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가공기술사 제105회 기출문제

시험일: 2015-08-07

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

PDF를 표시할 수 없습니다.

다운로드
정리된 문제
1

1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다이캐스팅용 금형재료에 요구되는 성질을 4가지만 설명하시오.

댓글 0
2

구상흑연주철 제조 시 구상화제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접종제 2가지만 쓰시오.

댓글 0
3

백주철이 회주철보다 수축이 심한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댓글 0
4

rolling 한 강판을 이용하여 수도관을 만들려고 한다. pipe 용접 시 그림을 참고하여 ①번과 ②번 중 어느 쪽을 용접하여야 유리한가? 또 그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댓글 0
5

금속의 인장시험에서 1)후크의 법칙(Hooke's law)과 2)포아송비(Poisson's ratio)를 설명하시오.

댓글 0
6

판재 압연가공에서 나타나는 스프링 백(spring back) 현상을 설명하시오.

댓글 0
7

강의 켄칭(quenching) 경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금속원소는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댓글 0
8

탄소공구강에서 켄칭(quenching) 후에 템퍼링을 하는 목적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댓글 0
9

아크용접 시 사용되는 용접봉의 피복제 중 2가지를 들고 설명하시오.

댓글 0
10

용접 후 변형을 막을 수 있는 방법 3가지만 쓰시오.

댓글 0
11

금속재료 조직시험 시 사용하는 철강용 부식액(etchant) 2가지를 들고 특성을 설명하시오.

댓글 0
12

금형가공용 탄소강 주강블록을 주조한 후 절삭가공 중에 블록 표면 결함을 검출할 수 있는 비파괴 검사 방법 2가지를 들고 설명하시오.

댓글 0
13

구조용강과 탄소공구강을 구분하는 탄소 함유량은 얼마이며, 탄소공구강이 구조용강보다 내마모성이 우수한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댓글 0
2

2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사형주조에서 탕구를 설계하고자 한다. 탕구계의 설계가 적절하지 못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주조결함 및 결함방지대책을 4가지 설명하시오.

댓글 0
2

모래주형(sand casting)과 다이캐스팅(die-casting)의 응고거리(s)와 응고시간(t)간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그 차이의 원인을 설명하시오.

댓글 0
3

자유단조(open-die forging) 공정에서 배럴링(barreling: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과 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

댓글 0
4

압연공정(Rolling)에서 압하율을 크게 하는 요소 중 3가지만 설명하시오.

댓글 0
5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austenitic stainless steel)과 탄소강(carbon steel)을 GMA(gas metal arc, 혹은 MIG(metal inert gas)라고도 불림) 용접 시 보호가스(shield gas) 로 CO₂를 사용하면 용접이 잘 안 된다. 그 이유를 각자의 재료에 대해 설명하시오.

댓글 0
6

STD11 강종의 금형을 열처리하였더니 잔류오스테나이트가 형성되었다.
가) 이 금형이 잔류오스테나이트와 관련되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쓰시오.
나) 잔류오스테나이트는 어떻게 형성되는지 설명하시오.
다) 잔류오스테나이트 제거를 위한 심냉처리(sub-zero-treatment) 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3

3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저합금강(low alloy steel)을 금속 몰드(mold)를 이용하여 제품을 제조하였다. 응고시편을 관찰하니 몰드(mold) 벽으로부터 중심부로 주상(columnar) 형태의 긴 결정립(grain)이 관찰되었다. 시편 물성을 측정하였더니, 항복강도는 만족스러우나 인장강도와 연신율이 예상보다 크게 부족하였다. 본 제품을 사형주조(sand casting)로 제조하였더니 결정립 크기(grain size)는 크게 증가하였으나 항복강재를 제외한 물성은 오히려 좋아졌다. 본 결과에 대한 원인 해석을 응고조직과 제조법의 차이를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자 가압 성형한 고압주조제품이 중력주조제품과 비교 우수한 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3

초소성가공(super plastic forming)법과 초소성재료 2가지를 쓰고 설명하시오.

댓글 0
4

분말소결(powder sintering) 방법 중에서 레이저 선택 소결(selective laser sintering)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5

임의의 금속을 용접할 때의 그림이 다음과 같다. 아크(arc)의 이동속도(V)가 1cm/sec 라면, 점 A에서의 고액계면의 이동속도는 얼마인지 설명하시오.

댓글 0
6

금형 열처리는 열처리 온도와 냉각패턴이 중요하다. 오스테나이트화 처리시 가열시간은 승온시간, 균열시간 및 유지시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을 설명하고, 각 가열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댓글 0
4

4교시

번호 문제 내용
1

주물의 결함 중 냉간균열(cold crack)의 발생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2

압력의 기본적인 구비조건 및 압탕효과를 증사시킬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3

대형 부품을 단조공법으로 제조할 때, 단조해석 방법으로 사용하는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을 설명하시오.

댓글 0
4

Al-Cu 합금의 부분상태도는 다음과 같다. Al-2%Cu 합금을 정상응고(normal solidification) 시키고 있다. 고상에서의 확산을 무시하고 액상에서의 강제유동을 가정하여(perfect mixing) 응고가 50% 완료되었을 때의 응고계면의 조성을 구하시오.

댓글 0
5

마찰용접(friction resistance welding, FRW)의 원리와 특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6

다음의 두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은 조성이 비슷하며, 또 상온에서도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보이는 301, 302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austenite stainless steel)이다.
(a) 두 301, 302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의 조성으로부터 어느 것의 Ms (Martensite 개시) 온도가 더 낮을까? 그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b) 두 스테인리스강의 상온 σ-ε 곡선이 다음 그림과 같다. 곡선 A-스테인리스강이 B-스테인리스강에 비해 높은 변형(high strain) 영역에서 훨씬 더 큰 강도를 보이고 있다. 곡선 A는 301, 302 중 어느 것일까? 그 이유를 간략히 설명하시오.

댓글 0

댓글 (0)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