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지진 시 기초구조물의 해석방법
댓글 0
|
2 |
강성기초와 연성기초 차이
댓글 0
|
3 |
압축곡선과 압밀곡선 차이
댓글 0
|
4 |
한계상태설계법과 허용응력설계법
댓글 0
|
5 |
수평재하 말뚝의 설계개념
댓글 0
|
6 |
지반함몰, 지반침하
댓글 0
|
7 |
철도에서의 분니현상(mud pumping)
댓글 0
|
8 |
평균압밀도와 시간계수의 관계
댓글 0
|
9 |
액상화 평가 시 제외조건 및 영향요소
댓글 0
|
10 |
Well resistance, Smear zone
댓글 0
|
11 |
이온교환능력
댓글 0
|
12 |
동결현상, 동상현상, 동결심도
댓글 0
|
13 |
사면안정해석법 중 절편법에서의 부정정차수
댓글 0
|
2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현장타설말뚝의 설계와 시공 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2 |
불포화토 사면내 집중강우로 인한 사면 파괴는 상부 얕은사면 파괴와 하부 깊은사면 파괴로 나눌 수 있다. 각 각의 경우에 대하여 한계 평형법에 의한 안전율 계산 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도심지 복합지반에서 쉴드 TBM 설계 시 발생되는 문제점, 관리항목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현장 베인 전단시험으로 측정된 점토질 흙의 비배수전단강도(S ) 보정 방법을 설명하고, u 보정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점성토와 사질토 지반의 전단강도 특성과 함수비가 높은 점성토 지반의 처리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말뚝시공 공사와 관련하여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말뚝의 부마찰력과 중립점을 정의하시오. 2 2) 선단지지된 단독말뚝에서 qu일축압축강도)=20kN/m , D(말뚝의 직경)=0.5m, Lc(관입 깊이)=15m일 때 부마찰력을 계산하시오. 3) 부마찰력 작용 시 말뚝의 축방향 허용지지력 산정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3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지반반력계수(modulus of subgrade reaction)를 정의하고 선형 또는 비선형 반력계수가 기초구조물 해석 시 어떻게 사용되는지 설명하시오.
댓글 0
|
2 |
이상기후로 인한 집중강우로 해마다 장마철이 되면 산사태가 빈번히 발생하여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산사태의 발생 강우조건 및 지반/지질조건 2) 발생 가능한 토석류 3) 산사태와 토석류의 재해방지 대책
댓글 0
|
3 |
운영 중인 도로, 지하철 노후터널의 배수공 막힘 원인, 문제점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국내 보강토 옹벽의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에 대한 문제점 및 대책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필댐에서의 내부 침식에 의한 사면붕괴 및 파이핑의 원인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느슨하고 포화된 사질토 지반에서 진동이나 지진하중 등에 의해 발생하는 액상화 현상의 판정방법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4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강성법과 연성법에 의한 전면기초(mat foundation)의 설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2 |
비배수 전단 시 체적팽창(dilative) 시료와 체적압축(contractive) 시료의 거동을 비교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최근 도심지에서 지하철, 전력구, 대형건축공사 등의 지반굴착으로 인해 지하수 유출 및 지반침하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한 지반공학적 측면에서의 지하수관리 문제점 및 대책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현재 지하수위는 지표면에 위치하여 있으나, 과거에는 지하수위가 지표면으로부터 최대 3m 아래 있었던 점토지반의 단위중량(r)은 17kN/m 이다. 이때, 현재 유효상재하중(Po´), t 선행압밀하중(Pc´) 및 과압밀비(OCR)에 대하여 심도 10m까지 심도별 분포도를 작성하시오.
댓글 0
|
5 |
군말뚝의 침하량 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지반공학적 측면에서 폐기물 매립장 설계 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