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구조기술사 제96회 기출문제

시험일: 2015-06-29

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

PDF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정리된 문제
1

1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풍진동의 영향을 고려해야 할 건축물에 대하여 설명하고, 풍하중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콘크리트 탄성계수에 대한 정의 및 현재 KBC 2009 에 규정된 콘크리트 탄성계수 산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구조용 강재종별 표기방법 및 각 기호의 의미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댓글 0
4

반경 r 인 원형 단면 봉의 항복전단응력이 y이고, 응력-변형도 곡선이 그림과 같을 때 봉의 극한 비틀림 응력모멘트 Tu와 봉단면속에서 항복이 처음 시작될 때의 비틀림 우력모멘트 Ty및Tu/y를 구하시오.

댓글 0
5

단순소성론(Simple Plastic Theory)에서 재료에 대한 기본 가정 및 “소성힌지(Plastic Hinge)”라는 용어의 개념을 설명하고 소성힌지와 실제 힌지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6

단순보에 중앙집중하중을 가력하는 실험을 계획할 때, 실험상으로 중앙부단면의 모멘트- 곡률(Moment-Curvature) 관계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7

보의 처짐에서 휨변형과 전단변형의 형태상 차이점을 그림으로 간단히 설명하시오. (단, 아래와 같이 자유단에 집중하중을 받고 있는 캔틸레버보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려 설명하시오.) Not Supported Object

댓글 0
8

최근 국내 공동주택에 인방형 제진장치(Damping System)가 사용되고 있다. 제진장치 적용시 고려해야할 사항을 설명하시오.

댓글 0
9

테르자기(Terzaghi)가 제안한 직접기초의 허용지지력 산정식을 제시하고, 제계수 및 산정식에서 알 수 있는 사항을 설명하시오.

댓글 0
10

건축구조기준(KBC 2009)에서 용접과 볼트의 병용에 대한 규정을 설명하고 건축물 내진설계시 H-형강 기둥-보 접합부에 가새가 접합되는 경우 바람직한 상세를 그리고 설명하시오.

댓글 0
11

초고층 건물의 시공 중 발생할 수 있는 기둥축소의 개념 및 영향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댓글 0
12

일반적인 가설흙막이 구조형식의 종류를 제시하고 간략히 설명하시오.

댓글 0
13

최근 내진설계기준을 보면 비구조요소(건축, 기계, 전기)도 내진설계를 수행하게 되어있습니다. 다음의 조건을 고려하여 비구조요소의 설계지진력(등가정하중)을 산정하시오. (KBC 2009) 조 건 ▪ 단주기 설계스펙트럼 SDS= 0.4327 ▪ 비구조부재 증폭계수 a = 2.5 p ▪ 비구조요소 가동중량 Wp= 25kN R ▪ 비구조요소 반응수정계수 p= 2.5 ▪ 비구조요소 중요도계수 p= 1.5

댓글 0
2

2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그림과 같은 L 형 단면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1) 도심 G 의 위치( XG,Y G를 구하시오. (2) 도심축(x 축, y 축)에 대한 단면이차모멘트 Irmrmy단면상승모멘트 Irmxy구하시오. (3) 도심 G 에 대한 주단면이차모멘트( ImaxImin 및 주축의 각도( )θ를 구하고 주축을 도시하시오.

댓글 0
2

다음 캔틸레버보에 대해서 물음에 답하시오. (단, 재료의 탄성계수는 E, 전단탄성계수 G=0.3E라고 한다. 횡좌굴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가정) Not Supported Not Supported Object Object (1) 휨모멘트에 의한 변형에너지( UM)과 전단력에 의한 변형에너지 ( UQ)를 구하고, 휨모멘트에 의한 처짐( δM)과 전단에 의한 처짐(δQ)을 구하시오. (2) 전단에 의한 처짐(Q)이 모멘트에 의한 처짐( δM)의 10%가 될 때 길이L1및 1%가 될 때 길이 L2를 구하시오. P L3 (3) 앞의 결과를 참고해서 캔틸레버에서 일반적인 처짐공식 3 E I 적용에 대한 의견을 쓰시오.

댓글 0
3

그림과 같이 핀접합으로 연결된 인장재에 고정하중 49 kN, 활하중 5 kN 이 작용할 때 핀접합부 플레이트를 설계하고 상세를 그리시오.(KBC 2009) (단, 강재는 SS400, 플레이트 두께 10 mm, 핀 직경 d = 22 mm 이다.)

