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휨을 받는 강구조부재의 조밀단면(compact section), 비조밀단면(non-compact section), 세장단면(slender sectio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콘크리트교량의 상부구조 가설용 동바리 설계시 고려해야 할 수평하중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그림과 같은 곡선보에서 단부 단면의 도심에 P = 5 kN 이 작용할 때, 축력과 전단력의 영향을 고려하여 단부의 수직처짐을 구하시오. (단, E = 200 GPa, G = 80 GPa 이다.)
댓글 0
|
| 4 |
구조물의 거동(응답, response)은 하중관련 거동(load-dependent behavior)과 위상관련 거동(configuration-dependent behavior)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각각의 거동에 해당하는 응답을 구체적으로 열거하고, 해석과정(예를 들면, 유한요소법 등)에서 풀어야 할 지배방정식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과소보강으로 부착된 PS 콘크리트 보의 전형적인 하중-처짐 선도를 도시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지간 L 인 단순보의 단면이 그림과 같다.(상자형 단면) 편심등분포하중(q)이 전지간에 만재되었을 때, 휨모멘트선도, 전단력선도 및 비틀림모멘트선도를 구하시오.
댓글 0
|
| 7 |
유한요소 구조해석시 적용되는 절점 경계조건을 열거하고 설명하시오.
댓글 0
|
| 8 |
휨부재로 사용되는 강재 H-400×200×8×13 의 단면 복부판 축을 따라 전단력 V = 200 kN 이 작용한다. 이 때 이 단면에 발생하는 최대전단응력을 구하시오. (단, H-형강의 구석살(fillet)은 무시한다.)
댓글 0
|
| 9 |
철근콘크리트 연속 휨부재 받침부의 단면이 b = 300 mm, d = 500 mm, As = 2000 mm 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계된 경우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에 규정된 부모멘트 재분배가 가능한지를 검토하고, 재분배율을 구하시오. (단, fck = 24 MPa, fy = 300 MPa 이다.)
댓글 0
|
| 10 |
강도설계법에 의한 콘크리트 교량 부재의 내하율 산정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11 |
구조용 강재의 취성파괴 요인을 열거하시오.
댓글 0
|
| 12 |
탄성-완전소성 거동(elastic-perfectly plastic behavior)의 재료로 제작된 직사각형 단면의 균질 보에서, 항복모멘트(yield moment, My)에 대한 소성모멘트(plastic M p moment, Mp)의 y를 구하시오.
댓글 0
|
| 13 |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외단접합부(라멘 단절점부)에 외측인장 휨모멘트가 작용하면 접합부의 보강여부를 검토하도록 설계기준에 규정되어 있다. 이에 대한 검토를 실시해야 하는 이유를 도시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2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강관 부재의 특징을 아치교로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그림과 같이 통로 Box(5m×5m×40m)와 상부 도로를 단계적으로 개설하고자 한다. 이 때 통로 Box 의 종방향 해석에서 고려하여야 할 설계하중, 해석모델 및 설계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단, 통로 Box 에는 종방향 신축이음은 없으며, 설계하중에는 시공 중 하중도 고려한다.)
댓글 0
|
| 3 |
그림과 같이 힌지 지점 및 고정 지점을 갖는 구조계의 고유진동수를 구하시오. 7 4 7 4 (단, 기둥부재의 자중은 무시하고, E1= E2=300 GP,1 =2×10 mm ,I2=1×10 mm 이다. 또한 수평부재는 강체(rigid body)이며, 자중은 W = 2kN/m 이다.)
댓글 0
|
| 4 |
그림과 같은 단순보의 A-A 단면에 배치해야 할 수직스터럽 간격을 설계기준의 규정에 따라 구하시오. 이 때 전단력은 포락전단력선도를 작도하여 구한다. (단, fck = 27 MPa, fy = 350 MPa 이다.) (단, D10 의 단면적 Ab = 71.3 mm 이고, A-A 단면에 있는 치수는 mm 이다.)
댓글 0
|
| 5 |
경간 20m 인 PSC 단순보가 그림과 같은 T 형 단면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단면에 가능한 한 최대의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최대의 등분포 활하중을 재하하려고 한다. 2 최대 초기 프리스트레스 크기, F ikN )와 최대등분포 활하중 ω lkN /m ) 을 구하시오. 단, fck= 35MPa , =ci8 MPa , 허용응력( barfti−1.3MPa ,arf ci6.8MPa, F barfts−3.0MPa barf cus.8MPa barf =2cs0MPa η = =0.83 , , ), Fi 2 10 4 8 3 A = 380,000 mm ,Ig=3.31×10 mm ,y t306 mm y,= b94 mm ,Zt=1.08×10 mm Z b4.77×10 mm7 , ω G=9.5 kN /m(자중) 5
댓글 0
|
| 6 |
비례한도 fpl = 220 MPa, 항복강도 fy = 280 MPa, 탄성계수 E = 2×10 MPa 인 구조용강으로 길이 10 m, 단면 300mm×200mm 의 직사각형 기둥을 만들고, 하단은 고정지점이며 상단은 핀연결지점으로 하였다. 안전계수 FS=2.0 이라 할 때, 기둥이 장주인지를 판단하고, 허용압축하중을 오일러 공식을 사용하여 구하시오.
