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구조기구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302)」의 인명구조기구 설치기준과 「공기 호흡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 기술기준」의 공기호흡기 규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화재 조사 시 V-Pattern, U-Pattern, Hourglass Pattern, Pointer and Arrow Pattern 발생 원인과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열유속(Heat Flux)과 열방출속도(Heat Release Rate)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개념 및 소방에서의 활용비교 2) 화재로 인한 열전달의 종류 3) 열방출속도 결정법
리튬이온배터리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리튬이온배터리의 온도에 따른 현상 2) 화재 시 독성가스가 발생하는 원인 3) 화재 시 유해가스의 주요성분
NFPA 72의 PAS(Positive Alarm Sequence)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정의와 주요 기능 2) PAS 적용 예외 상황 3) PAS가 건물의 화재 안전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4) PAS의 장·단점
데이터센터(Data Center) 방화기준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데이터센터와 컨테인먼트 시스템(Containment System) 개념 2) 데이터센터의 화재발생 시 리스크 3) 컨테인먼트 시스템 구성 시 고려해야 할 항목 4) 안전관리방안 검토 사항
2024년 5월 개정된「연결송수관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502)」의 개정 배경과 “방수구”, “방수기구함” 및 “배관 등” 설치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연물이 연소할 때 탄소의 연소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그런데 이산화탄소는 소화약제이기도 하다. 다음 물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연소에서 탄소와 이산화탄소의 화학적 반응단계 2) 이산화탄소의 상태도 3)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오방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책 4)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주의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