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시험지
PDF 다운로드1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제22조에 의거 전기동차 승강장 거리를 쓰시오. 가) 콘크리트 궤도의 선로 중심으로부터 승강장 끝단까지 거리 (mm) 나) 자갈 궤도의 선로 중심으로부터 승강장 끝단까지 거리 (mm)
댓글 0
|
| 2 |
차량-궤도 인터페이스 항목 중 궤도에 가해지는 하중의 종류 2가지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팬터그래프와 전차선 간의 이선율을 측정하는 방법 3가지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설계속도 250 km/h 초과 350 km/h 이하의 콘크리트 궤도 선로에서 최대 설정 캔트와 최대 부족 캔트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철도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종류 5가지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KTX-이음(EMU-260) 고속차량이 고속선로에서 260 km/h, 일반선로에서 160 km/h 속도로 운행 중 비상제동을 체결할 경우, 각각의 선로에서 최대 제동거리(m)를 쓰시오.
댓글 0
|
| 7 |
고속철도차량 차상컴퓨터(OBCS : One Board Control System)의 임무 4가지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 8 |
디젤전기기관차의 기관(Engine) 실린더헤드에 장착되는 주요 구성부품 5가지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 9 |
ATP(Automatic Train Protection)의 운전실 기관사지원패널표시장치(MMI : Man Machine Interface) 화면에서 현시되는 정보의 종류 10가지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 10 |
‘철도차량기술기준’과 ‘철도차량정비 기술기준’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11 |
철도차량의 상태기반 유지보수(CBM : Condition Based Maintenance)의 장점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12 |
철도차량의 충돌안전을 위한 위험도 분석 시 고려사항 5가지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 13 |
철도차량 제작단계에서의 신뢰성 관리방안에 대하여 3가지를 설명하시오.
댓글 0
|
2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전동차 종합제어장치(TCMS : 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의 주요 기능과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고속철도차량(EMU-260) 대차에 적용되는 1차 수직댐퍼, 2차 수직댐퍼, 횡댐퍼, 안티요 댐퍼에 대한 설치위치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고속철도차량에서 제동 블랜딩(Brake Blending) 개념과 제동 시 블랜딩 제어 과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디젤전기기관차 기관(Engine)에 터보차저(Turbo charger)를 설치한 이유와 터보차저를 구성하고 있는 부품 중 오버러닝 클러치(Overrunning Clutch)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댓글 0
|
| 5 |
철도차량 생애주기(Life Cycle)에서 각 단계별로 적용되는 요구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철도차량 정밀안전진단 결과에 대한 평가 대상과 적정성 평가 항목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댓글 0
|
3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철도차량의 진동 종류와 방진대책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대차 프레임의 주행안전성(Running Safety)과 주행안정성(Running Stability)에 적용 되는 필터링 주파수 및 평가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고속철도차량(KTX)이 전차선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견인전동기를 구동하기까지 전류의 변환 과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동력집중식 고속철도차량에 설치된 견인전동기의 구동력을 차륜에 전달하는 과정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자기부상열차 리니어모터(Linear Motor)의 종류와 부상, 추진 및 안내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철도차량 기술기준에서 요구하는 추진제어장치 제어기의 전자파적합성시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4교시
| 번호 | 문제 내용 |
|---|---|
| 1 |
고속철도차량 기술기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전복방지기준의 유형별 합력 작용점 산정 기준 3가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2 |
선로의 슬랙량 산정 공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3 |
전기동차 인버터제어(Inverter Control) 방식의 원리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4 |
차륜 플랜지(Flange) 마모원인과 차륜결함 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
댓글 0
|
| 5 |
고속철도차량 기술기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주행저항의 정의, 시험장소의 환경조건, 시험 종류 및 목적, 시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
| 6 |
철도차량 기술기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차량한계의 요구조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댓글 0
|