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구조기술사 제85회 기출문제

시험일: 2009-07-14

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

PDF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정리된 문제
1

1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직사각형 단면을 예로 들어 단면의 형상비 (shape factor)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강재의 탄소강(Carbon steel)과 TMCP 강의 특성을 설명하고 구조설계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댓글 0
3

구조물의 진동응답이 구조물의 사용성 한계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설명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시오.

댓글 0
4

내진설계시 횡력저항구조 계획에서의 유의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5

강구조한계상태 설계법의 하중조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6

건물 기초구조 설계시 고려사항을 항목별로 나열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7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8

연성강재요소와 취성강재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9

콘크리트 단면의 완전균열등급(fully cracked sectio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10

콘크리트설계기준에서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 산정시 스터럽이 부담하는 전단강도의 상한치를 두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댓글 0
11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연속보의 모멘트 재분배의 개념을 설명하고 적용 효과를 제시하시오.

댓글 0
12

콘크리트 구조 설계개념에서 B-영역과 D-영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13

내진설계에서 건물의 수직비정형과 수평비정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2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트러스 부재 절점 C 점에 작용할 수 있는 최대허용하중 P 와 부재 AC 및 부재 BC 의 신축의 크기를 구하시오. 단, 압축재의 좌굴은 무시하고 부재의 단면은 원형이며 탄성계수 E=200,000MPa 이다. 부재 단면 직경(mm) 허용응력(MPa) AC d1=10 σ1=15 BC d2=15 σ2=5

댓글 0
2

AB 부재 중앙부에 집중하중과 BC 부재에 등분포하중을 받는 연속보를 모멘트분배법으로 해석하여 휨모멘트도(BMD)와 전단력도(SFD)를 도시하시오. 단, EI 는 일정하다.

댓글 0
3

다음 그림에서 부정정보가 B 점에서 4.5mm, C 점에서 3mm 의 수직방향 침하가 발생하였을 때 유연도법(flexibility method)을 이용하여 지점의 반력과 모멘트를 6 2 -6 4 구하시오. 단, E=200×1kN/m ,I=160×10m 이고, 반력단위는 kN, 모멘트는 kN⋅m 를 사용하며 소수점 3 자리까지 표현하시오.

댓글 0
4

다음 박공골조의 기둥과 보의 소성모멘트가 Mp 로 일정하고 연직하중(V)과 횡하중 (0.5V) 이 작용할 때 상한계 해법을 이용하여 붕괴하중을 산정하시오. 단, 부재에 작용하는 압축력 효과는 무시한다.

댓글 0
5

콘크리트 온통기초판이 설계전단강도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기초판의 두께를 증가하지 않는 조건으로 보강 방법 종류를 스케치(SKETCH)하고, 스터럽 보강 설계순서를 설명하시오.

댓글 0
6

아래 그림처럼 재축방향 길이 1,500mm 인 부재 끝단에 14,000 kN⋅mm 의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할 때 아래 제시된 단면별 (a,b,c,d)에 대하여 다음을 계산하시오. 단, G=78.80kN/mm 1)최대 전단 응력 2)최대 수직 응력 3)최대 회전각 (a) (b) (c) (d)

댓글 0
3

3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그림과 같은 지하 구조물의 기초를 MAT 기초로 설계(내부기둥부분)할 때 다음 사항을 계산 및 검토하시오. (KBC 2005 기준) (단, 지하수위 GL-1.5m,fck=24MPafy=400MPa,내부기둥 단면은 500mm×500mm 이며 1 개 당 작용하는 고정하중 PD=1,800kN, 활하중 PL=1,100kN 이며, 마감을 제외한 순수고정하중 PD=1,500kN) 1) MAT 기초로 설계시 소요지내력 2) 기초 DEPTH(D=800mm)의 적정성 검토 3) 지하수위에 의한 부상검토 4) 직접설계법에 의해 내부경간 주열대 부분의 철근량 산정

댓글 0
2

그림과 같이 콘크리트 보 단면이 각각 콘크리트 압축강도(fck)가 30MPa 과 40MPa 로 주어졌을 경우에 정 모멘트에 대한 공칭 휨모멘트강도(Mn)를 구하시오. (단, 상부철근은 2-D25, 하부철근은 8-D25 이며 철근의 항복강도는 400MPa 이고, D25 의 공칭단면적은 506.7mm 을 이용하고 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계수 N =0.85-0.007(fck-28)을 이용하시오.)

