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3축 응력을 받는 재료에 대한 최대전단응력과 후크(Hooke)의 법칙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2 |
초고층건물에서 발생하는 기둥의 부등축소 정의 및 이로 인한 문제점을 설명하고, 건축계획적, 구조적, 시공적 측면에서 해결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환경소음 및 진동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데시벨(dB)과 등가소eq(L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기둥의 콘크리트 강도를 바닥판 구조에 사용된 콘크리트 강도 보다 높게 타설할 경우 콘크리트구조 휨 및 압축 설계기준 (KDS 14 20 20 : 2022)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지압보강재가 없는 H형강 웨브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에 대한 검토사항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건축물관리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건축물 해체공사의 필수확인점을 설명하고, 필수감리원의 자격요건을 설명하시오. 또한 지상건축물을 해체하는 경우, 해체계획서의 구조안전 계획에 기술되어야 될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7 |
철근콘크리트 휨재에서 유효단면 2차 모멘트(e )가 균열단면 2차 모멘crI ) 보다 크게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8 |
합성보에서 강재보와 슬래브 사이의 하중전달에 대해 설명하시오.
댓글 0
|
9 |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2023.5.16. 시행)의 제3종시설물 범위 중 건축분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10 |
다음과 같은 물성치를 가지는 재료에 대한 P파 및 S파의 전파속도를 구하고, 15Hz의 조화하중을 가할 때 P파 및 S파의 파장을 구하시오. ▪질량밀도 : 5000m ▪탄성계수 : 150 GPa ▪포아송비 : 0.25 ▪무한탄성매질로 가정함
댓글 0
|
11 |
일반 내진설계기준에 의한 강도설계법과 성능기반내진설계에 대해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12 |
건축법 시행령에 의거하여 건축물 설계자가 건축구조기술사와 구조 안전을 확인하여야 될 건축물을 설명하고, 공사감리자가 건축구조기술사의 협력을 받아야 되는 건축물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13 |
벽식 공동주택의 바닥(경량) 충격용 차단 표준 바닥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2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콘크리트 거푸집공사와 N층 바닥에 시공하중이 작용할 때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거푸집 공사 ① 동바리 가새의 설치목적과 설치방법 ② 깊은 보의 거푸집 설치 시 고려할 사항 2) N층 바닥에 시공하중 작용 ① 아래의 조건에서 잭서포트 지지층수와 제시된 평면에 잭서포트의 배치간격 [조건] - N층 바닥에서 시공하중(중차량) 20 kN/m 이 작용 (단, 단기조건은 무시) - 잭서포트의 허용하중 : 55 kN/ea - 구조설계 시 적용된 하중 (단위 : kN/m ) 구 분 고정하중_자중 마감하중 활하중 N층 바닥 6.0 3.2 5.0 (N-1)층∼(N-3)층 바닥 4.8 2.5 4.0 최하층 바닥 7.2 2.5 3.0
댓글 0
|
2 |
다음 그림의 단면을 가지는 보에 대해서 콘크리트구조 휨 및 압축 설계기준 (KDS 14 20 20 : 2022)에 따라 정모멘트에 대한 설계휨강 )를 구하시오. (단, 보통중량 콘크리트, 철근의 설계기준 항복강도 MPa 보의 유효높이 d=500mm, 최하단 철근의 위치m이며, 피복두께에 대한 검토는 제외한다.) (단, 치수단위는 mm이다.)
댓글 0
|
3 |
계수하중에 의한 부재력 kN․m kN 받는 강접합부에 대해 다음 설계조건에 적합하게 접합부를 설계하시오. <설계조건> ▪기둥부재 : ×××(SM355, r=20mm) ▪보부재 : ×××SM275, r=26mm) ▪고장력 볼트 : F10T M24 (표준구멍) 사용하여 마찰접합한다. (F10T M24 의 최소 인장하중은 352.6kN) ▪기둥과 보 플랜지는 완전용입 그루브 용접으로 한다. ▪웨브 이음판 : ×× 가정한다.
