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전단경간비의 영향선을 포함한 철근 콘크리트 전단 저항 기구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댓글 0
|
2 |
휨 부재에서 인장 철근비의 영향을 포함하여 부재의 연성(ductility)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기술하시오.
댓글 0
|
3 |
인장 철근의 정착길이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콘크리트의 인장강성(teusion stiffening) 효과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강관 말뚝의 구조적 특성과 이음 상세를 기술하시오.
댓글 0
|
6 |
구조 부재의 재하 시험에서 재하 할 하중 크기, 가력방법 및 변형 측정 방법을 기술하시오.
댓글 0
|
7 |
콘크리트의 파괴 계수를 실험 및 계산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쓰시오.
댓글 0
|
8 |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발생 원인과 평가 방법 및 보수 방법을 기술하시오.
댓글 0
|
9 |
강재부식에 관련하여 splash zone(비말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10 |
콘크리트 구조 설계 기준에 규정된 내진 구조의 보. 기둥 및 2 방향 슬래브의 설계 전단강도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11 |
샤르피(Charpy) 충격 값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12 |
콘크리트 구조 설계 기준(건설교통부, 2003 년 제정)에 있는 축력을 받는 벽체의 수직 철근이 집중 배치되는 벽체 부분에 횡방향 띠 철근을 배근해야 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댓글 0
|
13 |
강 구조물에 적용하는 한계 상태의 의미와 한계상태 종류를 설명하시오. 제 2 교시 ※ 다음 6 문제중 4 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십시오. (각 25 점)
댓글 0
|
2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그림과 같은 보에서 1) 양쪽날개(flange)와 압축철근(2-D29) 이 없는 단근 장방형 보 일 경우 균열 모멘트(Mcr),허용 응력도 설계법에 따른 허용 모멘트(Ma), 강도설계법에 의한 설계모멘트(Mu)를 구하고, 2) 양쪽날개와 압축철근이 포함된 T 형보의 설계 모멘트(Mu)를 구하시오.
댓글 0
|
2 |
콘크리트가 화재를 입었을 때 화재 온도의 육안추정 방법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화재 피해시 중성화 조사를 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깊은보(Deep Beam)의 설계 방법을 기술하고, 단순보의 중앙에 집중하중을 받는 깊은보의 주응력도와 트러스 모델을 그리시오.
댓글 0
|
4 |
철근콘크리트 휨 부재에서 유효단면 2 차 모멘트(effective moment of inertia)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그림과 같은 단면의 1) x 축 및 y 축 단면계수---------------------2) 단면 2 차 반경 3) 비틀림 상수-------------------------------- 4) x 축에 Mx=35.42t.m 의 모멘트를 받을 때 x 축의 최대 휨 응력과 곡률을 구하시오.
댓글 0
|
6 |
휨 응력도 o Suppor, 곡률 o = ot 식과 전단 응력도 Suppor식을 유도하시오. 여기서 I : 단면 2 차 모멘트------------------g : 중립축에서 단면의 각층까지 거리 ρ = 중립면의 곡률반경-----------------E : 탄성계수 S : g 층의 외측에 있는 단면의 중립축에 대한 1 차 모멘트 b : g 층의 부재 폭N 제 3 교시 ※ 다음 6 문제중 4 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십시오. (각 25 점)
댓글 0
|
3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그림과 같은 기둥에 PD = 2,400kN, PL=1,800kN 의 축하중이 작용 할 때 구조 안전성을 검토하고 기둥의 하중지지 성능이 부족한 경우 SS400 강판으로 보강 설계하시오. - -단, 세장효과는 무시하며, fck=27MPa, fg=400MPa 로 함.
