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탄성체 거동을 하는 단자유도 시스템의 주기가 0.5초이고 감쇠율이 5%이고 연속 계수가 4이다. 해당 조건에 대한 비감쇠응답스펙트럼의 유사가속도의 값이 중력가속도의 20%일 때 이 시스템의 최대 변위를 구하시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기둥 콘크리트의 강도가 바닥판 구조에 사용된 콘크리트 강도의 1.4배를 초과하는 경우 바닥판을 통한 기둥하중의 전달 방법을 설명하고, 1.4배 이하여도 특별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콘크리트구조 전단 및 비틀림 설계기준(KDS 14 20 22)에서 전단철근에 의한 전단강도의 설계 규정을 기술하고, 상한 규정을 두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건축물 내진설계기준(KDS 41 17 00)에 따른 지하층 산정에서 내진설계범주 C와 D에 대한 구조해석방법과 지진하중의 방향을 설명하시오.
그림과 같이 자안좌표계로 정의된 4자유도의 평면 보 요소가 있다.
(1) 자유도 d,에 대한 형상함수 N₁를 구하시오.
(2) 다음 표에 주어진 가우스 적분을 이용하여 ∫(-1~1) (d²N₁/dξ²)² dξ의 값을 구하시오.
그림과 같이 목재 하부에 강판을 부착한 완전합성단면에 300 kN·m의 정(+)모멘트가 작용할 때 다음을 구하시오.
(단, 목재의 탄성계수는 12.5 GPa이고 강재의 탄성계수는 200 GPa이다.)
(1) 목재에 발생하는 최대 인장응력 및 압축응력
(2) 강판 하단부의 변형률
그림과 같이 일단은 고정, 타단은 이동단으로 지지된 보에 2개의 집중하중이 작용하고 있다. 소성파괴에 대한 2가지 이론(상한치이론(upper bound theorem)과 하한치이론(lower bound theorem))을 사용하여 소성모멘트를 결정하시오.
(단, 부재의 휨강성 EI는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그림과 같이 L인 케이블 구조의 중앙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하고 있다. 케이블의 단면적이 케이블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비례한다고 가정할 때 케이블의 부피가 최소가 되는 처짐 h를 구하시오. (단, 자중의 영향은 무시한다.)
철근콘크리트 다층 구조물의 전이층 시공 시 콘크리트를 2차에 걸쳐 분할 타설하고자 한다. 1차 타설 후 일정 양생 기간이 경과한 다음 동바리 바꾸어 세우기(reshoring)를 하고자 할 때, 그 순서 및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단, 1차 타설 시 (n-1)층과 (n-2)층 하부에는 동바리가 세워져 있다.)
그림과 같은 강재 단면에 탄성단면계수 S, 소성단면계수 Z, 항복모멘트 My, 소성모멘트 M 각각 구하시오. (단, 강재의 항복강도는 f = 400 N/mm²를 사용한다.)
동역학적 수치해석 방법에서 중앙차분법(central difference method)을 이용한 명시적 방법(explicit method)을 설명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