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진행성 여굴
댓글 0
|
2 |
터널 지보 반응 곡선
댓글 0
|
3 |
수동말뚝
댓글 0
|
4 |
침투와 압밀의 거동특성 비교
댓글 0
|
5 |
동역학적 지반물성치 결정법
댓글 0
|
6 |
심층혼합처리공법
댓글 0
|
7 |
팽창성 연암
댓글 0
|
8 |
준설토의 침강, 압밀 과정
댓글 0
|
9 |
점토광물 판별방법
댓글 0
|
10 |
연직배수재의 통수능력
댓글 0
|
11 |
탄성임계 전단변형율(Elastic Threshold Strain)
댓글 0
|
12 |
반응벽체(Permeable Reactive Barriers)
댓글 0
|
13 |
이수가압식 쉴드(Slurry Type Shield)
댓글 0
|
2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산악지역의 구조물 기초설계시에 지반의 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탄성파 콘 관입시험(SCPTU)을 실시하여 전단탄성계수를 구하고자 한다. 시험법의 개요와 현장 크로스 홀 탐사와의 상대적인 장점 및 단점을 기술하시오.
댓글 0
|
2 |
지하에 매설되는 철근콘크리트 하수도관의 설계시 허용응력법보다 한계상태설계법의 적용이 유리한 이유를 설명하고 철근콘크리트 하수관의 한계상태의 하중강도 측정방법을 간략히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완공 1 년후의 도로 절취사면이 활동거동을 보이고 있다. 절취사면의 지반조건이 점토질 사질토(Clayey Sand)일 때 사면안정 대책 설계에 필요한 토질정수 산정 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15m 두께의 원지반 연약점토층(CH) 상부에 4m 높이의 점성토(CL)로 매립이 완료된 후 3 년이 경과하였다. 이 지반에 GL+5m 로 성토하여 도로를 계획하고자 한다. 하부 원지반을 조사한 결과 과압밀비(OCR)가 1 보다 적은 압밀진행중인 상태로 평가되었다. 침하이력을 고려한 합리적인 조사와 침하량 산정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연약지반상에 설치되는 교대기초 말뚝이 성토 또는 뒤채움에 의한 편재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지반에 측방유동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사면 변형가능성 여부를 경험적 판단법을 이용하여 이를 판단하고자 할 때 연약지반의 개량(SCP, PBD 등) 전후에 따른 판단 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블록식 보강토옹벽의 설계시 고려되어야 할 내용은 무엇들이 있는가 ? 보강토 옹벽 준공후 보강토 구조물을 포함한 전면 사면활동이 발생하였다. 전면 블록들의 균열이나
댓글 0
|
3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최근 경사지에 절토 및 성토를 하여 부지를 조성할 경우 보강토 옹벽을 널리 활용하고 있다. 두개의 보강토 옹벽축이 서로 만나는 코너 부분에 시공완료 후 균열이 발생되는 곳을 흔히 볼수 있다. 발생원인과 대책을 기술하시오.
댓글 0
|
2 |
사질토지반의 N 값이 심도가 증가하면서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다. 암반까지는 너무 심도가 깊어 사질토 지반에 말뚝선단을 정착시키기로 하였다. 주변마찰 저항과 선단 지지력을 각각 측정하였다. 설계지지력을 결정코자 할 때 각각의 배분을 어떻게 할 것인지 각각의 하중-침하량 측정 성과를 예로 들어 기술하시오.
댓글 0
|
3 |
풍화암반상의 Rock-Fill 점토 코어 댐의 기초부근에서 누수현상이 허용치를 초과하여 발생되는 사례가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건설당시 유의해야 할 중점 감리항목을 제시하고 예방대책을 기술하시오.
댓글 0
|
4 |
암반사면의 안정성을 평사투영법과 SMR 분류법으로 검토하였다. 이 해석결과로 사면설계를 수행할 때 각 방법의 가정 및 적용 한계를 고려하여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사면 거동과의 차이점을 논하시오.
댓글 0
|
5 |
말뚝의 허용응력설계법과 한계상태설계법(LRFD)의 특징과 차이점을 비교․평가하시오.
댓글 0
|
6 |
말뚝의 하중전이 함수는 주면하중 전이함수(t-z 곡선)와 선단하중 전이함수(q-z 곡선)로 구분되어 진다. 주면하중 전이함수 곡선의 형상에 따른 극한하중 판정 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4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쓰기 매립을 위한 차수시설에 대해 차수용 지오멤브레인(HDPE)의 요구되는 재료 특성을 설명하고 하부지반 변형에 따른 지오멤브레인(HDPE) 두께의 설계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2 |
지진등에 의해 액상화가 발생될 수 있는 지반을 평가하는 방법들 중 표준관입시험을 이용하는 평가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필리핀에서 많은 강수로 인한 지반약화로 대규모 산사태 사고가 발생하였다. ” 상기 보도자료를 읽고 사면의 하중, 지중응력 및 전단강도를 중심으로 원인 및 대책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50m 두께의 토사층 지표하 3m 에 위치한 폭 20m 의 지하상가 중앙하부 5m에 지하철을 계획하고자 한다.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검토하고 적용가능한 공법을 제시하시오.
댓글 0
|
5 |
N 치가 평균 4 정도인 실트질점토(CL)가 20m 두께의 층으로 분포하고 그 하부가 풍화암인 지반조건에 지하차도를 계획하고자 한다. 지하수위가 지표에 있고 지하차도의 최저계획심도가 GL-10m 일 때 기초형식을 제시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단, 가시설은 Sheet Pile 과 Strut 으로 가정하시오.)
댓글 0
|
6 |
5 층 건물과 30 층 건물의 기초를 지표에 노출된 풍화암에 직접 기초형식으로 계획하였다. 만약 건물의 내진설계를 위하여 두께가 깊은 연약지반의 지표에서 실측한 지진시간 이력곡선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이 해석 결과와 실제 지진발생시 거동의 차이를 지반조건과 건물의 층수를 고려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