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차축의 피로파괴중 대부분이 차륜 압입부에서 발생하는 원인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철도차량 개발 시에도 시스템안전 방법론이 적용되고 있다. 철도차량시스템의 안전을 달성 하기 위하여 위험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방법의 우선순위 5단계를 단계별로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차륜의 결함 종류 5가지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최근 알루미늄 압출재를 적용한 도시형 철도차량 차체에서는 응력 등 강도 문제보다는 처짐 등 강성문제로 설계제한 규정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 이유를 차체구조의 형상과 소재 측면에서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열차 무인자동운전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기본 고려사항 6가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철도노선을 새로 건설하거나 기존노선을 개량하여 운영하고자 할 때에 실시하는 철도종합시험운행의 시설물검증시험 항목 중 차량과의 연계성 시험항목 및 시험내용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7 |
신규 노선의 영업에 필요한 운용 편성수 산정요소와 최소운전시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8 |
전기동차 전력변환장치의 소자 냉각방식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9 |
철도차량 제동장치에서 사용되는 마찰계수의 특성 및 제륜자의 온도와 마찰계수와의 관계를 설명하시오. 2 – 1
댓글 0
|
| 10 |
차량 및 선로기술에 따라 선로의 지지방식(Support)과 유도방식(Guidance), 차량의 구동방식(Propulsion) 등 세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11 |
‘철도사고 등의 보고에 관한 지침’에서 정의하고 있는 ‘철도사고’의 용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12 |
철도 안전을 위하여 제한하고 있는 출입금지 철도시설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13 |
궤도에 작용하는 수직 방향의 동적인 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2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지난 5월 2일 상왕십리에서 발생한 열차 추돌사고는 일반의 큰 우려를 낳고 있다. 만약 질량 M인 차량 A가 L거리 전방에서 속력 v에서 급제동하였는데 또 다른 제동 정차한 질량 M인 차량 B와 완전 비탄성 추돌하여 같이 움직인 후 정지하였다. 다음의 물음에 답하시오. (단, 차륜과 레일 사이의 마찰계수 μ, 거리 m, 질량 kg, 속력 m/s, 중력가속도 g으로 가정한다.) (1) 추돌과정에서 흡수된 에너지 량을 구하시오. (2) 추돌과정에 전달된 두 차량 A, B의 충격량을 구하시오. (3) 추돌이 t 시간동안 이루어졌다면 두 차량 A, B의 평균 가감속도를 구하시오. (4) 위(3)의 결과를 이용하여 충격에 의한 부상을 줄일 수 있는 설계 방안에 대한 원리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최근 고속철도차량의 운행 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용접부, 노치부 등 구조적 취약부 에서 크랙(crack)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수리하여 안전하게 재사용하기 위한 절차를 5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철도서비스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해 적합한 철도차량 신뢰성 목표값 설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철도차량 제작시 시행해야 할 위험도분석 3가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해중철도(海中鐵道)의 원리와 특징 및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철도안전법 시행규칙(국토교통부령 제81호, 2014.03.19.) 제11조에 의하면 운전면허의 종류에 따라 운전할 수 있는 철도차량의 종류가 다르다. 운전면허의 종류 5가지를 구분하고 설명하시오.
댓글 0
|
3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LIM(Linear Induction Motor) 차량과 철제차륜 전동차와의 추진원리 차이점을 간단히 설명하고 운영, 유지보수, 편의성 관점에서 각각 특성의 장단점을 비교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도시철도차량의 구조체 하중시험시 요구하는 응력 측정점의 선정방법과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응력측정 및 평가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철도시스템의 수명주기 단계별 안전성분석 활동사항을 운영자, 승인자, 제작자로 구분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철도차량 유지관리 효율화를 위하여 고려해야 할 정비성 설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횡압의 발생원인과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적용하고 있는 한국철도의 횡압허용한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무선전력전송기술의 개념과 철도에 적용할 경우 장점과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4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다음 그림은 알루미늄 압출재 차체의 하부구조에 만들어진 C-rail(굵은 선) 바닥면 양쪽에 후판 플레이트(직교무늬 바탕)를 삽입하여 볼트(짙은 바탕색)로 체결한 이음매 구조이다. 알루미늄 압출재 차량의 사용 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C-rail에서 피로 파괴가 발생하는 사례가 있다. 이 피로파괴가 발생하는 원인을 설명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최근 철도차량의 실시간 안전성 모니터링과 CBM(Condition Based Maintenace)을 적용하기 위하여 상태 감시(Condition Monitoring) 기술 도입이 관심사가 되고 있다. CBM 시스템의 호환성과 통합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개방형 CBM 구조를 지향하여 표준화한 OSA-CBM (Open Sysytem Architecture for Condition Based Maintenace) 절차가 7단계로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 7단계(7 Layer)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ATS(Automatic Train Stop) 차상장치와 ATP(Automatic Train Protection) 차상장치의 구성상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유럽 국가간 열차운행 상호 호환성을 위한 표준화된 시스템인 ERTMS(European Railway Traffic Management System) 및 ETCS(European Train Control System)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철도차량이 곡선선로를 주행할 때 곡선반경에 따른 현가장치의 강성(stiffness) 설계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미래운송수단으로서의 로드 트레인(Road Train) 기술이란 무엇인지 특징과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