, χχ = 169mm
콘크리트의 fck = 24N/㎟
1) 콘크리트 슬래브의 유효폭(be)
2) 합성보 단면의 소성중립축(yp)
3) 합성보 소성모멘트(Mp)
4) 합성보 설계휨강도(ΦMn)

댓글 0
2

길이가 6m 이며, 상단이 자유이고, 하단이 고정인 H-200×200×8×12(SM490) 기둥에 중심축하중 P(=30kN)와 약축에 대해 휨을 발생시키는 횡하중 H(=2kN)가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 기하학적 비선형 효과를 고려하여 하단 A점의 모멘트와 상단 B점의 횡변위를 구하시오. (다만, 전단변형는 무시한다. 재료적 비선형탄성은 고려하지 않는다.)
기둥의 As = 6,350㎟, Iy = 16.0 × 10⁴ ㎟)

댓글 0
3

연직하중만으로 설계한 말뚝 기초에서 시공오차로 인하여 기초에 편심이 발생하였다. (●표시된 말뚝) 이를 감안하여 아래의 설계변경 사항을 검토하시오.
1) 말뚝의 반력을 구하시오.
2) 전단면 말뚝머리(PILE CAP) 상세를 포함하여 그리시오.

댓글 0
4

RC 구조물의 콘크리트 품질향상을 위한 아래 대책에 답하시오.
1)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2) 크리프 변형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
3) 매스콘크리트에서 수화열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

댓글 0
5

양단 A점과 C점이 고정인 구조에서 아래와 같은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AB 부재의 응력(stress)과 B점의 변위를 산정하시오.
(1) B점에 하중 P(=500kN)가 작용하는 경우
(2) 부재 전체에 온도상승 30℃가 발생하는 경우
(3) B점에 하중 P(=500kN)가 작용하며, 동시에 구조체 전체에 온도상승 30℃가 발생하는 경우)
다만, AB 부재와 BC 부재의 단면적은 각각 AAB = 10,000㎟, ABC = 40,000㎟이며, 모든 부재의 탄성계수 E = 206,000N/㎟, 선팽창계수 α = 0.000012(1/℃) 이다.

댓글 0
6

아래의 하중 조건에 대하여 C, M0, Q 를 산정하시오.

댓글 0

댓글 (0)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