댓글 0
3

다음그림에서 일정한 휨강성 EI 과 단위 길이 당 질량 m 으로 분포된 캔틸레버 보에 집중 무게 W (집중질량은 W/g 로 표현해야 하며 g 는 중력가속도)가 중앙부에 위치할 경우와 끝단에 위치할 경우에 Rayleigh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고유진동수를 구하시오. (단부 조건을 만족하는 처짐곡선을 적용하라.)

댓글 0
4

다음 복합트러스를 부재력 가정법을 사용하여 부재력을 산정하시오.

댓글 0
5

내민받침(코벨) 구조의 주요 파괴양상을 설명하고, 설계방법과 철근배치를 제시하시오.

댓글 0
6

다음그림과 같이 각층의 질량과 횡강성의 합이 주어진 2 자유도 구조시스템의 고유진동수와 모드 형상을 산정하시오. 2 kN․s /m(질량단위) kN/m(강성단위)

댓글 0
4

4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아래 그림에서 내부 보를 경제성, 안전성, 시공성 및 처짐을 고려하여 배치하고 배치된 합성보를 한계상태설계기준에 의해 완전합성보로 설계 하시오. 2 2 (단, 강재(fy=240N/mm ), 콘크리트(fck=21N/mm ), 스터드 커넥터 19mm 를 사용하 며, 처짐 검토는 제외하고 휨 응력과 전단응력만 검토하여 설계하도록 한다. 단 외곽부재의 조건을 무시하시오. ⋅용도: 사무실 ⋅슬래브 두께 : 120mm, 바닥마감 : 600N/m ,2 2 2 ⋅천정 : 300N/m , 경량 칸막이 : 1,000N/m , ⋅Ec = 21,737N/mm , Es = 210,000N/mm 2 H-400×200×8×13(r=16), As=8,412mm , H-500×200×10×16(r=20), 2 As=11,420mm , H-600×200×11×17(r=22), As=13,440mm ,H-700×300×13×24(r=28), 2 As=23,550mm

댓글 0
2

그림과 같은 매입형 합성기둥이 압축력을 받을 때 한계상태설계법에 따라 구조제한 및 안정성을 검토하시오. 단, 기둥의 높이는 4.0m, 철골단면 H-300×300×10×15(SS400), As=11,980mm , 2 Isx=20,400×10 mm , Isy=6750×10 mm , 철근단면 12-D25 (A=507mm ), 2 2 Fyr=400N/mm , 콘크리트 fck=24N/mm , 띠철근 D13@300, Not 합성탄성계수: Ec=4700 , Em=Es+0.2Ec(Ac/As)

댓글 0
3

그림과 같은 단부 조건의 기둥에 3 지점이 회전강성 kr 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좌굴하중을 산정하시오. 단, 기둥의 휨강성은 무한대로 가정하라.

댓글 0
4

캔틸레버 보가 각각 다른 재료인 2 개의 정사각형 단면(100mm×100mm)으로 구성되어 있다. △T 만큼 온도가 변화한 경우 캔틸레버 단부의 처짐량을 △T, L, E1,α1 로 표현하시오. (단, 재료의 탄성계수 Eb=E1, Et=E1/2 이며, 열팽창계수는 αb=α1, αt=α1/2 이며 하첨자 b 는 하부 단면, t 는 상부 단면을 나타낸다.)

댓글 0
5

그림과 같은 인장재의 설계블록전단파괴강도(한계상태설계법) 및 허용블록전단강도( 허용응력설계법)를 구하시오. (단, 형강의 재질은 SS400 이며 사용하는 고력볼트는 M22(F10T)이다.)

댓글 0
6

그림과 같이 H=400×400×13×21(SM490)의 양단에 핀으로 고정되어 있는 기둥에 PD=600kN및 PL=1800kN 의압축력과 강축방향의 휨모멘트 양쪽 단부에 Mntx,D=50kN⋅m 및 Mntx,L=150 kN⋅m 가 작용하는 경우 안전성을 검토하시오. 단, 기둥은 골조내에서 가새지지 되어 횡방향 이동이 구속되어 있고 2 2 기둥의 비지지길이는 4.0 m 이며, E=206,000N/mm , Fy=Fyf=325N/mm H 형강의 단면성능은 A=21,870mm , rx=175mm, ry=101mm, r=22mm, 3 Zx=3,670,000 mm 이다. 적용공식으로는 Fcr=(0.658 N)Fy Not λp=0.38 Not λp=1.12 {2.33-Pu/(ϕb․Py)}

댓글 0

댓글 (0)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