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계기술사 제84회 기출문제

시험일: 2009-07-14

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

PDF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정리된 문제
1

1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모듈(Module)과 DP(Diametral pitch)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단, 잇수는 Z)

댓글 0
2

관성반경(단면 2 차반경) K 를 설명하시오.

댓글 0
3

전위(Dislocation)의 종류를 나열하고, 설명하시오. σ σ

댓글 0
4

철강의 인장강도( )와 피로강도( )관계 사이의 대체적 관계를 설명하시오.

댓글 0
5

바우싱거(Baushinger effect)효과를 설명하시오.

댓글 0
6

착압기 타격직전 햄머(Hammer)의 운동에너지( )1 로드에 가해지는 충격에너지( )의T2 관계식을 설명하시오.

댓글 0
7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의 정의(개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8

건설장비 타이어 선택방법에 이용되는 타이어 TKPH(ton-km-per-hour)값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9

아스팔트 휘니셔(A/P Finisher)의 포설량 산정식을 설명하시오.

댓글 0
10

이동식 크레인의 정격 총하중과 후방안정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11

유전방식법(流電防蝕法, Cathodic protectio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12

세장비(Slenderness ratio)와 오일러공식(Euler's formula)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13

전위치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2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최근 대단위주거단지내 친환경적 플랜트로 적용되고 있는 쓰레기 자동화 집하시설 플랜트 (Vaccum sealed conveyance system)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건설사업장에서 2 대의 Crane 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아래 그림과 같이 인양(Lifting)할 때 B 는 몇 m 로 해야 하는가 ? (단, Beam 무게 : 3,000kg, Crane 1 의 Net capacity 250,000kg, Crane 2 의 Net capacity 150,000kg, A : 20m)

댓글 0
3

크레인, 엘리베이터, 가공삭도 등의 와이어로우프 전동장치에서 로우프가 쉬이브 풀리 (Sheave pulley)의 림(Rim)을 감아돌 때 로우프가 받는 전응력(全應力)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도심지 건설공사에서 기계화 시공시 발생되는 소음·진동의 발생원인, 문제점 및 저감대책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5

피로강도를 개선하고자 할 때 고려되는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6

용접시 발생하는 잔류응력(Residual stress)에 대하여 기술하고, 이의 완화 및 방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3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콘크리트 포장기계의 종류 및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의 윤활과 마찰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구조물 설계시 파괴방지하고자 할 때 고려되는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금속의 침투법의 종류를 나열하고, 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5

열병합발전설비의 개요, 종류 및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6

건설현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크레인의 안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4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비파괴검사(Non destructive testing, NDT)에 대하여 논하고, 그 종류를 나열하고 설명하시오.

댓글 0
2

납땜 중 연납땜과 경납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최근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해외 플랜트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력 강화 전략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플랜트 배관공사에 있어서 배관제작 방법과 프리페브(Free fabrication)된 배관스풀을 현장 설치시 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5

윤활유의 열화(劣化)현상과 방지대책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6

구조물 등 기계재료에 발생되는 탄성에너지에 대한 아래사항을 설명하시오. 1) 레질리언스 계수(Modulus of resilience) 2) 충격응력과 정하중과의 관계 3) 카스틸리아노의 정리(Castigliano's theorem)

댓글 0

댓글 (0)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