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소성해석(plastic analysis)에서 3가지 기본이론인 상한치이론(upper bound theorem), 하한치이론(lower bound theorem), 유일성이론(uniqueness theorem)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2 |
지진력 저항시스템 중 건물골조시스템 선정 시, 선정 근거와 관련 기준 등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고, 내진설계범주 D인 경우에 설계 시 추가 고려해야 할 사항 및 설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그림과 같은 단면의 보에 정모멘트가 5°의 경사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 수직으로 작용하는 경우보다 A점의 압축응력이 몇 배 증가하는지 구하시오. < 그림 단위 : mm > 4 – 1
댓글 0
|
4 |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세부지침」에서 건축시설물을 대상으로 정하는 중대한 결함의 적용 범위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내진성능평가에서 구조체의 손상정도에 따른 성능수준으로써, 기능수행성능수준 (operational level), 즉시거주성능수준(immediate occupancy level), 인명안전성능수준 (life safety level), 붕괴방지성능수준(collapse prevention level)의 피해상태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건축물의 내진설계기준(KDS 41 17 00)에서 응답스펙트럼해석 시 밑면전단력의 과도한 감소를 제한하기 위하여 설계값에 사용하는 보정계수 C m에 대하여 설명하고 산정 방법을 기술하시오.
댓글 0
|
7 |
그림과 같은 보에서 C점의 반력이 A, B점 반력의 두 배가 되는 를 구하시오. (단, 구조물의 지점 A, B의 수평변위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 4 – 2
댓글 0
|
8 |
건축법 시행령상의 특수구조건축물의 정의를 설명하고, 관계전문기술자 구조감리 협력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9 |
그림과 같은 부재단면 A의 x축에 대한 휨응력과 처짐량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H를 구하시오. (단, H1 : H2 = 1 : 2이며, 단면 B와 단면 C 사이의 마찰은 무시하고, 단면 A, B, C의 탄성계수(E)는 동일한 것으로 가정) < 그림 단위 : mm > 4 – 3
댓글 0
|
10 |
목구조에서 흰개미 방지공법 중 구조법 및 토양처리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11 |
다음 풍하중 관련 용어를 설명하시오. 1) 가스트 영향계수 2) 대기경계층시작높이 3) 기본 풍속
댓글 0
|
12 |
막구조 설계 시 하중조합 및 재료의 강도, 내구성기준(KDS 41 70 01)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13 |
건축구조기준 총칙(KDS 41 10 05)의 시공상세도 정의와 구조안전확인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 4
댓글 0
|
2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그림과 같이 타이로드가 설치된 구조물에서 타이로드의 축력과 모든 부재의 휨모멘트를 도시하시오. (단,1E =210 1N/m , I 20.00071 m , E =210 kN/m ) < 그림 단위 : mm >
댓글 0
|
2 |
그림과 같은 보에서 극한하중은 항복하중의 몇 배가 되는지 구하시오. < 그림 단위 : mm > 3 – 1
댓글 0
|
3 |
다음 물음에 대해 답하시오. 1) 그림과 같이 계수하중에 의한 부재력을 받는 패널존의 전단강도를 검토하고, 패널존 보강이 필요시에는 2중플레이트(SM355, doubler plate)로 하고 소요두께와 크기를 산정하시오. (단, 보강방법은 필릿용접, 필릿사이즈는 7mm로 가정, F 및 F 는 부재 두께와 y yw 상관없이 355 MPa 적용) 2) 패널존의 두께가 부족한 경우 보강방법을 그림과 함께 설명하시오. 기둥 : H-400×400×13×21(SM355, r=22 mm, A=2.187×10 mm ) 4 2 보 : H-500×200×10×16(SM275, r=20 mm, A=1.142×10 mm ) 3 – 2
댓글 0
|
4 |
건축구조기준(KDS 41 10 15)에 의한 활하중의 저감과 유사활하중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그림과 같은 T형단면에서 y축에 대한 휨모멘트를 고려할 때, 단면계수(section modulus)와 소성계수 (plastic modulus) 및 형상계수 (shape factor)를 결정하시오.
댓글 0
|
6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화성에 대한 정의와 그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 3
댓글 0
|
3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일반적으로 합리적인 내진보강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내진성능평가에서 분석된 상세, 부재 그리고 시스템의 내진취약성을 종합적으로 분석 및 검토하여 보강 설계의 기본방향을 설정하여야 한다. 내진성능 보강을 위해서 보강 전략적인 측면에서 강도 향상, 연성능력 향상, 강도와 연성능력을 향상 시키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아래 그림을 이용하여 각각에 대하여 도식적으로 표현하시오. 1) 내진성능의 향상 방법으로 – 강도 향상 2) 내진성능의 향상 방법으로 – 연성능력 향상 4 – 1
댓글 0
|
2 |
아래 그림은 대규모 무량판 슬래브(두께 210mm)에서 내부 기둥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기둥의 크기가 모두 동일할 때, 내부기둥 주변의 슬래브 전단(1방향 및 2방향)에 대해 안전성을 검토하시오. (단, MPa MPa, 슬래브의 mm, 주철근비 다. 슬래브 에는 계수하중 kN m이 작용한다. 여기서, ot (보통중량콘크리트)) 4 – 2
댓글 0
|
3 |
초고층 건축물의 구조계획 시 고려해야 할 주요사항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그림과 같은 보에서 일 때, 스프링의 탄성계수( )를 구하시오.