댓글 0
4

그림과 같이 기둥-보 접합부에 고정하중 130 kN, 활하중 70 kN 을 받는 전단접합부를 고력볼트을 이용하여 검토하시오.(KBC 2009) T (단, 고력볼트는 F10T M20(표준구멍), -설계볼트O= 165 kN 미끄럼계수 μ= 0.5 --------------------------------나사부가 전단면에 포함됨 고력볼트 구멍의 설계지압강도는 Rn= 1.2Lc ㆍ t ㆍ Fu ≤ 2.4d ㆍ t ㆍ Fu 고력볼트의 편심은 무시한다. 웨브 접합플레이트는 기둥에 양면모살용접으로 S = 8 mm 이다. )

댓글 0
5

순경간 8m 의 양단 고정 철근콘크리트보의 단부 및 중앙부 단면을 결정하고 전단보강설계를 하시오.(KBC 2009) (단, fck 27 MPa, fy= 400 MPa, wD= 35 kN/m, wL= 60 kN/m, b= 400 mm, h = 600 mm 으로 하고, 주근은 HD25 을 사용할 것, ρmax 0.0209,ρ min0.0035 이다.) V

댓글 0
6

그림과 같은 플랫슬래브에 u = 150 kN 이 작용하고 슬래브와 외부기둥연결부에 M u= 70 kN ㆍ m 의 불균형모멘트가 발생하였을 때, 슬래브 전단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시오.(KBC 2009) (단, 슬래브 두께 t = 230 mm, 유효깊이 d = 200 mm, fck 35 MPa, fy= 400 MPa 이다.) 평면 단면

댓글 0
3

3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그림과 같은 정정트러스에서 가상일법을 이용하여 D점의 수직처짐(δD)을 구하시오. (단, 각 부재는 동일 재료이며 탄성계수 E= 205000 N/mm , 단면O= 250 mm )

댓글 0
2

그림과 같은 기둥과 기초의 접촉면에서 지압강도, 다우얼 철근량(D19 사용), 정착에 대하여 검토하시오.(KBC 2009) (단, 기둥은 순수 축력만 받으며, 보정계수는 1.0 적용한다.) : 설계조건 2 2 - 기둥 fck 30 N/mm -----------------------ck 21 N/mm f 2 Pu - 철근 y= 400 N/mm -------------------------= 3500 kN - 기둥크기 : 300 mm × 750 mm--------------- 기초크기 : 4200 mm × 4200 mm - D19 단면적 : As = 287 mm ---------- 기초두께 : 900 mm

댓글 0
3

다음 변단면 기둥의 좌굴하중을 계산하시오. π x (단, 변위 함수는 =asL로 가정하시오.)

댓글 0
4

C 1기둥을 충전형 강관으로 설계하시오.(KBC 2009) (단, 횡변위 구속, 원형강관 : D ×t= 500 × 10 (STK490),ck 27 MPa, Es= 205000 MPa, Ec= 8500 rootckfMPa 이다.)

댓글 0
5

다음 그림에 표기된 지하실 외벽을 설계하고 벽체 철근을 스케치하시오. (단, 상재하중은 옥외주차장으로 승용차, 경량트럭 및 빈버스 용도의 기본 등분포활하중(KBC 2009)을 적용하고 설계조건은 다음과 같다.) -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fck 24 MPa - - 철근의 항복강도y= 400 MPa - 벽체두께 T = 350 mm---------------------------- 피복두께 = 40 mm - 지하수위 GL-3.0m--------------------------------- 흙의 내부마찰각 ∅=30° γ - 흙의 단위체적 중량( ) (지하수위 상부 γ= 17 kN/m , 지하수위 하부γ= 18 kN/m ) - 토압산정 후 P2+P3 의 하중형태는 삼각형으로, 휨모멘트 산정시 상부는 핀으로 하부는 고정으로, 전단력 산정시는 단순보로 가정한다. wliter MB= 15

