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철도차량 제동장치에서 1 Pipe System 과 2 Pipe System 을 비교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고속차량 주변압기에 설치하는 콘서베이터(Conservater)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차량기지 입지 선정시 반영하여야 할 사항에 대하여 5가지를 쓰시오.
댓글 0
|
| 4 |
디젤전기기관차 전동유압식(Electro-Hydraulic) 기관조속기(PGR형)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동력집중식 철도차량에서 기관차의 경량화를 제한하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나달(Nadal)의 탈선이론식에서 가장 중요한 두 영향인자는 무엇이며, 탈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시오.
댓글 0
|
| 7 |
무선으로 전기를 공급하여 열차를 달리게 하는 대용량 고주파(180kW, 60kHz) 무선전력 전송기술의 개념과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8 |
철도차량 동력학의 동적거동은 직선궤도 주행시, 직진궤도 주행시에 횡방향 진동 및 주행안정성, 곡선주행시시의 거동으로 구분되는데 동적거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 5가지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 9 |
완화곡선의 목적과 완화곡선의 길이 결정시 고려할사항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10 |
차량과 전차선로의 인터페이스 설계 시 고려해야 할 기술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11 |
철도차량 전력용 반도체 스위칭 디바이스 IPM(Intelligent Power Modul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12 |
철도차량의 헌팅(Hunting) 현상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13 |
철도차량의 신뢰성 확보방안을 차량 제작단계와 운영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2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철도차량의 편의(偏椅)에 대하여 설명하고, 아래 그림에서 차량 중앙부와 차량 단부에서의 편의량(δ1, δ2)을 각각 산출하시오.
댓글 0
|
| 2 |
유도전동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철도차량이 곡선을 주행하면 차륜과 레일의 마모가 발생한다. 곡선 반지름의 변화에 따른 차륜과 레일의 마모 발생 상태와 차량 헌팅장치의 강성 설계방안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8200대와 8500대 전기기관차의 사양과 특징을 비교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철도차량 차체설계 시 검토해야 할 재료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도시철도차량에 적용되는 출입문 형식, 구동방식별로 비교 설명하시오.
댓글 0
|
3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디젤전기기관차(GT26CW형)의 과속방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조향대차(Steering Bogi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우리나라의 차세대 고속열차(HEMU-430X)가 지금까지 기록한 최고속도는 421.4 km이다. 이와 같은 고속철도의 속도제한요인과 속도향상을 위한 후속방향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2010.9.3. 개정되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철도차량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 53 조에 의하면 고정촉거는 3.75 m 이하에서 4.5 m 이하로 변경되었다. 철도차량의 고정촉거가 차량 성능에 미치는 영향과, 고정촉거가 개정된 기술적 사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차량검수자동화시스템 중 다음의 장치에 대해 설명하시오. - 팬터그래프 습판 자동계측장치 - 차륜형상 측정장치 - 제품,디스크라이닝 자동계측장치
댓글 0
|
| 6 |
철도노선을 새로 건설하거나 기존노선을 개량하여 운영하고자 할 때 철도종합시험운행 시행지침의 차량분야 점검항목 밎 시험내용 10가지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4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KTX 대차 불안정 감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철도차량 유지보수 종류를 결정하는 요인과 각 부품의 성능열화에 따른 유형을 구분 설명하고, 이를 토대로 유지보수 형태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하여 쓰시오.
댓글 0
|
| 3 |
저심도 도시철도시스템이란, 기존 지하철이 15~25 m 지하에 건설하는 것에 비하여, 도로 상면으로부터 지하 5~7 m 에 건설하여 도로 노선에 따라 주행이 가능한 지하철도를 말한다. 국내의 경전철시장 현황 및 저심도 차량시스템의 특징 및 개요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철도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 목표를 5가지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도시철도차량에 적용되는 1차 현가장치를 비교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신호방식을 속도코드방식과 차내연산방식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