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술사 제123회 기출문제

시험일: 2021-02-01

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

PDF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정리된 문제
1

1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관성항법장치(INS: Inertial Navigation System)

댓글 0
2

다각측량(traverse surveying)

댓글 0
3

방위, 방위각 및 방향각

댓글 0
4

수준면(level surface)과 수준선(level line)

댓글 0
5

국가기준점

댓글 0
6

다중경로오차(multipath error)

댓글 0
7

단열삼각망

댓글 0
8

지상표본거리(GSD)

댓글 0
9

능동형센서와 수동형센서

댓글 0
10

Map API

댓글 0
11

DPW(Digital Photogrammetric Workstation)

댓글 0
12

해양수심측량 라이다(SHOALS)

댓글 0
13

해저면 영상조사 1 – 1

댓글 0
2

2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의한 공공측량의 종류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을 적용받지 아니하는 측량』을 설명하시오.

댓글 0
2

항공레이저측량에 의한 수치표면자료(Digital Surface Data), 수치지면자료(Digital Terrain Data), 불규칙삼각망(TIN), 수치표고모델(DEM) 제작공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공선조건식을 기반으로 공간후방교회법(Space Resection)과 공간전방교회법(Space Intersection)의 개념과 활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개념으로서, 디지털트윈(Digital Twin)의 개념과 우리나라 공간 정보분야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5

GIS에서 벡터데이터와 래스터데이터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6

우리나라 연안해역기본도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 1

댓글 0
3

3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GNSS 현장관측방법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하천에서 유속계(current meter)와 부자(float) 등을 이용하는 유속측정법과 평균유속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드론측량의 활용·확산을 위해, 관련된 기존제도의 보완사항 및 타 산업분야와의 기술 연계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위스크브룸(Whiskbroom)과 푸쉬브룸(Pushbroom) 스캐너의 자료취득 방법을 비교하고, 푸쉬브룸 방식의 상대적 장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5

지자체에서 활용중인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의 주요기능을 상세히 설명하시오.

댓글 0
6

제6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 1

댓글 0
4

4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토목공사에서 사용하는 체적계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국토지리정보원이 주관하는 항공촬영카메라의 성능검사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공간 필터링(Filtering)을 이용한 영상강조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GIS의 공간분석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5

국가적인 대규모 선형구조물(송전선로, 고속도로, 철도)의 노선을 GIS를 이용하여 선정 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6

융복합 산업 활성화를 위한 3차원 입체모형 구축 기술을 비교 분석하고, 장단점을 설명 하시오. 1 – 1

댓글 0

댓글 (0)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