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부정정구조물을 해석하는 두 방법 유연도법(flexibility method)과 강성도법(stiffness method)에 대해 설명하시오.
댓글 0
|
2 |
지진하중의 변형적합성(deformation compatibility))과 직교효과(orthogonal effect)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Quenching 과 Tempering 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직경 500mm 인 원형 기둥의 최소 나선철근의 간격을 산정하시오. (단, 철근은 D10 을 사용하고, 철근의 항복강도 fy=400MPa, fck=24MPa 이다)
댓글 0
|
5 |
연약지반위에 세워진 저층건축물(5 층이하)과 고층건축물(30 층이상) ,견고한 지반위에 세워진 저층건축물(5 층이하)과 고층건축물(30 층이상)에 지진이 발생되었을 때 각 경우 건축물의 지진에 대한 변위모드를 약술하시오.
댓글 0
|
6 |
강재에 길이두께비가 아닌 폭두께비에 대한 제한을 규정하고 있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7 |
리히터 표면파 규모(surface wave magnitude)를 이용한 지진규모산정식을 이용하여 표면파규모 7.0 인 지진의 에너지양이 표면파 규모 5.0 인 지진의 에너지 양에 몇배인가를 계산하시오.
댓글 0
|
8 |
보가 없는 슬래브 개구부의 제한사항과 보강방법(국내기준)에 대해 설명하시오.
댓글 0
|
9 |
풍하중 기준에서 강체구조물과 유연구조물을 구분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10 |
띠판(batten plate)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수직가새에 적용할 경우의 상세를 스케치하시오.
댓글 0
|
11 |
멀리언(mullion)의 구조적 역할과 하중 적용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12 |
V.E.(value engineering) 의 개념을 사례를 통해 설명하시오.
댓글 0
|
13 |
대공간구조설계에서 고려해야 하는 snapping 현상에 대해 설명하시오.
댓글 0
|
2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그림과 같이 강선의 일단에 달려있는 질량 M=5000kg 의 추가 일정속도 v=2m/s 로 아래로 움직이고 있다. 이 강선의 상단 A 를 갑자기 정지시켰을 때 강선에 걸리는 응력을 계산하시오. (단, 충격의 순간에서 강선의 2 길이 ℓ=20m, 순단면적 A=16cm , 탄성계수 E=100GN/m 이다)
댓글 0
|
2 |
계수하중에 의한 부재력 Mu=450kN․m, Vu=225kN 을 받는 강접합부를 다음 설계조건에 적합하게 설계하시오. 설계조건 : 기둥부재는 H-400x400x13x21(SM490) 보 부재는 H-582x300x12x17(SM400) 고장력 볼트 : F10T M20 사용, 웨브 플레이트 : 두께 9mm(SM400)
댓글 0
|
3 |
최상층 평지붕상의 보와 강관 기둥의 접합부를 보강링 형식으로 전강도를 기준하여 설계하고 스케치하시오. 【 설계조건 】 가. RG1 : H-700×300×13×24(SS400), RG2 : H-500×200×10×16(SS400) C1 : φ-355.6×8(STK400) 나. 웨브접합은 1 면전단(F10T)이며, 스케치는 평면과 입면, 단면을 3 개 이상 작도하시오.
댓글 0
|
4 |
아래와 같은 Post tensioning Beam 을 설계하시오. 【 설계조건 】 가. Beam 의 최대높이는 450mm 이다. 나. 활하중은 3.0kN/m 이다. ㅇ 재료강도 : 2 N = 30N/mm , N= 400N/mm2, 2, N =1860N/mm 긴장재 φ-15.2
댓글 0
|
5 |
직경 90m 대공간구조의 구조설계에서 compression ring 과 tension ring 을 이용한 구조계획서를 작성하시오. 단, 대공간 구조설계시의 유의사항을 우선순위별로 기술하시오.
댓글 0
|
6 |
φ-600x28(SM490), 콘크리트 충전 원형강관기둥이 Pc=500tf(압축), Mt=40.6tf․ m(기둥상부휨모멘트), Mb=96.2tf․m(기둥하부휨모멘트)을 받을 때 안전한지를 검토하시오.
댓글 0
|
3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그림과 같은 폐원환상단면(a)과 개원환상단면(b)을 갖는 두개의 얇은 벽의 관이 있다. 두 관의 재료와 치수들은 모두 같으며, 각 단면의 평균중심선에 대한 반지름은 r, 벽 두께는 t 이다. N = N 이고, 이 두관에 동일한 크기의 토크 T 가 걸 o ot 릴 때 각 관의 단위길이당 비틀림각 N의 비를 구하시오.