댓글 0
6

철근콘크리트 중간모멘트 골조의 밑면전단력을 산정하시오.(KBC 2009) - 지진구역 1 - 전단파 속도 : 180 에서 360 m/s 인 지반 - 지방자치단체의 청사------------------------------- - 층고 : 4 m------------------------------------------- 층수 : 지상 11 층 - 고정하중은 11 kN/m 으로 산정 2 [ 단주기 지반증폭계수, Fa ] 지진지역 지반종류 S ≤ 0.25 S = 0.50 S = 0.75 s s s SA 0.8 0.8 0.8 SB 1.0 1.0 1.0 SC 1.2 1.2 1.1 SD 1.6 1.4 1.2 SE 2.5 1.9 1.3 [ 1 초주기 지반증폭계수, F v] 지반종류 지진지역 S ≤ 0 .1 S = 0.2 S = 0.3 SA 0.8 0.8 0.8 SB 1.0 1.0 1.0 SC 1.7 1.6 1.5 S D 2.4 2.0 1.8 SE 3.5 3.2 2.8

댓글 0
4

4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그림과 같은 단면의 압축재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bry (단, - H 형강 한 개의 단면 치수는 H - 294 × 200 × 8 × 12 단면적 A = 72.38 cm 2 강축에 대한 단면이차모멘트 x=11300 cm 4 약축에 대한 단면이차모멘트 y= 1600 cm4 - 압축재의 길이 1416 cm-----------------재료의 탄성계수 E = 205000 MPa - 두 개의 H 형강은 충분히 접합되어서 일체로 거동한다고 볼 수 있음 - 양단은 방향성이 없는 완전한 핀으로 되어 있음 ) (1) 도심 거리 ¯를 구하시오. (2) 도심축에 대한 단면이차모멘트 IX강축), IY약축) 및 단면이차반경 rX,rY를 구하시오. (3) 오일러 좌굴응력도 σcrMPa] 및 좌굴하중 PcrkN]을 구하시오.

댓글 0
2

다음의 구조물에 대해서 물음에 답하시오. (1) 단면의 소성중립축 위치[cm] 및 소성단면계수 ZP[cm ], 전소성모멘트 MP[ rmkN⋅]를 구하시오. (2) 소성붕괴기구(Collapse mechanism)을 가정하여 도시하고, 소성붕괴하u[kN]를 구하시오. (단, 재료는 인장 및 압축에 대해서 동일하게 거동하는 것으로 보며, 항복응력도 σy = 240 MPa 이며 응력σ( )-변형ϵ( ) 관계는 그림과 같다.) Not Supported Not Supported Object Object Not Supported Object 기술사 제 96 회 제 4 교시 (시험시간: 100 분)

댓글 0
3

다음과 같은 Cable 구조물에서 Cable A, B 에서의 최대장력과 Cable B, C 의 최대장력을 Cable 의 일반정리를 이용하여 구하시오. (단, Cable 은 완전히 유연하고 임의 점에서의 휨모멘트는 0 으로 가정한다.)

댓글 0
4

바닥판(슬래브)과 기둥에 사용한 콘크리트 강도가 상이할 경우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KBC 2009) (단, 기둥은 슬래브로 4 면이 횡구속 되었으며, 기둥의 장주효과는 무시함) (1) 슬래브 fck = 45 N/mm 일 때 기둥의 φPn(max)를 구하시오. (2) 슬래브 fck = 38 N/mm 일 때 슬래브와 기둥접합부를 보강 설계하시오. (단, 보강설계 후 (1)번 문제에서의 φPn(max)가 감소되지 않도록 할 것 보강철근은 D22 ( As = 387 mm , fy = 500 N/mm )

댓글 0
5

합성 슬래브와 프리캐스트 보 구조에서 슬래브와 보 접촉면의 수평전단연결재(스터럽)를 설계하시오. (KBC 2009) (단, 가장 불리한 경우로 전구간 보강한다.) : 조 건 스터럽 사용철근 : D16 (Avf = 199 mm , fy = 400 N/mm ) 고정하중 :ωD= 12 kN/m , ------------L= 65 kN/m 2 2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fck = 27 N/mm , 철근의 항복강도 fy = 400 N/mm

댓글 0
6

인장을 받는 각형강관 □ - 150 × 80 × 6 (SPSR 490)가 두께 10 mm 의 거셋플레이트에 용접되어 있다. 고정하중 110kN, 활하중 350kN 이 작용할 때 안전성을 확인하시오. (KBC 2009) 2 (단, 각형강관의Ag= 2523 my , r = 32.4mm ) L = 8000 mm

댓글 0

댓글 (0)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