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같이 수평봉이 기둥 AB와 CD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각 기둥의 상단은 수평봉과 핀으로 연결되었고, A점은 힌지, D점은 고정단으로 지지되어 있다. 두 기둥의 단면은 정사각형(150mm×150mm) 충실단면이며, 탄성계수 E=200GPa일 때 하중 P의 임계하중(Pcr을 구하시오. 2 – 1
강구조 부재 설계기준(하중저항계수설계법)(KDS 14 31 10)에 따른 다중 강재박스단면의 활하중 분배계수 적용을 위한 제한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그림과 같은 T형 단면보의 설계휨강도 M 를 한계상태설계법으로 구하시오. d [조건] -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 - 철근 항복강도 - 철근량 - 콘크리트 재료계수 ∅ - 철근 재료계수 ∅
그림과 같은 연속보의 지점 B에서 15mm, 지점 C에서 5mm의 지점침하가 발생하였다. 이 연속보를 해석하여 전단력도(S.F.D)와 휨모멘트도(B.M.D)를 작성하시오. (단, 보의 탄성계수 × , 단면2차모멘트 × 로 일정하다.) 2 – 1
단일 강재 박스거더(1-Cell) 교량에 편심하중 작용 시 박판보(thin-walled beam) 이론에 따른 응력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그림과 같이 등분포하중 w=8kN/m을 받는 길이 L=12.0m의 PSC 거더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시오. (단, 탄성계수비 n=8 이다.) 1) 부착(Bonded)강선과 비부착(Unbonded)강선의 구조 특성 및 차이점 2) 중앙 단면에서 등분포하중(w)에 의해 추가되는 부착(Bonded)강선의 응력과 비부착 (Unbonded)강선의 응력 3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