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교량의 단면 최적설계(optimum design)에서 설계변수, 목적함수, 제약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전단하중을 받는 앵커의 파괴모드 중 프라이아웃(pryout)의 개념도를 그리고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철도교 설계에서 차량 횡하중의 발생원인과 적용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I 형 단면을 갖는 구조용 압연강재의 잔류응력 분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교량구조용 압연강재(HSB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2016)에 제시된 교량의 위치선정에 대한 규정에 근거하여 도로상 교량의 다리밑 공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7 |
PS강연선의 주요 부식 중 메크로셀 부식(macro-cell corrosio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8 |
특수교 케이블 점검을 위한 비파괴검사(non-destructive test) 방법 중 음향방출기법(Acoustic Emission, A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9 |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거동과 관련하여 압축지배단면, 변화구간단면, 인장지배단면에 대한 강도감소계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10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2016)에 근거하여 온도에 의한 변형효과를 고려하기 위하여 설계시 기준으로 사용되는 온도 기후 및 교량별로 설명하시오. (단, 온도에 관한 정확한 자료가 없을 경우)
댓글 0
|
| 11 |
단변의 길이 S, 장변의 길이 L, 두께 t인 2방향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가 4변 모두 단순 지지되어 있다. 이 슬래브의 중앙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할 때, 장변 및 단변으로의 하중분담비를 설명하시오. (단, 장변 : 단변 = 1.5 : 1)
댓글 0
|
| 12 |
교량에 사용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장점 및 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13 |
국내의 한국산업표준(KS)에서 규정하는 프리스트레스트 강재의 표준규격에서 다음 기호의 의미를 ①의 예시와 같이 ②~④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2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연속압출공법(ILM)을 이용한 교량 설계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포스트텐션 공법이 적용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정착구역 중 국소구역에 대하여 설명하고, 지압응력에 대한 안전검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강재의 취성파괴 원인과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그림과 같이 등분포하중(w=30kN/m)을 받고 있는 3경간 연속보에 지점침하가 A에서 10mm, B에서 50mm, C에서 20mm, 그리고 D에서 40mm가 발생하였다. 각 지점의 반력을 구하시오. (단, EI는 일정, E=200GPa, I=700×10⁶ mm⁴)
댓글 0
|
| 5 |
등가직사각형 응력분포와 강연선의 항복 후 직선관계를 이용한 변형률 적합조건을 이용하여, 폭이 400mm, 높이가 600mm인 직사각형단면 보의 공칭휨강도 M을 구하시오.
댓글 0
|
| 6 |
그림과 같은 지간 10m 단순보에서 고정하중은 등분포하중(w₁=1kN/m)으로 작용하고 있고 활하중은 집중하중(P=10kN)으로 작용하고 있다. 보의 중앙(B)에서 고정하중모멘트(D), 활하중모멘트(L)가 발생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댓글 0
|
3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기존 교각의 내진성능 향상방법을 나열하고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사장교 측경간 교각부에 부반력이 발생할 경우, 설계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2016)에 제시된 도로 배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구조물을 그림과 같이 무게가 없는 탄성기둥과 무게가 있는 강재 거더로 모델링하였다. 이 구조물의 동특성을 산정하기 위하여 강재 거더에 유압잭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변위를 가한 후 놓아서 자유진동이 발생하도록 하였다. 이때 유압잭으로 발생시킨 변위(u₀)는 20mm이고 3cycle 후 최대변위(u₃)는 16mm이었다. 다음을 구하시오.
댓글 0
|
| 5 |
다음 그림과 같이 정강 30m의 포스트텐션 보에서 곡선으로 배치된 강재를 왼쪽 지점(A)의 단부에서 인장력을 도입할 때 다음을 구하시오.
댓글 0
|
| 6 |
다음과 같은 사각기둥(단주)이 휨형 상태일 때, Pₙ, Mₙ 및 eₙ를 강도설계법으로 구하시오.
댓글 0
|
4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철근콘크리트 교량의 유지관리에서 철근 위치와 부식상태를 조사하는 방법과 그 특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평면응력상태에서 Tresca와 von Mises 항복기준을 도형적으로 비교하고 각각의 배경이론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철근콘크리트 연속보 구조의 휨모멘트 재분배에 대하여 설명하고, 콘크리트구조기준(2012)과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2016)을 비교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강교량의 설계에 적용되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다음의 복철근 직사각형보의 설계휨모멘트(ϕMn)를 강도설계법으로 구하시오.
댓글 0
|
| 6 |
다음 그림과 같이 지간이 12.0m인 단순보이고, 자중 외에 8.180N/m 가 작용하는 프리텐션 보가 있다. PS 강재는 7연선을 사용하였으며 편심거리(eₚ)는 130mm이다.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의 프리스트레스 힘 Pᵢ는 766 kN이다.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크리프 및 PS 강재의 릴렉세이션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의 시간적 손실이 15%일 때, 보의 중앙 단면에서 상, 하연의 휨응력을 구하시오.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