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안전기술사 제81회 기출문제

시험일: 2009-07-14

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

PDF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정리된 문제
1

1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가공경화(加工硬化)에 대하여 간단히 기술하시오.

댓글 0
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하여 원동기, 회전축 등의 위험방지를 사업주가 실시하는 3 가지를 설명하시오.

댓글 0
3

금속의 절삭가공 모서리에 발생하는 버(Burr)의 부정적인 영향을 간략히 기술하시오.

댓글 0
4

방식(防蝕)의 대책을 3가지 제시하시오.

댓글 0
5

하인리히가 강조한 사고발생 연쇄성의 5 단계를 제시하시오.

댓글 0
6

재해의 원인 중 1차원인(직접원인)인 물적원인과 인적원인의 예를 합하여 5가지 열거하시오.

댓글 0
7

아래의 와이어로프의 기호를 각각 설명하시오.
가. 6x7+FC
나. 6xFi(7)+IWRC

댓글 0
8

기계설비에 의해 형성되는 위험점을 6가지로 분류하시오.

댓글 0
9

시각 표시장치의 식별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 3가지를 열거하시오.

댓글 0
10

1954 년에 인간욕구 5단계설을 발표한 마슬로(Maslow)가 1970년에 추가적으로 제 6단계를 발표한 바 있다. 제 6단계는 무엇인가?

댓글 0
11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의한 중대재해에 해당하는 3가지의 경우를 제시하시오.

댓글 0
12

안전작업하중(SWL)이 3톤(ton)인 줄걸이용 와이어로프를 그림과 같이 연결하였을 때 최대 사용하중(W)은 얼마인가?

댓글 0
13

기계장치의 공진(Resonance)현상 발생원인을 설명하시오.

댓글 0
2

2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승강기의 정격속도가 아래일 때 조속기와 비상정지장치가 각각 작동하는 범위는 얼마의 속도인가?
가. 30m/min 인 경우
나. 60m/min 인 경우

댓글 0
2

비파괴검사방법에서 내부결함(내부균열)을 검사하는 시험방법 2가지를 제시하고 차이점을 상대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기계설비의 안전기본원칙에서 근원적인 안전화(본질안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목재가공용 둥근톱기계의 재해예방을 위한 방호장치를 분류하고 설명하시오.

댓글 0
5

보일러에서 압력방출장치와 압력제한장치를 비교 설명하시오.

댓글 0
6

보호구, 방호장치 또는 작업자의 안전에 중요한 산업용 제품의 근원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제도를 제조단계와 사용단계로 나누어 설명하시오.

댓글 0
3

3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FTA와 ETA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2

공기압축기에서 공기탱크의 과압(overpressure)시 안전하게 조치할 수 있는 방안 3가지를 설명하시오.

댓글 0
3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규칙 제 100조에 의해 양중기를 분류하고 설명하시오.

댓글 0
4

로울러기의 방호장치인 급정지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댓글 0
5

생산현장에서의 안전확보가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거나 생산성 저하요인이 안전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예를 각각 3가지 제시하시오.

댓글 0
6

다음에 주어진 인터록 센서의 형태 및 특징을 간략하게 설명하시오.
① 근접센서
② 광센서
③ 접촉센서

댓글 0
4

4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산업재해 발생의 메카니즘(모델)을 그림으로 표시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기계장치의 욕조곡선(Bath-tub Curve)을 그림으로 그린 후 단계별 어떤 상황인지를 설명하시오.

댓글 0
3

기계설비의 방호원리와 방호장치를 분류하고 설명하시오.

댓글 0
4

크레인에서 사용하는 과부하 방지장치의 종류 및 원리를 설명하시오.

댓글 0
5

움직이는 기계장치 또는 설비의 동적 안정성 평가가 대단히 어렵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정적인 상태를 가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지게차(Fork Lift)의 좌/우 회전시 지게차 또는 적재화물의 전도 및 미끄러짐 등 동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6

로봇작업시 작동영역과 작업자의 이동영역이 겹치면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작업환경의 무질서한 정도(안전사고 발생 가능한 정도로 통상 엔트로피로 불린다)를 아래 그림에 정의된 로봇의 작동영역과 안전영역과의 중첩영역을 기준으로 정량적으로 표현하면 아래의 식과 같다.

댓글 0

댓글 (0)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