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구조기술사 제132회 기출문제

시험일: 2024-01-29

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

PDF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정리된 문제
1

1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2016)에서 규정하고 있는 한계상태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교량 가시설 설계기준(KDS 24 90 11)에서 반영 지정 성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강구조의 취성파괴(Brittle Failur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교량의 지지형식 분류 및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5

모듈러교량(Modular Bridge, 표준모듈을 활용한 조립식 교량, Prefab bridg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6

시설물의 안전등급 기준과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7

한국산업표준(KS)에서 규정하는 강재의 표준규격 중 토목구조물에 적용하는 다음 강재 기호 ①~④의 의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전단균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9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특성과 섬유의 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10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제75조의2(설계의 안전성 검토)에 따라 설계 시 건설안전을 고려한 설계가 될 수 있도록 준수해야 하는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11

강구조에서 잔류응력(Residual Stres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12

토피 1m 깊이에 있는 암거를 설계하고자 한다. 원활히 묻히지 않은 암거 덮개의 크기를 다음의 조건을 이용하여 구하시오.

댓글 0
13

아래 그림 1과 같은 구조물의 고유진동수를 측정하여 fₙ = 2 Hz를 구하였다. 그림 1의 구조물에 추가 질량(mₐdd = 25 kg)을 아래 그림 2와 같이 부착한 후 다시 고유진동수를 측정하여 fₙ,ₐdd = 1.5 Hz를 구하였다. 구조물의 질량과 강성을 구하시오.
(단, 기둥의 질량은 무시)

댓글 0
2

2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교량 설계단계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검토 내용 및 활용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해석에 있어서 3가지 기본개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해설, 2015)에서 신축이음의 신축량 계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교량의 정밀안전진단을 위한 제한시험의 목적과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5

다음 그림과 같이 1단 강관 고정, 타단 핀고정의 중심압축재에 2,000 kN의 소요 압축강도가 필요할 때 중심압축재의 단면을 주어진 조건으로 강구조 부재 설계기준(KDS 14 31 10, 하중저항계수 설계법)에 따라 검토하시오.
(단, 압축재의 길이는 8 m이고 부재 중간에 약축방향으로 휨 지지되어 있으며, 강재는 SM 355, H-300×300×10×15이다.)

댓글 0
6

방음벽(높이 : 8m, 지주간격 : CTC 4.0m, 방음판 단위면적당 중량 : 0.3 kN/m²)의 지주 및 앵커에 대하여 주어진 조건 1, 2에 따라 단면검토를 허용응력설계법(KDS 14 30 00)으로 수행하시오.

댓글 0
3

3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교량(플레이트 거더교, 강박스 거더교, 트러스교, 아치교, 사장교, 현수교)의 부재구성을 도식하고, 특징 및 설계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해협을 횡단하는 연장 1 km 이상의 교량을 설계하는 설계 책임자로서 교량형식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설계 시 반영해야 할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교량의 중요도와 크기에 따라 3가지(중소교량, 중대교량, 장대 특수교량)로 분류한 교량 하중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공항 유도로 교량의 규모 결정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5

다음과 같은 T형 단면에 대해 주어진 조건으로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댓글 0
6

다음과 같은 L형 옹벽에 대하여 주어진 조건으로 평상시 안정(활동, 전도, 지지력)을 검토하시오.
(단, 상재하중이 재하될 때로 검토하되, 옹벽 전면 흙에 대한 수동토압은 고려하지 않음)

댓글 0
4

4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PSC 박스 거더교 가설공법의 종류와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설계공모, 기본설계 등의 시행 및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에 관한 지침』에서 정하는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콘크리트 교량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 분류, 영향요인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용접 결함에 의한 균열의 종류와 특징, 용접 후 비파괴검사를 위한 최소 지체시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5

두께가 250 mm인 교량 바닥 슬래브에서 표준하중 조합으로 경간 중앙에서 85 kN·m/m의 휨모멘트가 발생한다. 이 휨모멘트의 15%는 자중을 포함한 지속하중에 의한 것이고, 나머지 85%는 통행 트럭 하중 활하중에 의해 유발된 것이다. 극한 한계상태 검증에 의해 D16 철근은 100 mm 간격(Aₛ = 1,986 mm²/m)이며, 유효깊이는 192 mm로 배치된 상태이다. 사용된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 fₖ = 30 MPa이다. 주어진 조건으로 바닥 슬래브의 사용 한계 응력 제한을 검토하고, 바닥 슬래브의 균열폭을 구하시오.

댓글 0
6

그림과 같이 경사버팀보를 45°, 2.5 m 간격으로 배치하는 똬리이음공을 계획하였다. 똬리에 100 kN/m의 하중이 작용하고 온도하중에 의한 경사버팀보의 축력 (120 kN)을 고려할 때, 허용 응력 할증계수의 적용 사유를 가설 흙막이 설계기준(KDS 21 30 00)에 따라 설명하고, 경사버팀보와 똬리 연결에 필요한 볼트 (M22 F8T)의 필요 수량을 검토하시오.
(단, 계획현장은 단기간(6개월 이내)에 공사 완료되는 현장으로 모든 자재는 재사용 자재를 사용하며, 필요 볼트의 수량은 정수로 구한다.)

댓글 0

댓글 (0)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