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LDN Wave (Leading Depression N Wave)
댓글 0
|
| 2 |
Tsunami Barrier
댓글 0
|
| 3 |
Closure Depth
댓글 0
|
| 4 |
Boundary Layer Drift 혹은 Streaming
댓글 0
|
| 5 |
미티게이션(Mitigation)
댓글 0
|
| 6 |
돌핀(Dolphin)식 접안시설
댓글 0
|
| 7 |
해상풍력발전 기초공법의 종류와 공법별 특징 및 적용여건
댓글 0
|
| 8 |
벌킹펙터(Bulking Factor)
댓글 0
|
| 9 |
선박의 가상중량
댓글 0
|
| 10 |
선박의 Berthing Aid System
댓글 0
|
| 11 |
우회양빈공법(Sand Bypassing)
댓글 0
|
| 12 |
항만공사의 사후평가
댓글 0
|
| 13 |
IMSL 과 LMSL (여기서 I 는 인천, L 은 local 을 의미한다)
댓글 0
|
2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케이슨의 제작 및 운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적립식 준설토 투기장 호안설계시 고려해야할 작용외력과 안정검토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jacket type 해상풍력 발전체 하부구조물에 작용하는 파력 산정방법에 대해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storm surge 등으로 빈번히 침수되는 목포, 마산수역의 수리적 특성을 기술하고 이에 기초한 해결책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연간 컨테이너 700,000TEU 를 처리할 수 있는 부두의 규모와 Yard, CFS 등 부두평면 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단, 부두점유율 0.5, 선석당 크레인수는 3 기, 크레인시간당작업능력 40 Van, 크레인 및 기타작업효율 0.6, 일작업시간 24 시간, 년간 작업일수 365 일, 장치장은 5 단쌓기, 평균적치일수는 6 일로 계획하고, 기타 적용수치는 임의로 가정하되 가급적 최근 통계 자료를 이용하시오)
댓글 0
|
| 6 |
Offshore 에서 대형유조선의 계류 및 하역을 위한 SPM(Single Point Mooring) system 의 종류 및 주요구성요소를 나열하고, 앵커설계시 안정상 고려해야할 사항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3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우리나라 동·서·남해안의 파랑, 조위, 해저 지반의 일반적 특징을 항만 및 해안구조물 계획관점에서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항만설계시 필요한 수치실험종류를 나열하고, 설계시 실험결과 활용방안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가용한 파랑에너지 이송률(wave energy flux)에 기초하여 해안에 연하여 이송되는 해빈표사이송량 산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Caisson 형식의 해안구조물 전면수역에 다음과 같은 정상파동계가 형성되었다면 세립사로 구성된 해저지형의 최종형상을 도시하고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직립케이슨식 방파제의 항내측 보강시 활동저항력 산정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2012 년 정부의 항만정책 및 추진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4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연약지반상에 항만구조물건설시 적용가능한 기초처리공법과 공법별 안정검토 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물막이 공사(체절) 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아라미르 프로젝트의 추진방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국제환경 개선을 위한 Modal Shift 정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어느 해안지역에서 장기 관측된 표사이송량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표사장미도(drift rose)가 도출되었다. 그림에서 실선은 외해를 바라보았을 때 오른쪽으로의 이송, 점선은 왼쪽으로의 이송을 나타낸다. 이 지역의 해안선이 고파랑의 갑작스런 내습으로 일시적으로 후퇴되었다면 이 해안선의 복원여부를 구축된 표사장미도를 토대로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최근 출현빈도가 높아진 이상 파랑의 파랑특성과 그 생성원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