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수질학적 관점에서의 pH
댓글 0
|
2 |
송수관을 배수관에 직접 연결하는 것을 피해야 하는 이유
댓글 0
|
3 |
하수관거 접합방식 4 가지
댓글 0
|
4 |
NOD(Nitrogen Oxygen Demand)
댓글 0
|
5 |
직사각형, 사다리꼴, 원형 수로에 있어서 수리학적으로 유리한 단면
댓글 0
|
6 |
CSOs 저감시설의 시설별 소요용량 계산식 및 설계요소 상수
댓글 0
|
7 |
탄산경도와 비탄산경도
댓글 0
|
8 |
분류식 오수관 오접 확인방법
댓글 0
|
9 |
생물학적 오염도(BIP)
댓글 0
|
10 |
용존산소곡선(Oxygen Sag Curve)
댓글 0
|
11 |
세균의 부활현상(After Growth)
댓글 0
|
12 |
순산소 포기법
댓글 0
|
13 |
수질관리에 있어서의 열오염
댓글 0
|
2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유수율 제고 사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2 |
하수처리장 에너지 자립 및 자원 순환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활성슬러지 공법과 MBR 공법의 장단점을 나열하고, MBR 공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및 해결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유리염소 및 결합염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2011 년 현재 환경부에서 시행중인 비점오염원관리 정책의 주요 추진사항과 문제점, 향후 정책방향 및 기대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유량조정조 유효체적과 오전 8 시 및 9 시의 유량조정조의 BOD 농도를 구하시오. -오전 7 시에는 유량조정조가 비어있고(0 m ), 평균 유량은 1,106.25m /hr 임 3 시간 0 1 2 3 4 5 6 7 8 9 10 11 유량 m /hr 990 792 594 468 378 360 432 738 1,278 1,476 1,530 1,548 BOD 농도 150 115 75 50 45 60 90 130 175 200 215 220 mg/L 시간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유량 m /hr 1,530 1,458 1,386 1,260 1,170 1,170 1,188 1,314 1,440 1,440 1,368 1,242 BOD 농도 220 210 200 190 180 170 175 210 280 305 245 180 mg/L
댓글 0
|
3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공공하수도 설치에 있어서 고도처리 성능확인 대상시설 및 수행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2 |
도로선형이 곡선인 도로 계획시 타매설물로 인해 부득이 폭 2.0m 이하인 보도에 오수관 매설을 계획할 경우, 취해야할 사전조사사항, 매설방안별(직선화 , 곡선화)특징을 설명하고, 귀하가 추천하고자 하는 방안 시행시의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단, 매설공법은 개착식임.)
댓글 0
|
3 |
수돗물의 역류오염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지방상수도 통합운영의 목적 및 사업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생물학적 고도하수처리시 무산소조의 기능 및 주요 운전인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하천유량이 감소하는 봄철의 수환경변화에 따른 수질오염사고의 단계별 예방 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4교시
번호 | 문제 내용 |
---|---|
1 |
오수관거중 통수능부족, 최소유속 미달, 역경사관거의 개·보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2 |
진공식하수도의 차집순서(과정)와 적용대상(장소, 시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3 |
소규모 하수도의 요소별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4 |
하수도 유역별 통합운영관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5 |
2012 년 1 월 1 일부터 적용예정인 하수처리장 방류수 배출기준을 용량 및 지역별로 기술하고, 지역의 범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6 |
펌프의 공동현상(Cavitation) 발생원리와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