댓글 0
|
2 |
동하중을 주로 받는 격자구조물에 대하여 하중분담공식을 산출하고, 아래의 조건과 함께 교차점에 집중하중 P=100kN 이 작용할 때 부재를 H 형강으로 설계하고, 교차점의 접합부를 볼트접합 방법으로 스케치 하시오. (허용응력도 설계법, SS400, F10T) a=8m b=6m EI1N EI2
댓글 0
|
3 |
전단보강근 없이 지하외벽을 설계하고 경계조건과 일치하도록 배근도를 스케치하시오. 【설계조건】 N=27MPa,N=400MPa, 지하 1 층 전면기초의 허용지내력은 150kN/m
댓글 0
|
4 |
처짐각법을 이용하여 골조를 해석한 후 휨모멘트도를 작성하고 주요점의 휨모멘트값을 기입하시오.
댓글 0
|
5 |
길이 4.0m 인 양단 고정기둥을 단일압축재(L-90×90×10, SS490)로 설계하려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한계상태 설계법) 가. 도심축에 대한 단면 상승모멘트 나. 주축의 회전각 다. 주단면 2 차모멘트 라. 세장변수(λc) 마. 좌굴강도(Fcr) 바. 설계강도(Φc․Pn)
댓글 0
|
6 |
각 평면형태별로 변수 A 와 B 로 나타난 I 값을 구하여 고층건물에 적합한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A 는 단면적임)
댓글 0
|
4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다음 그림과 같은 슬래브 거푸집공사에서 가. 동바리 간격을 산정하시오. (단, 멍에는 각재 90×90, 멍에간격 1200mm, 슬래브두께가 150mm 이고, 콘크리트 시방서에 따라 시공하중을 고려해서 멍에는 장선의 하중을 등분포로 받는 것으로 가정하고 멍에의 절대변형기준에 의한 최대허용처짐은 6mm, 상대변형기준에 의한 최대허용처짐은 멍에스팬의 1/270, 멍에의 허용휨응력도는 =13N/mm , 2 탄성계수 E=11000N/mm ) 나. 동바리 양단이 핀접합되어 있고 동바리 길이는 3m 이며, 편심이 없다고 가정한다. 5 2 2 동바리를 Φ-48.6×2.3(탄성계수 E=2.1×10 N/mm , 항복강도 Fy=240N/mm )으로 사용할 경우 안전도를 검토하시오.
댓글 0
|
2 |
다음 변단면단순보의 처짐각 , 처짐 를 구하시오. N N N N 단, A 점에서 N 떨어진 단면의 단면 2 차모멘트 I N= N I 이고, ot 보중앙대칭단면임, 탄성계수 E)
댓글 0
|
3 |
벽기둥 상단에서 보를 지지할 때 작용하중에 대한 보강철근을 산정하여 배근을 스케치하고, 균열면의 힘의 전달을 도시(圖示)하시오. 【설계조건】 수직하중 고정하중 : PD=110kN, 활 하 중 : PL=160kN, 수평하중 T=100kN(온도변화나 건조수축에 따른 인장력) 균열면의 각도는 수직면에 대하여 20° 경사로 가정N =24MPa,N=400MPa, 보강철근은 D10 사용
댓글 0
|
4 |
도심지 공사시 다음 그림과 같이 아일랜드공법을 사용하여 고층부를 선시공하고 나머지 부분을 Down-Ward 공법으로 시공할 경우 구조엔지니어로서 검토해야 하는 Check Point 및 균열관점에서 가장 큰 문제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아래의 설계조건을 고려하여 허용응력설계법으로 구조계획한 후 평면도를 작성하고 지정된 위치의 접합상세를 스케치 하시오. 【설계조건】 가. D.L.=7.5kN/m , 2 L.L.=5.0kN/m , 기타하중 무시 나. 모든 부재는 SS400 강종의 H 형강으로 계획하고 H 형강 기둥과 덱크의 방향도 표현할 것. 다. (가)부재만 단면 설계하고 근거를 제시할 것. 라. 평면작성시 시공성을 고려하여 부재의 절단과 접합조건을 표기 (평면상 표현은 을 사용)하고, 모든 부재번호와 규격을 표시할 것
댓글 0
|
6 |
아래의 하중조건과 형태를 갖는 정팔각형 기초에 관하여 각 위치별 말뚝의 반력을 구하고 기초 철근량을 산정한 후 배근방법과 적정한 말뚝 선정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