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술사 제101회 기출문제

시험일: 2015-08-07

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

PDF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정리된 문제
1

1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GPS 오차

댓글 0
2

우리나라 공간정보정책의 추진체계

댓글 0
3

오차곡선(Error Curve)

댓글 0
4

항공사진 특수3점

댓글 0
5

국제원자시(TAI: Temps Atomique International, International Atomic Time)

댓글 0
6

약최고고고면(A.H.H.W)과 평균해면(MSL)

댓글 0
7

수치표고모형(DEM)과 수치표면모형(DSM)

댓글 0
8

온맵(On-Map, 국토지리정보원 2013년 개발)

댓글 0
9

하이퍼스펙트럴(HyperSpectral)

댓글 0
10

Tasseled Cap변환(계절의 순환에 따른 식생 반사특성지수)

댓글 0
11

GPS시(GPS Time)

댓글 0
12

수로측량등급(4가지 측량등급)

댓글 0
13

국제지구기준좌표계(ITRF계:International Terrestrial Reference Frame)

댓글 0
2

2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국가기준점(통합기준점, 수준점)에서의 중력값 측정조건과 측정방법, 처리과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2

국토교통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융·복합·개방을 통한 공간정보산업 도약방안」과 이에 따른 공간정보관련 법률(3개) 정비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멀티센서(항공라이다, 디지털카메라, 하이퍼스펙트럴 등)를 이용한 대기보정, 정사보정, 방사보정 등의 처리과정과 재질(토지피복)구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우리나라 건설공사(철도, 도로, 하천 등)에서 수행하고 있는 공사측량의 현황 및 정확도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5

합성개구레이다(SAR)의 원리와 조사빔의 스캔방법에 따른 종류를 열거하고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6

최근 국토지리정보원, 기상청, 소방방재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범정부적 수문기상 안전관리체계 강화를 위한 “국가 수문기상 재난안전 공동 활용 시스템” 구축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댓글 0
3

3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국가수준점측량에서 도해(圖解)구간의 수준측량과 방법을 표준관측거리에 따라 구분하고 설명하시오.

댓글 0
2

기후변화에 의한 대응전략으로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15년 이후 이 제도의 의무화를 앞두고 있다.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공간정보의 활용방안을 설명하시오.

댓글 0
3

무인항공기(UAV)에서 사용하는 카메라는 고정밀 항공 카메라에 비해서 왜곡이 많이 발생한다. 카메라 렌즈 왜곡의 종류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보정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댓글 0
4

가스 및 상수도 지하시설매설관의 위치탐사방법과 불량구간이 발생하는 원인 및 최소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5

연안지역에서 지형과 수심 데이터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라이다(LiDAR)기술에 대하여 국내·외 활용사례와 국내 연안 해역 정밀조사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설명하시오.

댓글 0
6

최근 건설과 공간정보 등의 분야가 융·복합 되면서 GIS-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국가 주요기관의 정책추진방향과 적용범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4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철도건설공사의 착공에서 준공까지 수행되는 측량의 종류와 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2

영상탑측량에서 표정(Orientation)과 사진기준점측량의 정확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선박에 탑재하여 수심측량을 하는 멀티빔 장비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우리나라의 측량원점과 기준체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5

차량기반マルチ센서시스템(Mobile Mapping System)의 국내·외 활용사례와 다양한 데이터(지상레이저스캐너, 항공사진 및 3차원모델 등)를 상호 융합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6

정밀한 공간정보가 확대·재생산되면서 보안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공간정보 보안관리규정의 적용 현황과 개선방안을 설명하시오.

댓글 0

댓글 (0)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