댓글 0
|
5 |
아래 표와 같은 5개의 직사각형 철근콘크리트 단근보에 대하여 각 보의 값을 비교 하여 1번 보를 기준으로 했을 때 4개의 설계인자 , , , 가 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논하고, 설계인자를 증가시킬 때 유의할 점이 있으면 언급하시오. (단, 5개의 보 모두 순인장변형률이 0.005 이상이고 최소철근량을 만족하며,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은 포물선-직선형상을 적용한다.) 번호 (mm) (mm) 주철근 * (MPa) (MPa) 1 300 550 3-D22 27 400 2 300 550 2-D29 & 1-D25 27 400 3 300 550 3-D22 27 550 4 300 550 3-D22 40 400 5 300 850 3-D22 27 400 * 2 2 3-D22 = 1,161mm , 2-D29 & 1-D25=1,792mm 4 – 3
댓글 0
|
6 |
아래 그림을 참고하여 1), 2) 항목에 대하여 답하시오. 1) 강재의 단면을 판요소의 폭두께비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2) 그림과 같이 1단 고정, 타단 핀이고 절점이동이 없는 중심압축재(H-428×407×20×35, SM355)의 설계압축강도를 산정하시오.(단, 부재 중간에 약축방향으로 횡지지 됨) 2 2 9 4 8 4 ▪단면성질 : E=210,000N/mm , As=36,070mm , x =1.19×10 mm , Iy=3.94×10 mm , rx=182mm, r y104mm, r=22mm ▪ ▪ ▪ 4 – 4
댓글 0
|
4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그림과 같은 매입형 합성기둥을 대상으로 설계 조건에 따라 다음 항목을 구하시오. < 설계 조건 > ▪고정하중 2500kN, 활하중 5000kN의 축력 작용 ▪부재의 길이 5.0m, 양단 핀으로 지지, 하중은 매입콘크리트에 직접 작용 ▪내부강재 : H-400×400×13×21(SM355A, A =s1,870mm , Isx6.66×10 mm , Isy2.24×10 mm ,sE =210,000N/mm ▪보강철근 : 12-HD29(SD400), A 1642.4mm2 ▪콘크리트 : f =ckMPa, E =c8,800N/mm 2 ▪띠철근 : HD13@300(SD400) ▪스터드앵커 : 직경 ∅19, A =28sa5mm /ea, F =u50MPa 1)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시오. 2) 하중전체가 콘크리트에만 직접 가해질 경우에 축력의 일부가 강재기둥에 적절하게 전달되도록 스터드앵커의 소요개수와 간격을 구하시오. 5 – 1
댓글 0
|
2 |
그림과 같이 상하대칭인 ㄷ형 단면에 전단력 V가 작용할 때에 전단흐름을 도시하고 전단중심(x)을 결정하시오. 플랜지와 웨브의 두 mm로 동일하다. 5 – 2
댓글 0
|
3 |
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보를 대상으로 아래 조건에 따라 유효단면2차모멘트를 구하시오. <조 건> ▪ 사용하중 : ▪ 보강철근 : 4-D25, MPa, mm , s =200,000MPa ▪ 콘크리트 : MPa 보통중량콘크리트 기준) ▪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은 포물선-직선 형상 적용 ▪ 유효깊이 d=547.5 mm 적용 150mm 450mm 40mm 4-D25 300mm 300mm 300mm 5 – 3
댓글 0
|
4 |
아래와 같은 단면에 작용하는 지진토압을 산정하고자 한다. 다음 항목에 대해 답하시오. 1) 기반암 깊이에 따른 등가정적 해석법 적용여부 검토 2) 등가정적법에 의한 토압 산정 <조건> ▪S=0.176 ▪F a1.4(지반분류 : S ) 2 ▪ kN m ▪건물의 중요도(I) : 1 < 전단파 속도 측정 결과 > 심도(m) 토층분류 전단파속도 (m/s) 밀도 (kN/m ) 1 매립토 211 18 2 풍화토 322 19 3 풍화토 355 19 4 풍화토 378 19 5 풍화토 406 19 6 풍화토 420 19 7 풍화토 458 19 8 경암 754 20 9 경암 768 26 10 경암 780 26 5 – 4
댓글 0
|
5 |
포항 지진의 경우에 필로티 건물의 기둥은 주로 주철근이 이탈 좌굴하여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와 관련된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기준(건축물 내진설계기준, KDS 41 17 00 : 2019)에 따른 “필로티 기둥에 대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세부지침상의 건축물의 안전진단 시 책임기술자의 역할과 시설물 육안조사 요령 및 균열조사 요령을 설명하시오. 5 – 5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