댓글 0
|
4 |
모든 구조부재는 축하중의 영향, 균열구역, 하중지속효과를 고려하여 계산된 부재의 단면특성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에 관련된 강성저감에 대해 아래의 내용을 설명하시오. 1) 구조 설계기준 (KDS 14 20 10 : 2021, KDS 14 20 20 : 2022)에서 제시하는 유효강성 2) 초고층구조에서 횡력저항요소로 많이 사용되는 아웃리거, 벨트월, 기둥과 코어 벽체에 대해 사용하중에서 횡변위를 산정할 때 유효강성
댓글 0
|
5 |
그림과 같은 A점과 E점의 지점조건만 상이한 두 가지 연속보에 대하여 소성해석으로부터 작용하중에서 붕괴될 때, 두 연속보의 소성휨모멘트(M pl 산정하여 비교하시오. (단, 보 단면은 직사각형으로 보의 전 구간에 대한 휨강성(EI)은 동일하며, 보의 자중은 무시하고 별도의 안전율은 고려하지 않는다.) 40kN 30kN <연속보 A> 40kN 30kN <연속보 B>
댓글 0
|
6 |
3층 이상의 벽식 아파트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KDS 14 20 62 : 2022)으로 설계할 경우 일체성 확보 요건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3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다음 조건의 무근콘크리트 독립 기초판을 구조용 무근콘크리트 설계기준 (KDS 14 20 64 : 2021)에 따라 설계하시오. <설계 조건> ▪기둥에서 전달되는 고정하중 : 200 kN ▪기둥에서 전달되는 활하중 : 250 kN ▪상재하중과 기초판의 자중은 사용하중의 10% ▪지반의 허용지내력 : 150 kN m ▪기둥 크기 : 400 mm × 400 mm ▪MPa ▪기둥과 기초의 도심을 일치시킬 것
댓글 0
|
2 |
그림과 같이 각형 강관 주각부에서 강구조 부재 설계기준 (KDS 14 31 10 : 2022)에 따라 압축력에 대한 베이스플레이트 두께의 적정성을 검토하시오. ▪kN ▪재료 : 콘크리트 강도 MPa Base plate : SM355B 각형강관 : SNRT295
댓글 0
|
3 |
해안매립지 환경에서 철근콘크리트 지하구조물 설계 시 콘크리트구조 내구성능의 확보와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콘크리트 강도 2) 콘크리트 피복두께 3) 콘크리트 배합설계 4) 철근방청제 5) 파일(Pile)
댓글 0
|
4 |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하부 단부 철근을 콘크리트구조 정착 및 이음 설계기준 (KDS 14 20 52 : 2022)에 따라 설계할 시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단,MPa보통 중량 콘크리트), MPa도막되지 않은 철근), 피복두께 40mm이며, 보의 자중은 무시한다.) 1) 하단 단부 철근 정착의 적합성 2) 하단 단부 철근이 받침부를 지나 직선으로 정착될 경우 ℓ =1a0mm의 적합성
댓글 0
|
5 |
그림과 같은 경간 L=15m인 단순보에 등분포하중 kN m , 집중하중 kN이 작용하고 있으며, 경간의 3등분 지점마다 횡변위가 구속되어 있을 때, 강구조 부재 설계기준(KDS 14 31 10 : 2022)에 따라 휨 및 전단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시오. ▪ ××× mm SM × mm , × mm , × mm, × mm , × mm , × mm , mm mm × mm ▪
댓글 0
|
6 |
그림과 같이 단면적과 재질이 동일한 두 가지 단면 형태(A, B)를 가지는 중앙부 집중하중을 받는 두 단순보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4d 3d 5d (단순보 A: 원형 단면) (단순보 B: 원통형 단면) P 20d 20d (단, 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 단면의 형태 및 재질은 동일하고, 푸아송비(Poisson's ratio, ν)는 0.25이며, 좌굴 및 자중의 영향은 무시한다.) 1) 휨모멘트에 의하여 보에 축적된 변형에너지를 구하시오. 2) 전단력에 의하여 보에 축적된 변형에너지를 구하시오. 3) 두 단면에 대한 전체 변형에너지의 비를 구하고, 각 단면에 대한 전체 변형에너지에서 전단력에 의한 변형에너지가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4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건축물 내진설계기준(KDS 41 17 00 : 2022)의 감쇠시스템을 적용한 구조물에 대한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시스템 요구 사항 중 감쇠시스템 2) 감쇠시스템 요구사항 중 장치 설계 3) 장치원형 시험 중 지진하중시험
댓글 0
|
2 |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건축물 내진설계기준 (KDS 41 17 00 : 2022)에 따른 지진력 저항시스템 ① 내력벽식시스템 ② 건물골조시스템 ③ 이중골조시스템 ④ 철근콘크리트 보통 전단벽-골조 상호작용 시스템 ⑤ 콘크리트구조기준의 일반규정만을 만족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 시스템 2) 지상 17층 (기준층 층고 4.2m)인 건물골조시스템 건축물에서 내진설계범주 “D” 일 때 적용하는 배근상세 및 사용되는 철근
댓글 0
|
3 |
그림과 같이 두 장의 강판을 용접하여 T형 단면을 만들고 웨브 양 측면에 목재로 보강하여 구성한 완전합성단면에 M=300 kN·m의 정모멘트가 작용했을 때 다음을 구하시오. (단, 목재의 탄성계수는 12.5 GPa, 강재의 탄성계수는 200 GPa이다.) 1) 목재에 발생하는 최대응력 2) 강재단면의 플랜지 윗면에 발생하는 응력
댓글 0
|
4 |
막구조 설계기준(KDS 43 10 10 : 2022) 및 막구조 특성을 고려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막구조 계획 시 고려사항 2) 재료 일반사항 3) 설계 시 변위제한
댓글 0
|
5 |
건축물 설계하중(KDS 41 12 00 : 2022)에서 제시하는 빌딩풍에 대한 풍환경 검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다음 조건에 따라 T-형강을 이용하여 H-형강 보를 보강할 경우 보강설계의 적정성을 검토하시오. 1) 하중 조건은 아래 그림의 좌측과 같으며, 2) 보강은 우측 그림과 같이 T-250×300×13×20으로 한다. 재료강도(H-형강 및 T-형강) : SHN355 용접재 인장강도 : MPa ×××단면성능은 아래와 같다. × , × mm × , × mm 3 – 3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