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구조기술사 제86회 기출문제

시험일: 2009-07-14

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

PDF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정리된 문제
1

1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강재의 온도변화(0C-750C)에 따른 인장강도와 항복강도의 변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초고층 건물에서 횡력저항시스템으로 사용되는 철골조 아웃리거시스템의 부등변위 수직레벨조절장치(Adjustment Join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비틀림 비정형 건물에서 고려해야 하는 비틀림증폭계수에 대해 설명하시오.

댓글 0
4

쓰촨성 지진피해에서 중.저층 건물의 지진피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 원인을 4가지 이상 기술하시오.

댓글 0
6

고력볼트의 접합에서 파괴형종류를 4가지 이상 설명하시오.

댓글 0
6

KBC2005의 특별지진하중(Em)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산정식을 쓰시오.

댓글 0
7

면진건축의 장점 4가지 이상 기술하시오.

댓글 0
8

화재발생시 고강도콘크리트의 폭발성 폭렬발생기구(Mechanism) 3가지 이상을 기술하시오.

댓글 0
9

무량판구조를 설계하기 위한 슬래브설계 4가지 이상을 나열하고 장.단점을 기술하시오.

댓글 0
10

기초침하 및 침하량의 종류를 나열하고 그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11

H 형강보의 전단접합에서 1) 보와 철골기둥, 2) 보와 콘크리트 전단벽의 전단접합 사례를 그림을 이용하여 각각 2개 이상 제시하시오.

댓글 0
12

힌지 철근콘크리트아치를 설계할 때 중앙힌지부의 배근상세를 도시하시오.

댓글 0
13

플랫슬래브 주열대 및 중간대의 내진을 고려한 배근상세를 도시하고 설명하시오.

댓글 0
2

2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그림과 같이 길이가 4000mm, 직경 40mm 인 봉에 P=80Kn의 인장력이 작용한다. 이때
P

댓글 0
2

같은 재료로 된 강재 AC와 BC가 트러스를 구성하고 있다. 하중 P1 과 P2 가 절점 C에서 각가 ㅇ부재 AC와 BC방향으로 작용활 때, 절점 C의 수직변위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하중비(P1/P2)를 구하시오.

댓글 0
3

다음과 같이 보로 연결된 병렬전단벽에서 변체는 결정 당 5개 자유도(X,Y,Z 방향 3개 변위자유도와 2개의 연의 회전자유도)를 갖는 쉘요소(shell element)로, 연결보는 결정당 6자유도를 갓는 보요소(beam element)로 모델링 하였다. 본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횡하중에 대하여 해석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결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 또한 횡하중에 대한 변형 형상을 원결 전후를 비교하여 도시하시오.

댓글 0
4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가지는 단순지 지된 직사각형 보의 최대 균열폭을 계산하시오. (단, 강재의 부식에 대한 환경조건은 건조환경에 놓인 건물이다.)
보의 스팬 = 9,000 mm, 작용하중 = 20 kN/m(자중포함), fck = 27 MPa, fy = 400 MPa, Es = 2.0x10 MPa, As = 1,548 mm2 (4-D22)

댓글 0
5

다음 그림과 같은 단면의 소성중립축, y와 무게중심(center of mass) y. 및 소성단면계수
Z,를 산정하시오. (단, 단위는 mm)

댓글 0
6

H 형강보의 지점 A, 집중하중(B, D) 및 기둥과 보의 접합부(C) 스티프너를 설치하기 전의 집중하중에 의한 파괴모드를 가정하여 설계상 검토항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수식배제)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3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지반개량을 실시하고 버림콘크리트 지정을 한 경우 선정 가능한 기초 형식올 3가지 이상정하고 선정된 기초형식의 검토 항목올 3가지 이상 서술하고 내용을 요약 설명하시오.

댓글 0
2

철근콘크리트 골조모멘트 저항골조인 5층 건물에서 1층에 수직비정형(강성비정형-연층)이 형성되는지 판단하시오.

댓글 0
3

아래 그림의 B점에서 하중 P가 0에서 점차 증가할 때 기둥 BC가 오일러 탄성좌굴이 발생할 때의 하중을 구하고, 하중이 증가하며 A점에서 소성힌지가 발생하여 붕괴에 이른다고 가정할 경우의 P- 8 곡선을 그리시오. (단, 면외변형은 없고 기둥의 하중-변위곡선은 (b)와 같으며 보의 소성은 (c)와 같다고 가정한다. 모든 부재의 재질은 강재로 되어 있고 E=200x10³ rm N1/mm², Fy=235rm N1/mm²임)

댓글 0
4

주어진 비대칭 골조에 대하여 다음에 답하시오. (점 C의 힌지 지울 고려하여 횡변위가 발생하지 않는 상황에서 구한 휨모멘트는

댓글 0
5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다음 식 (KBC2005 0508.2.2 식)에 따라 상세한 계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정착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6개(d, β, y, λ, C, K,z)중 5개 이상을 설명하시오.

댓글 0
6

다음 그림과 같이 길이가 L인 부재에 압축력 P가 작용할 때 한계세장비 λ=를 유도하시오.

댓글 0
4

4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다음 구조물의 고유주기(natural period)를 산정하시오. (단, 무게 W는 보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댓글 0
2

그림과 같이 단순보 AB의 중앙 C에 트러스 DCE가 C점에서 힌지로 연결되어 있다. A점의 수직반력과 C점에서 보의 모멘트를 구하시오. (단, E=200x10² rm N1/mm², A=40 mm², 1, =2000 rmm, l2 =3000 rmm, w=10 rm N1/mm, I = 10x10 mm²)

댓글 0
3

두바이에서 시공되고 있는 400m 높이(약 100층 높이)의 건물을 부산지역에 동일평면으로 계획할 경우 풍하중에 의한(약간 정도 모멘트를 같게 하여) 평가한다면 부산지역 건물의 높이는 약 얼마로 볼 수 있는가?

댓글 0
4

철근콘크리트 구조부재의 내구성 설계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댓글 0
5

스트럿-타이모델을 이용하여 깊은보의 1) 휨철근과 전단철근을 구하고, 2)절점 C의 배근상 주의점을 기술하시오. (단, 후프 Tie는 D25-2 배근으로 간주하고, 압축응력블럭의 길이 a=250mm로 가정.) fcu = 27 MPa, fy = 400 MPa, Pu=900kN)

댓글 0
6

아래 그림과 같은 인장접합부에서 설계강도(P)에 해당하는 소요강도 P를 결정하시오. (단, 볼트재질 F10T, F = 220 m N1/mm², F, = 235 rm N1/mm², F, = 400 rm N1/mm²이고, 거절플레이트는 안전한 것으로 가정한다. 강소계수는 적용하지 않음 (U=1.0), 볼트의 간격 및 연단거리는 기준을 만족, 블록전단강도는 검토하지 않음)

댓글 0

댓글 (0)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