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다음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10점)1. 저항용접법인 (Spot) 용접조건을 결정하는 3가지 주요인자를 쓰시오.
댓글 0
|
2 |
2. 가스레이저인 CO2 레이저와 고체레이저인 Nd-YAG 레이저의 빔을 전송하는 방법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3. 두께 50mm인 조선용 강재를 500A-40V-40mm/min 의 용접조건으로 Electro gas 용접하는 경우, 적용된 용접입열량의 계산값을 구하시오. (단위 표시).
댓글 0
|
4 |
4. 파괴인성값인 KC와 KIC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5. 용접고온균열을 발생원에 따라 크게 3종류로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6. 용접부의 인성을 평가하는 시험법은 크게 파괴역학에 기븐을 두는 방법과 그렇지 않는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Charpy 충격시험, DWTT 시험, NRL 낙중시험, CTOD 시험의 4가지 시험방법 중 파괴역학 개념에 근거하는 시험방법을 택하고, 특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7 |
7. 고장력강을 비드온 플레이트 (Bead-on-Plate) 용접하는 경우, 용접열영향부(HAZ)를 통상 최고열열온도와 조직학적 특징에 따라 CGHAZ(Coarse-grain HAZ), SCHAZ(Subcritical HAZ), ICHAZ(Intercritical HAZ), FGHAZ(Fine-grain HAZ)의 4가지로 세분환다. 이러한 4종류의 HAZ를 최고열온도가 높은쪽에서 낮은쪽으로 순서대로 배열하시오. 또 이들 중 가장 인성이 나쁜 HAZ를 쓰시오.
댓글 0
|
8 |
8. Charpy 충격시험에 의해 구할 수 있는 천이온도의 정의와, 천이온도를 결정하는 일반적인 2가지 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9 |
9. STS304L, STS409L, 9Cr-1Mo 강, 5% Ni 강 중에서, LNG 탱크 소재로 가장 적합한 강재를 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10 |
10. 주철을 용접하는 경우, 급랭으로 인해 가장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용접결함의 명칭을 쓰고 개선방안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11 |
11. 광안전상의 안전확인을 위해 용접부에 대한 비파괴시험을 실시하고자 한다.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비파괴시험법 4가지를 열거하시오.
댓글 0
|
12 |
12. CO2 용접하는 경우, 발생하는 유해 가스의 종류를 3가지 쓰시오.
댓글 0
|
13 |
13. 그림에 나타낸 용접부의 희석률(%)의 계산식과 희석률의 의미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2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25 점)1. TMCP(Thermo-Mechanical Control Process)강의 제조상 특징과 용접시의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2 |
2. 표면처리강판을 저항 점용접(Spot welding)하는 경우, 전극의 연속타점 수명이 중요한 이유와 일반적인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3. 일반적인 용접구조물 후판 강재를 입열량이 높은 대입열조건으로 용접하는 경우, 용접부에 발생하는 금속학적 현상과 문제점 및 대책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4. 오스테나이트계인 STS310S, STS304L, 이상계인 STS329, 페라이트계인 STS430 을 동종끼리 Gas Tungsten 아크용접하는 경우, 용접고온균열이 가장 발생하기 어려운 강종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델타 페라이트량(δ-ferrite)과 응고모드(Solidification mode)의 관점에서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5. 용접 잔류응력을 완화할 수 있는 용접방법(열처방법과 기계적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6. 용접부의 저주기피로(Low cycle fatigue)와 고주기피로(High cycle fatigue)를 피로수명의 관점에서 설명하시오.
댓글 0
|
3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25 점)1. 탄소강-스테인리스강으로 구성된 클래드 강(clad steel)의 용접에서 그림과 같이 모재를 용접한 후 스테인리스 클래드 면을 용접할 때의 용접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댓글 0
|
2 |
2. 용접구조물 강의 HAZ에는 통상 Martensite, Lower Bainite, Ferrite+Pearlite, Upper Bainite 조직이 나타난다. 이들 조직의 현출순서를 용접 후 냉각속도의 관점에서 배열하시오. 또한 이들 조직을 인성의 관점에서 비교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3. 마찰 용접, FSW(Friction Stir Welding), 확산용접(Diffusion welding), 폭발압접 (Explosion welding), 초음파 용접(Ultrasonic Welding) 등은 대표적인 고상 용접(Solid State Welding)법의 예이다. 일반적인 용융 용접(fusion welding)에 비하여 고상 용접법의 이점(장점)을 3가지 열거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4. 용접 시공과정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 3가지를 열거하시오. 또한 용접 시공과정에서 확산성 수소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과,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5. KS D ISO 15607 에 따른 용접절차 승인 방법 중 용접시험에 의한 승인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6. 두께 0.3mm 인 무산소 동(Cu) 판재를 이용하여 40mm(가로)×40mm(세로)×5mm(높이)인 밀봉형 6면체 냉각 용기를 제작하고자 한다. 월 생산량이 10만개인 경우 적용할 수 있는 용접법을 2가지 제시하고 각각의 용접부 형상을 제시하시오.
댓글 0
|
4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 25 점)1. 인장하중을 받는 아래 그림(가), (나)와 같은 2가지 용접구조 단면이 있다. 이 단면들의 관성모멘트(moment of inertia)를 계산하시오. 또 두 단면의 보를 제작할 때 (가) 단면의 필릿 용접부의 목 두께를 8mm, (나) 단면의 목 두께를 3mm로 설계했을 때 입열량을 고려한 생산성을 비교하시오.
댓글 0
|
2 |
2. 아래 그림과 같이 필릿용접으로 결합된 용접 구조물에 200kN의 수직하중이 작용하고 있다. 이 용접부의 강도 설계를 위한 용접부의 응력(stress)을 계산하시오.
댓글 0
|
3 |
3. 그림과 같이 A, B의 두 판재를 필릿용접하여 T 형상의 조립보를 제작하게 되면 용접 후 휨굽힘 변형이 발생한다.(가) 이러한 휨굽힘 변형의 발생기구(mechanism)를 수축(력)과 모멘트의 개념으로 설명하시오.(나) 용접 후 과대 휨굽힘 변형이 발생했을 때 요구되는 정도의 곧은 보로 교정하기 위한 효과적인 열 교정방법을 제시하시오.
댓글 0
|
4 |
4. 연강과 고장력강의 모재 피로강도는 고장력강이 높은 반면 용접부의 피로 강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그리고 용접부의 피로강도를 높일 수 있는 용접 후처리 방법(Post-weld treatment)에 대해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5. 인화성 물질이 있는 지름이 4,000mm, 길이가 5,000mm, 두께가 20mm 인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든 용기 내부에 추가 설비물 부착공사를 위한 절단과 용접작업을 하려고 한다. 용접 중 화재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조치 작업절차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6. 석유 수송용 파이프를 제작 및 설치하는 seam 용접과 girth 용접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또 각각의 용접에 적용하는 대표적인 상용 용접법을 두가지씩 쓰시오.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