댓글 0
|
2 |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내진 설계시 보와 기둥의 배근 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그림과 같은 보강 부모멘트 재분배 규정 적용시 지지할 수 있는 최대 부모멘트 설계 강도를 계산하시오. 단, fck=21MPa, fg=400MPa, d'=65mm
댓글 0
|
4 |
그림과 같은 트러스의 최대 처짐을 구하시오. 단, E=2×10 kgf/cm , 트러스 단면적은 10cm 으로 함. 4
댓글 0
|
5 |
양단 단순지지된 높이 4.5m 의 H-416×405×18×18(A=295.4㎠, Ix=92,800cm ) 기둥에 축방향력 240tf, 휨 모멘트 Mx=15tf․m 가 작용할 때 한계 상태법을 사용하여 안전성을 검토하시오. 단, fg =2.4tf/㎠으로 함.
댓글 0
|
6 |
그림과 같은 강구조물의 기둥, 보 및 인장케이블에 생기는 최대 부재력을 계산하고, 보- 기둥 접합부(강접합) 및 기둥-기초접합부(핀접합)의 단면 상세를 그리시오. 단, 단면 상세에서 단면의 크기나 볼트 개수를 계산할 필요는 없음.
댓글 0
|
4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다음과 같은 각각의 조건에 대하여 강구조 한계상태 기준(건설교통부/1997.11.25)을 사용하여 용접상태만을 고려한 설계전단 강도(∅sVn)를 구하시오. ․ 계산값의 단위는 tf 이며, 그 값은 반올림된 소수점 둘째자리로 한다. 2 2 ․ 사용강재 : ss400(Fy=2.4tf/cm , Fu=4.1tf/cm )
댓글 0
|
2 |
최근 정부 턴키-대안 입찰제도가 변경시행됨에 따라 건축구조 계획의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건축구조 기술자로서 구조계획의 기본 사항과 일반적으로 적용 할 수 있는 보편성이 큰 구조계획 요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정부 입찰안내서등에 “친환경적인 건설요소를 설계시 최대한 반영하여야 한다”라는 요구 조건이 있는 경우가 있다. 건축구조 기술자로서 상기와 같은 요구조건이 있는 이유와 구조설계시 반영하여야 할 기술요소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다음과 같은 조건에 대하여 강구조 한계 상태 설계기준(건설교통부/1997.11.25)에 따라 접합부의 적합성을 검토하시오. [단위 : mm] ․ 계산값의 단위는 tf 이며, 그 값은 반올림된 소수점 첫째자리로 한다. ․ 사용강재 : ss400(Fy=2.4tf/cm , Fu=4.1tf/cm )
댓글 0
|
5 |
다음과 같은 구조물의 조건에 대하여 가상일법을 사용하여 A 점에서의 수직변위(δy)의 허용한계를 ℓ/250 로, 수평변위(δx)의 허용한계를 H/300 로 각각 제한 값으로 하는 경우에 이에 따른 적정성 여부를 검토하고, A 점에서의 처짐각(θA)를 구하시오. 4 6 2 ㅇ H-440×300×11×18(Ix=56,100cm , Es=2.1×10 kgf/cm ) 4 6 2 ㅇ H-582×300×12×17(Ix=103,000cm , Es=2.1×10 kgf/cm )
댓글 0
|
6 |
다음과 같은 켄틸레버 콘크리트프리텐션 부재에 대하여 콘크리트 구조 설계기준( 건설교통부, 1999)에 따라 단부에서의 프리스트레스 도입직후 응력도 검토와 최대 적재하중(WL,L, ; tf/m)를 구하시오. ㅇ강선 - ∑Aps = 1.387×6 = 8.322㎠,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응력도 : fpi = 11,025kgf/㎠ ㅇ콘크리트 - fck=350kgf/㎠, fci = 250kgf/㎠ ㅇ콘크리트의 건조수축, 크리프 및 긴장재의 릭랙세이션에 의한 프리스트레스의 시간적 감소율 : 25% ㅇ계산값의 단위는 kgf․cm 이며, 그 값은 반올림된 소수점 둘째자리로 한다. ㅇ Partial Prestressing 으로 설계한다.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