댓글 0
|
3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강박스거더교(steel box girder bridge)의 특징을 플레이트거더교(plate girder bridge)와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에 따라 철근콘크리트 보의 파괴를 정의하고, 파괴시 인장부에 배치된 최외단 순인장철근의 변형률( )의 크기에 t라 나타나는 파괴거동을 설명하시오. ϵ ϵ 이 때 를t0.004 이상 또는 2 y이상으로 설계기준에서 규정한 이유도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그림과 같은 라멘(rahmen)의 모든 부재에서 △T = 30℃의 온도 상승이 발생할 때, 휨모멘트선도를 구하시오. 6 3 5 (단, K AB K BC KCD= K = 2× 10 mm, 탄성계수 E =2.0×10 MPa, 열팽창계수 − 5 α =1.0× 10 /℃이다.)
댓글 0
|
| 4 |
견고한 강판(rigid steel plate)을 그림과 같이 각각 100mm×100mm 의 정사각형 단면을 갖고 있는 3 개의 등간격 콘크리트 기둥으로 지지하려고 한다. 강판의 중심에 작용하는 하중 P 가 작용하기 전에 중앙의 기둥이 양측에 있는 기둥보다 0.5 mm 더 짧게 시공되어 있다. 이 때 안전하게 작용할 수 있는 하중 P 의 최대값을 구하시오. (단, 콘크리트기둥의허용압축응력 fca=12MPa, 콘크리트탄성계수 Ec=27,000MPa 이다.)
댓글 0
|
| 5 |
그림과 같은 균일단면을 갖는 철근콘크리트 캔틸레버 보의 자유단에서 발생하는 순간처짐과 10 년 후의 최종처짐을 구하시오. (단, fck = 27 MPa, fy = 400 MPa, 단위질량 γ = 2,550 kg/m 이다.) c ξ E =8,500root3of f 참고사항 ; 1+50ρpri,ec c, Icr = 6.19×10 mm 3 3 e = Mcr Ig+[1− Mcr ] cr ( M a (M)a 2 (단, D25 의 단면적 Ab= 507mm 이고, 단면 치수의 단위는 mm 이다.)
댓글 0
|
| 6 |
그림과 같은 포스트텐션 PSC 보가 있다. 1) 1,000 kN 의 프리스트레스 힘으로 인해 A 점 및 C 점에 발생1(긴장재의 편심으로 인한 모멘트),M2(2 차 모멘트) 및t프리스트레싱으로 인한 전 모멘트)를 구하시오. 2)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반력을 구하시오. 3) 프리스트레스 힘으로 인한 압력선을 구하시오
댓글 0
|
4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강교량의 피로설계는 반복하중하에서 피로손상이 예상되는 구조부재 또는 이음상세의 해석 및 설계를 말한다. 피로설계의 방법을 개념적으로 분류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국내 교량의 내진설계기준 기본개념과 지진력 산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그림과 같이 타이로드가 설치된 강재 프레임에서 타이로드에 걸리는 인장력 T 를 구하시오. (단, Ab = 24,000 mm , Ib = 1.50 × 10 mm , E = 200 kN/mm (모든 부재) Ac = 18,000 mm , Ic = 1.20 × 10 mm 이다.) φ25m m
댓글 0
|
| 4 |
그림과 같은 부정정 보에서 A는 고정지점, B는 롤러지점이며, 지점 B 의 침하량이 Δ 이다. B 점에 모멘트하중 M 을 작용시켜 B 점의 회전각(처짐각)을 반으로 줄이려고 한다. 보 전체에서 EI 가 일정할 때, M 을 구하시오. 또한 이 때 지점 반력을 구하시오. w
댓글 0
|
| 5 |
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단순보에 등분포 고정하중, d= 3 kN/m (자중불포함)과 등분포 활하중, wl= 20 kN/m가 작용한다. ⓐ 철근(2-D32)의 이론상의 철근 절단점과 설계기준을 만족하는 철근 절단점을 구하시오.(이 때 인장부에서 절단되는 철근에 대한 검토는 생략함) (단, fck = 28 MPa, fy = 400 MPa, 단위질량50kg/이다.) c 2 (단, D32 의 단면적 Ab = 794 mm , 직경 db = 31.8 mm 이며, 단면 치수 단위는 mm 이다.)
댓글 0
|
| 6 |
그림과 같은 단면을 갖는 RC 보 구조물의 소요모멘트에 대한 탄소섬유시트에 의한 최소 보강 매수를 산정하고, 보강 후 소요모멘트에 의한 인장철근의 응력을 탄성설계법에 의하여 구하시오. (단, 탄소섬유시트는 보 하부에 완전 부착되어 RC 보와 일체거동 하는 것으로 하며, 단면 치수는 mm 이다.) 소요모멘트 Mmax = 650 kN․m 콘크리트 fck = 21 MPa (fca = 8 MPa) Ec = 26 GPa 철근 n = 8, As = 4,000 mm fy = 300 MPa (fta = 150 MPa) Es = 200 GPa 탄소섬유시트 ncf = 16 t = 0.2 mm, b = 400 mm Ecf = 400 GPa fcfy = 3,000 MPa (fcfa = 300 MPa)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