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수도기술사 제100회 기출문제

시험일: 2015-08-07

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

PDF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정리된 문제
1

1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상수도 수요량 예측방법

댓글 0
2

정수장과 배수관로의 설계절차

댓글 0
3

상수관로 접합정

댓글 0
4

하수처리 시설의 계획수량과 평균유속

댓글 0
5

지하수 관정의 우물 손실(Well Head Loss)

댓글 0
6

Hardy-Cross 관망해석방법

댓글 0
7

하수관이나 상수관의 비굴착 보수로 관경이 축소되는 경우 통수능에 미치는 영향

댓글 0
8

상수도 유수율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댓글 0
9

SDNR(Specific Denitrification Rate)을 활용한 무산소조 용량산정

댓글 0
10

MFI(Membrane Fouling Index)

댓글 0
11

송배수 TMS

댓글 0
12

물재이용시설 설치의무 대상 및 재이용수량

댓글 0
13

CT 증가방안

댓글 0
2

2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에너지자립율 향상 및 유지관리의 편의성 확보를 위해 음식물폐기물, 분뇨, 정화조찌꺼기, 하수슬러지를 병합한 혐기성소화를 계획하고자 한다. 병합소화시 처리계통도, 병합소화조의 유입수 특성, 소화공법 선정, 소화조 설계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댓글 0
2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필요산소량(AOR)을 구하시오.(필요한 계수들은 가정) 유량 5,000m /일 구분 BOD T-N TKN 3 반응조용량 3,000m 유입(mg/L) 200 40 30 MLSS 3,000mg/L 유출(mg/L) 10 20 20

댓글 0
3

원심펌프의 특성곡선, 시스템의 저항곡선을 설명하고 전술된 두 곡선으로 정의되는 운전점(operating point)을 단일 펌프 경우, 펌프 병렬연결 경우 그리고 펌프 직렬연결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강변여과의 장단점을 논하고, 강변에 설치된 복수의 수직 취수정의 성능과 취수의 영향을 평가하는 해석방법(analytical method)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5

강성관과 연성관의 기초형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6

정수후 수질검사 결과 이상이 있을시 조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3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하수도시설기준의 기본계획에서 설계 기준 중 시설의 일반기준, 토목시설기준, 기계시설기준, 조경시설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상수도의 수량적인 안정성 확보를 위한 수원시설, 취·도수시설,정수시설, 송· 배수시설에서의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정수시설 슬러지의 성상, 처리방법 및 조정시설 용량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고도하수처리(생·화학적처리)공법에서의 단위공정별 인제거효율과 처리기작 및 영향 인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5

상수도 배수관망 블록화의 장단점과 블록시스템의 관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6

컴퓨터의 발달은 많은 응용분야에서 고정밀 해석과 본격적인 최적화(optimization) 연산을 가능하게 하였다. 최적화 기법의 종류와 특성 그리고 상하수도 분야에서의 응용 가능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4

4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배급수 상수관망의 기술 진단항목과 평가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도시 우수관리를 위한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의 목적, 관련시설물, 적용상의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3

초기우수의 배제 방식별 특성과 처리방안을 설명하시오.

댓글 0
4

역삼투공법을 이용한 해수담수화시설의 처리계통과 막투과수의 특징 및 배출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5

상수도 배수시설계획과 정비시 설계상의 기본적인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6

2 계열로 구성된 일반적인 하수처리장(9,000m /일) 공사 중 시운전 시점에서 유입유량이 5%(450m /일)미만으로 유입이 예상될 시 이에 대한 대책을 설명하시오.

댓글 0

댓글 (0)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